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중환자실 환자들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신체 기관의 한 곳 또는 여 러 장기의 급성 손상으로 생명을 위협받거나 상태 악화의 확률이 높다 (Christina, 2014). 중환자실은 이러한 상태 변화를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한 치료가 이루어지도록하기 위해 첨단 의료장비와 인력이 집중된 특수한 장 소이다(Buchner et al., 2015; Ellen & Dagfinn, 2015). 중환자실에서 중증 질병으로 살아남는 일은 환자에게 매우 힘든 과정이나 의학기술과 전문 인력의 발전으로 중환자실 환자들이 치명적인 질병에서 생존하고 있다 (Christina, 2014). 이후 건강 상태가 안정되면 의료진의 판단에 의해 전실 이 결정된다.

전실(transfer, relocation)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transfer’의 경우 하나의 사람, 장소, 상황으로부터 다른 사람, 장소, 상황으로의 이동 또는 통과하는 것을 뜻한다(Merriam-Webster, 2018). 의료기관에서는 병원 내 간호단위의 이동(Enger & Andershed, 2018; Field et al., 2008; Guest, 2017), 병원 간의 전원(Assareh, Achat, & Levesque, 2017; Bryceland, Ellis, Beaumont, Shakur, & Coats, 2015)의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relocation’은 새로운 장소나 위치로 이동하는 것, 새로운 장소에서 계획을 세우거나 확고히 하는 것을 말한다(Merriam-Webster, 2018). ‘relocation’의 경우 병실로의 이동(Lin et al., 2016) 뿐 아니라 노인 시설로의 거주지 이 전(Koppitz et al., 2017; Lin & Yen, 2018; Walker, Curry & Hogstel, 2007), 새로운 직업(Martin, 1996) 또는 업무로의 이동(Canham, Wada,

Battersby, Fang, & Sixsmith, 2018), 재난 후 거주지의 변화(Najarian, Goenjian, Pelcovitz, Mandel, & Najarian, 2001), 유전자 재배치(Therizols et al., 2014)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사전적 의미로 살펴 후군(relocation stress syndrome), 전실 스트레스 증후군 위험성(risk for relocation stress syndrome)으로 이 현상을 진단하고 있다. NANDA (2015-2017)에서는 전실 스트레스를 ‘하나의 환경으로부터 다른 환경으로

있다. 중환자실 환자들은 일반 병동으로의 전실을 중증 질병과 건강 상태 가 호전되고 활동과 일상생활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회로 받아 들이기도 한다(Forsberg et al., 2011). 전실에 대한 긍정적인 자세는 환자 들이 완전한 의존 상태에서 일상생활을 회복하는 것을 자연스럽게 인식할 뿐 아니라 삶에 대한 희망과 자신감을 회복하여 병동에서 이루어지는 치 료활동이나 재활과 같이 직면하고 있는 어려움들을 극복하게 한다 (Forsberg et al., 2011; Strahan & Brown, 2005; Watts, Pierson, &

Gardner, 2005). 그러나 국내 중환자실 환자들의 전실에 대한 연구 대부분 이 전실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연구되어 중환자실 환자들의 전실 경험을 환자가 속한 상황에서 확인할 수 있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전실 경험을 환자들의 관점에서 총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질적 연구가 요구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의료진들에게 전실(Transfer)이라는 용어 는 ‘중환자실에서 일반 병동으로의 이동’의 의미로 익숙하게 사용되고 있 다. 의료진들은 중환자의 전실 상황과 전실 업무에 대해서도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중환자 치료의 절차로 인식하고 있다(Buchner et al., 2015). 그 러나 전실을 통한 ‘간호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중환자실 환자의 전실 경험을 상황적 전환 과정의 경험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즉 의료 진들은 중환자실 환자들이 전실을 준비하고, 일반 병동으로 이동하며 적 응하는 상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개인마다 다른 전실 상황 속에서의 경험을 의미 있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중환자의 전실 경험에 대 한 현상학적 연구가 필요하다.

B. 중환자실 환자의 전실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동향

를 위해 중환자실 환자들이 그들의 상황에서 체험하는 고유한 전실 경험

Strahan과 Brown(2005)은 중환자실 환자의 전실 경험을 Colaizzi (1978)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Strahan과 Brown(2005)은

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Field 등(2008)과 Forsberg 등(2011)은 전실 경험을 주제별 내용 분석 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Field 등(2008)은 건강과 질병에 대한 개 별 환자 경험 데이터베이스(DIPEx: Database of Individual Patient Experiences)를 이용하여 연구 참여자 34명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

C. 간호연구에서의 현상학적 접근

서 후설(Edmund Husserl),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레비나스 (Emmanuel Levinas), 사르트르(Jean-Paul Sartre), 메를로-퐁티(Maurice (consciousness)을 중요한 개념으로 보았다(Lopez & Willis, 2004). 의식은 물리적 인과관계를 통해 경험되는 자연과학적 태도와 미적, 종교적, 경제 적 대상 등으로 경험되는 생활세계적 태도 등 다양한 태도로 경험되므로 다양한 체험과 현상으로 나타난다(이남인, 2016). 간호 연구에서 다루는 다양한 체험과 현상은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에서 다루고 있는 의식세계

가 아니라 후기 현상학에서 제시하고 있는 경험적 현상학으로 경험적 세 계이다(공병혜, 2004).

