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자료 분석 과정

본 연구의 자료는 참여자의 동의하에 녹음된 음성 파일과 면담 시 작 성한 현장 기록을 24시간 이내에 본 연구자가 전사한 문서화된 심층면담 내용이다. 이와 같이 생성한 연구 자료는 Colaizzi(1978)의 연구 방법을 이 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외에도 본 연구자는 연구 준비, 자료 수집, 자료 분 석, 연구 결과 도출 과정에서 경험적 현상학적 환원, 지향적 분석 방법, 문 헌 해석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A)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에 따른 자료 분석 방법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이용하여 본 연구 참여자의 중환자실 전실 경험에 대한 심층면담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절차는 다 음과 같다.

§ 1단계: 본 연구자는 녹음된 면담 내용을 듣고 대상자의 진술 그대 로 전사하였다. 그리고 자료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기술된 연 구 자료와 녹음 내용 및 현장기록을 반복적으로 검토하였다. 이는 환 자들의 서로 다른 경험 또는 동일한 경험을 확인하고 이들의 진술로 나타나는 지향적 체험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 2단계: 연구 자료를 하나씩 다시 검토하면서 중환자실 환자의 전실 경험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문장이나 구를 선택하였으며 이를 의미 있 는 진술(significant statements)로 추출하였다.

§ 3단계: 이 과정은 각각의 의미 있는 진술을 토대로 연구 현상과 관

련된 의미를 발견하는 단계로 의미 있는 진술을 신중하게 고려하여 의 미를 구성하였다. 이러한 1단계에서 3단계의 과정을 여러 차례 반복하 면서 참여자의 진술과 관련 없는 의미가 구성되거나 중요한 의미의 누락이 없는지를 점검하였다.

§ 4단계: 구성된 의미로부터 공통된 주제(themes)를 도출하고 주제모 음(theme clusters)를 조직하였다. 도출된 주제와 주제모음은 참여자의 최초 진술의 의미를 가장 잘 표현한 주제인지, 연구 현상을 설명하는 데 적절한 단어인지를 검토하기 위해 간호학 질적 연구 전문가와 국 어국문학자의 자문을 받았다.

§ 5단계: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연구 현상을 나타내는 연구 주제를 포괄적으로 기술하였다.

§ 6단계: 연구 주제로부터 연구의 핵심 현상을 확인할 수 있는 명료 한 진술을 기술하였다.

§ 7단계: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이 과정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참여자들과 전화 면담을 하였다. 이 과정은 연구 결과를 확정 하는 과정에서 두 차례 이루어졌으며 1명 사망 환자를 제외한 6명의 연구 참여자에게 연구 결과로 표현된 주제가 그들의 경험과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였다.

(B) 경험적 현상학적 환원

본 연구는 연구자가 다수의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므 로 연구 질문 형성과 심층면담을 통한 자료수집 및 분석 과정에서 경험적 현상학적 환원 방법을 사용하였다. 경험적 현상학적 환원은 연구 참여자 의 경험을 연구자가 자연적 태도에서 수집하는 것을 말한다(이남인,

2016). 그러므로 본 연구자의 선행지식과 경험, 자연과학적 태도가 연구 준비, 자료수집과 분석, 주제를 도출하는 연구 결과에 잠재적인 영향을 미 치지 않도록 연구의 전 과정에서 괄호치기(bracketing)를 수행하였다. 또 한 연구자가 아닌 연구 참여자의 지향적 체험으로서의 전실 경험을 확인 하기 위하여 지향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C) 문헌 해석의 방법

본 연구는 중환자실 환자의 전실 경험, 즉 타인의 경험에 대한 연구 이므로 중환자실 환자의 시선으로 집중하는 상호주관적 환원을 수행하였 다. 연구자는 타인을 대상으로 연구할 때 상호주관적 환원을 통해 타인의 경험을 이해하므로 해석을 수행하게 된다(이남인, 2016). 그러므로 본 연 구자는 심층면담 자료를 토대로 자료를 분석하고 연구 결과를 도출할 때 문헌 해석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전실 경험 현상을 구체화하는 과정 에서 주제와 주제모음, 전체와 부분 등의 의미와 관계를 해석하고 보완하 면서 해석학적 순환 과정을 수행하였다.

2. 연구자의 가정과 선이해

현상학적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학문분야, 학문적 훈련정도, 경력, 과 학적 지식, 상식, 종교, 문화 등의 경험이 관찰된 실제를 정확하게 기술하 는 데 영향을 준다. 즉 이러한 연구자의 편견, 추측, 가정과 선이해는 연 구 현상의 본질을 파악하기 전에 현상을 해석하게 될 가능성을 높인다(신 경림 외, 2008).

Husserl은 우리가 세계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대상에 대한 지식은 절

대적 정당화라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모두 현상학적 ‘판단중지’를 통해 배제되어야 함을 설명하고 있다(이남인, 2004). 어떤 지식에 대한 ‘판 단중지’는 혹시라도 무의식적으로 그것을 절대적으로 확실한 것으로 간주 하는 일이 없도록 일단 그것을 ‘괄호에 넣어서’ 그에 대한 판단을 보류하 는 것을 의미한다(이남인, 2004). 즉 ‘괄호치기’는 연구자의 신선한 관점을 유지하고 자료의 내용이 연구자의 경험에서 나온 것인지, 문헌고찰에서 나온 것인지 그리고 참여자에게서 나온 것인지 그 출처를 명확하게 해 준 다(신경림 외, 2008). 연구 과정에서 ‘괄호치기’는 연구자가 현상에 대한 가정과 선이해를 밝히는 것으로 본 연구자의 가정과 선이해는 다음과 같 다.

§ 중환자실 환자는 일반 병동으로 전실 하는 동안 긍정적 경험과 부 정적 경험을 함께 진술할 것이다.

§ 중환자실의 환경과 의료진과의 관계 등과 같은 개인적인 경험이 전실 수용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중환자실 환자의 중증도가 높을수록 전실 수용에 부정적일 것이다.

§ 심장 질환을 가진 참여자들은 질병 특성이 부정적 전실 경험에 영 향을 줄 것이다.

§ 중환자 간호와 병동 간호의 질 차이가 전실 경험에 영향을 줄 것 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