•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03

Ⅰ.지수함수와 로그함수

1…log™ x<2, 2…log™ y<3 log™ 2…log™ x<log™ 2¤ , log™ 2¤ …log™ y<log™ 2‹

이때 밑 2가 2>1이므로 2…x<4, 4…y<8

¤ [log™ x]=2, [log™ y]=1일 때,

⁄과 같은 방법으로 하면 4…x<8, 2…y<4

⁄, ¤에서 점 (x, y)가 존재하는 영역은 위의 그림의 색칠한 부분과 같다. (단, 경계선의 실선은 포함, 점선은 제외한다.) 따라서 구하는 영역의 넓이는

2_4+4_2=16

O x

y

2 4 8

4 2 8

= { }

x

=0 0

3 lim 4

xڦ

3x 22x

xlimڦ

0256

(3≈ -5≈ )= 5≈ [{ }

x

-1]

이때 [{ }

x

-1]=-1이므로 5≈ [{ }

x

-1]=-¶ 음의 무한대로 발산

3 lim 5

xڦ

3 lim 5

xڦ

3 lim 5

xڦ

xlimڦ

0258

= =

이때 25≈ =0이므로

=-1 -1

25≈ +1 25≈ -1

xlim⁄-¶

xlim⁄-¶

25≈ +1 25≈ -1

xlim⁄-¶

5¤ ≈ +1 5¤ ≈ -1

xlim⁄-¶

5≈ +5—≈

5≈ -5—≈

xlim⁄-¶

0259

-x=t로 놓으면 x⁄ -¶일 때 t ⁄ ¶이므로 {1- }

2x

= {1+ }

-2t

= [{1+ }

t

]

-2

=e—¤ e—¤

1 lim t

tڦ

1 lim t

tڦ

1 lim x

x⁄-¶

0267

{1+ }

x

= [{1+ } ]

2

=e¤

x

2 2

lim x

xڦ

2 lim x

xڦ

0266

{1+ } = [{1+ } ] =e32 e32

3 2 2

x x

lim 2

x⁄0 3

x x

lim 2

x⁄0

0265

(1+2x) =lim{(1+2x)2x1}¤ =e¤

x⁄0 1

lim x x⁄0

0264

x-4=t로 놓으면 x⁄ 4+일 때 t ⁄ 0+이므로 log;2!;(x-4)= log;2!;t=¶

양의 무한대로 발산

tlim⁄0+

xlim⁄4+

0263

{log£(3x+1)-log£ x}

= log£ = log£ {3+ }

=log£ 3=1 1

1 lim x

xڦ

3x+1 lim x

xڦ

xlimڦ

0262

log¢(x¤ +1)=¶ 양의 무한대로 발산

xlimڦ

0261

log;3!;x=¶ 양의 무한대로 발산

xlim⁄0+

0260

= = 1 =1 1

0+1 lim 1

xڦ

2x 1+2x

xlimڦ

0257

{ }

x

1 +1 2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039

0278

3x

y'=ln x+x¥1=ln x+1 y'=ln x+1 (2x+5)ln 3 2

(2x+5)ln 3 1

(2x+5)ln 3

0280

좌변의 분모, 분자를 각각 3≈ 으로 나누면

{log£(7+3x)-log£ x}

= log£ 3+11111111log£ x

log£ {1+;[#;+15}x¤5 2+11111111log£ x

xlimڦ

(log™|x‹ -1|-log™|x¤ -1|)

= log™ {log£ (ax+1)-log£ (x-1)}

= log£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041 lim 3x+1

x⁄0

ln (1+3x)(1-3x) lim 111115_22x

ln (1+6x) 111115_66x limx⁄ 0

= [ _a]

log™(3+x)-log™ 3 lim x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043

=3에서 x ⁄ 1일 때 (분모) ⁄ 0이고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045 즉, ln (5x+a)=0 ∴ ln a=0

∴ a=e‚ =1

a=1을 ㉠의 좌변에 대입하면

= [ _5]=1_5=5

따라서 b=5이므로 a+b=1+5=6

ln (5x+a) lim 5x

x⁄0

ln (5x+a) lim x

x⁄0

limx⁄0

함수 f(x)가 x=0에서 연속이려면 f(x)=f(0)이어야 한다.

즉, =a

= [ x _e≈ ]=1_1=1이므로 a=1 1 e≈ -1

limx⁄0

xe≈

e≈ -1 limx⁄0

xe≈

e≈ -1 limx⁄0

limx⁄0

0315

함수 f(x)가 구간 {- , ¶}에서 연속이므로 f(x) 는 x=0에서 연속이다. 즉, f(x)=f(0)이므로

2=

2= [ _ ]

=1_ =

∴ k=4

k 2 k 2

k 2 2x

ln (1+2x) limx⁄0

kx ln (1+2x) limx⁄0

limx⁄0

1

0316

2

(x-1)f(x)=e¤ ≈ —¤ -1에서 x+1일 때 f(x)=

이때 함수 f(x)가 모든 실수 x에서 연속이므로 f(x)는 x=1 에서 연속이다.