현상학은 인간의 생활세계 경험을 탐구하고 이해하기 위한 철학이며 연구 방법이지만(Edward & Welch, 2011; Wojnar & Swanson, 2007) 현상 학이 철학의 한 분파로서 시작된 것과 달리 간호학에서의 현상학은 주로 영해야 한다(Lopez & Willis, 2004). Meleis(1996)도 간호학자들이 상황 속에 있는 대상자의 사회적 현실을 존중하고 문화적으로 적절한 지식을

Ⅲ. 연구 방법

A.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중환자실 환자의 일반 병동으로의 전실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기술하기 위해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이용한 경험적 현상학(Husserl, 1962) 연구이다.

B. 연구 참여자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과 충남지역에 위치한 두 개 대학병원의 내·

외과계 중환자실에서 일반 병동으로 전실이 이루어진 환자이다. 질적 연 구에서 연구 대상자의 수는 현상에 대한 통찰력을 얻는데 필요한 정보의 깊이와 연구자의 연구영역에서 정보의 포화가 달성될 때 결정된다 (Fawcett & Garity, 2009). 본 연구에서도 추가되는 정보가 더 이상 새로 운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이전에 수집된 자료의 정보가 반복되어 정보의 포화가 충분히 도달하였다고 판단된 15명을 선정하였다.

연구 대상자 선정은 연구 결과의 질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중요한 과 정이다(Grove et al., 2013). 그러므로 연구에서 새로운 의미를 발견하거나 통찰력을 얻는데 필요한 자료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는 특정 대상자, 사 건, 상황에 대해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선정하여야 하며 동시에 연구 대 상자에 대한 위험도 고려하여야 한다(Grove et al., 2013; Sandelowski, 2000).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 선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 대학병원의 내·외과계 중환자실에서 최소 48시간 이상 재원하고

표 1. 연구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질병관련 특성

ICU: Iintensive care unit, ITP: Idiopathic thrombocytopenic purpura, AGC: advanced gastric cancer, ARF: Acute Renal Failure, CBD: common bile duct,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구분 성별

표 1. 연구 참여자의 인구사회학적 및 질병관련 특성

STEMI: ST elevation myocardial infarction, ARDS: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esp: respiration

구분 성별

C. 자료 수집

1. 자료 수집과 절차

본 연구는 본 대학과 자료수집 기관의 기관연구윤리심의위원회 (Institutional Review Board, 이하 IRB)의 승인을 받고 자료 수집을 시작 하였다. 연구기간은 2017년 1월부터 12월까지였다.

각 자료수집기관의 담당 의사로부터 대상자를 소개받고 의무기록을 통해 연구 대상자 선정 기준(중환자실 재원 기간, 의식상태, 약물 정보 등)에 부합되는 대상자 인지를 1차 확인하였다. 이후 환자가 전실한 병실 을 방문하여 사전 면담을 진행하였고 대상자의 건강상태(의식상태, 통증 정도, 활동상태, 산소포화도, 목소리 여부 등)가 심층 면담이 가능한지 여 부를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연구에 참여 가능한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연구 참여에 대해 동의를 받은 후 본 면담을 진행하였다

<그림1>.

그림 1. 본 연구의 진행 절차

2. 면담 진행 방법

본 연구에 참여한 대부분의 환자들은 지속적인 치료와 안정이 필요한 상태임을 고려하여 주로 병실 또는 수간호사실에서 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 설명문을 이용하여 연구 목적, 30분 이내의 심층면담과 녹취, 의무기록 열람 항목, 자료수집 및 분석 과정의 익명성 유지, 연구 참여 철회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자유로운 의사에 따라 참여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연구 참여자와 보호자의 서면 동의를 받고 동의서 사본을 지급한 후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의 시작은 일반적 특성을 점검함으로써 긴장을 완화하고 면담에 대해 참여자 스스로 자신감을 느끼도록 하였으며 참여자의 사회문화적 맥 락을 파악하였다. 면담의 중심 질문은 개방성을 극대화하고 중립적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자는 면담 질문에 대하여 연구 참여자가 의식의 흐름 에 따라 진술하도록 하여 그들의 경험, 가치, 지식을 존중하고자 노력하였 다. 연구 참여자 심층 면담을 위한 중심 질문 내용은 다음과 같다.

(A) 중환자실에서 일반 병실로 가기 위해 기다리는 동안 무엇을 경 험하셨습니까? 신체적, 정서적으로 경험한 일과 느낌을 말씀해 주십시오.

(B) 중환자실에서 일반 병실로 이동하면서 무엇을 경험하셨습니까?

(C) 중환자실에서 일반 병실로 이동 후 지난 며칠간 무엇을 경험하셨 습니까?

D. 자료 분석

1. 자료 분석 과정

본 연구의 자료는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된 음성 파일과 면담 시 작 성한 현장 기록을 24시간 이내에 본 연구자가 전사한 문서화된 심층면담 내용이다. 이와 같이 생성한 연구 자료는 Colaizzi(1978)의 연구 방법을 이 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외에도 본 연구자는 연구 준비, 자료 수집, 자료 분 석, 연구 결과 도출 과정에서 경험적 현상학적 환원, 지향적 분석 방법, 문 헌 해석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A)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에 따른 자료 분석 방법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본 연구 참여자의 중환자실 전실 경험에 대한 심층면담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절차는 다 음과 같다.

§ 1단계: 본 연구자는 녹음된 면담 내용을 듣고 대상자의 진술 그대 로 전사하였다. 그리고 자료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기술된 연 구 자료와 녹음 내용 및 현장기록을 반복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는 환

§ 1단계: 본 연구자는 녹음된 면담 내용을 듣고 대상자의 진술 그대 로 전사하였다. 그리고 자료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기술된 연 구 자료와 녹음 내용 및 현장기록을 반복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는 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