즉, f(x)=f(1)이므로

=f(1)

이때 x-1=t로 놓으면 x⁄ 1일 때 t ⁄ 0이므로

=

= [ _2]=1_2=2

따라서 f(1)=2

2 e¤ † -1

lim 2t

t⁄0

e¤ † -1 lim t

t⁄0

e¤ ≈ —¤ -1 lim x-1

x⁄1

e¤ ≈ —¤ -1 lim x-1

x⁄1

limx⁄1

e¤ ≈ —¤ -1 x-1

0317

단계 채점요소 배점

함수 f(x) 구하기 20%

limx⁄1f(x)=f(1)임을 알기 30%

f(1)의 값 구하기 50%

f(x)=(6x¤ +2)e≈에서 f '(x)=(6x¤ +2)'e≈ +(6x¤ +2)(e≈ )'

=12xe≈ +(6x¤ +2)e≈

=(6x¤ +12x+2)e≈

∴ f '(0)=2

0318

곱의 미분법에 의하여

⑴ y'=(e≈ )'(3x¤ -1)+e≈ (3x¤ -1)'

=e≈ (3x¤ -1)+e≈ _6x

=e≈ (3x¤ +6x-1)

⑵ y=2‹ ≈ —⁄ =(2‹ )≈ ¥2—⁄ = _8≈이므로

y'= _8≈ ln 8=2—⁄ _(2‹ )≈ _3 ln 2=3¥2‹ ≈ —⁄ ln 2

⑶ y'=(5≈ )'(2x-1)+5≈ (2x-1)'

=5≈ ln 5_(2x-1)+5≈ _2

=5≈ {(2x-1)ln 5+2}

⑷ y'=x'e‹ ≈ +x(e‹ ≈ )'

=e‹ ≈ +x_e‹ ≈ ln e‹

=e‹ ≈ +3xe‹ ≈

=e‹ ≈ (1+3x)

⑸ e—≈ ={ }≈ 이므로 y=x¤ e—≈에서

y'=(x¤ )'e—≈ +x¤ [{ }≈ ]'

=2x_e—≈ +x¤ _{ }≈ ln

=2x_e—≈ -x¤ _e—≈

=xe—≈ (2-x)

⑴ y'=e≈ (3x¤ +6x-1) ⑵ y'=3¥2‹ ≈ —⁄ ln 2

⑶ y'=5≈ {(2x-1)ln 5+2} ⑷ y'=e‹ ≈ (1+3x)

⑸ y'=xe—≈ (2-x) 1 e 1 e 1 e 1

e 1 2

1 2

0319

f(x)=a‹ ≈ =(a‹ )≈이므로 f '(x)=a‹ ≈ ln a‹

이때 주어진 곡선 위의 점 (1, f(1))에서의 미분계수가 e이므로 f '(1)=a‹ ln a‹ =e

∴ a‹ =e

∴ a=e;3!; e;3!;

0321

f '(x)=(ex+ln 3)'=(eln 3¥ex)'=3ex이므로 f(ln 2)-f '(0)=eln 2+ln 3-3e‚

=eln 6-3

=6-3=3 3

0320

⑴ ln 6x=ln 6+ln x이므로 y'=x' ln 6x+x(ln 6x)'

=ln 6x+x(ln 6+ln x)'

=ln 6x+x {0+ }

=ln 6x+1

⑵ log™ 5x=log™ 5+log™ x이므로 y'=(log™ 5+log™ x)'

=0+ =

⑶ y'=(x‹ )' ln x+x‹ (ln x)'

=3x¤ ln x+x‹ _

=3x¤ ln x+x¤

=x¤ (3 ln x+1)

⑷ y'=(e≈ )' log£ x+e≈ (log£ x)'

=e≈ log£ x+e≈ _

=e≈ {log£ x+ }

⑸ y'=(e‹ ≈ )' ln x+e‹ ≈ (ln x)'

=(e‹ ≈ ln e‹ )ln x+e‹ ≈ _

=3e‹ ≈ ln x+e‹ ≈ _

=e‹ ≈ {3 ln x+ }

⑴ y'=ln 6x+1 ⑵ y'=

⑶ y'=x¤ (3 ln x+1) ⑷ y'=e≈ {log£ x+ }

⑸ y'=e‹ ≈{3 ln x+ } 1 x

1 x ln 3 1

x ln 2 1

x 1 x

1 x 1 x ln 3

1 x ln 3 1 x 1 x ln 2 1

x ln 2 1 x

0323

함수 f(x)=ln x가 닫힌 구간 [2, 4]에서 연속이고 열 린 구간 (2, 4)에서 미분가능하다.

f '(x)= 이고,

= = ln = 이므로

f '(c)= (2<c<4)인 c가 존재한다.

따라서 = 이므로 c= 2

ln 2 ln 2

2 1 c

ln 2 2

ln 2 2 4 2 1 2 ln 4-ln 2

2 f(4)-f(2)

4-2 1 x

0322

y=x¤ ln x에서

y'=2x ln x+x¤ _ =2x ln x+x

한편, 곡선 y=x¤ ln x 위의 점 (1, 0)에서의 접선의 기울기 는 x=1에서의 미분계수와 같으므로

2_1_0+1=1 1

1 x

0324

ln 3x=ln 3+ln x이므로 f '(x)=(e≈ )' ln 3x+e≈ (ln 3x)'

=e≈ ln 3x+e≈ (ln 3+ln x)'

=e≈ ln 3x+e≈ _

=e≈ {ln 3x+ }

∴ f '{1}=e;3!;(0+3)=3e;3!; 3e;3!;

3

1 x

1 x

0325

f(x)=x ln x+x‹ 에서 f '(x)=ln x+x_ +3x¤

=ln x+3x¤ +1 한편,

=

=

-= + [ _2]

=f '(1)+2f '(1)=3f '(1)

이때 f'(1)=0+3+1=4이므로 3f '(1)=3_4=12 f(1-2h)-f(1)

lim -2h

h⁄0

f(1+h)-f(1) lim h

h⁄0

f(1-2h)-f(1) lim h

h⁄0

f(1+h)-f(1) lim h

h⁄0

f(1+h)-f(1)-{ f(1-2h)-f(1)}

lim h

h⁄0

f(1+h)-f(1-2h) lim h

h⁄0

1 x

0326

f(x)=e¤ ≈ ln x에서 f '(x)=(e¤ ≈ ln e¤ )ln x+e¤ ≈ _

=2e¤ ≈ ln x+e¤ ≈ _

=e¤ ≈ {2 ln x+ } 한편,

= [ _(x¤ +x+1)]

= _(x¤ +x+1)

=

이때 f'(1)=e¤ (2_0+1)=e¤ 이므로 = 3

3

3 f '(1) 3

f '(1)

)} 0 1

f(x)-f(1) x-1 ({

9 limx⁄1

x-1 f(x)-f(1) limx⁄1

x‹ -1 f(x)-f(1) limx⁄1

1 x

1 x

1 x

0327

함수 f(x)가 x=1에서 미분가능하므로 x=1에서 연 속이다.

즉, f(x)=f(1)에서

a+b=5 yy㉠

limx⁄1

0328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047

{log£(1+x)}(5≈ -1) lim

0337

x⁄0

= { + + }

=ln(ln 4-ln 2)=ln(ln 2)

∴ e Å =eln(ln 2)=ln 2

a>b>0에서 0< <1이므로 (a≈ +b≈ );[!; f(2)=2+log¡º 2-2=log¡º 2>0 f(3)=3+log¡º 3-2=1+log¡º 3>0 f(4)=4+log¡º 4-2=2+log¡º 4>0 f(6)=6+log¡º 6-2=4+log¡º 6>0

따라서 f(1)f(2)<0이므로 사이값 정리에 의하여 주어진 방 정식의 실근이 존재하는 구간은 (1, 2)이다. 다른풀이 x+log¡º x-2=0에서

log¡º x=-x+2

오른쪽 그림에서 두 함수 y=log¡º x,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049

2a =2a_1=2a

따라서 2a=4이므로

f(3+h)-f(3)-{ f(3-2h)-f(3)}

lim h 1125+;2#[{;2x limx⁄0

1125_;2!;+;2#;x limx⁄0 1125+111_2+111_3+y+1115_10x 2x 3x 10x limx⁄0

10

e≈ -1 e¤ ≈ -1 e‹ ≈ -1 e⁄ ‚ ≈ -1 1125+111+111+y+1115x x x x limx⁄0

=3_1_1_{- }

=-3

S(t)= (e-1)ln t이므로

f(x)= f(x)=f(1) ln bx= (ax¤ +1)=f(1)

2ax (x<1)

;[!; (x>1)

03. 지수함수와 로그함수의 미분 051

0358

x-1

점 P의 좌표는 (t, e† -1)이라고 하면

=2_1_1_2=4 4

ln (1+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