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III. 연구방법

3. 조사도구

이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사도구로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표 Ⅲ-1>과 같이 집단 창의성, 단일고리학습 활동, 이중고리학습 활동, 삼중고리학습 활동, 집단 리더십 변인으로 구성하였고, 그 외 인구통계학적 특성 척도도 포함되어 있으며, 5점 Likert 척도 및 선택형을 활용하였다. 측정도구는 연구자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이 연구 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기존 도구의 문항을 추출하여 재구성하였다. 전체 도구는 총 58문항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집단 창의성 13문항, 조직학습 활동(단일고리학습 활동 (8), 이중고리학습 활동(8), 삼중고리학습 활동(8)) 24문항, 집단 리더십 12문항, 그리고 인 구통계학적 특성조사 문항 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측정도구 문항수 문항번호 선행 척도

도(content validity) 검증, ② 구인 타당도(construct validity), ③ 신뢰도 분석의 절차를 거 쳤다. 첫째, 조사도구의 타당성과 신뢰도 확보를 위해 타당성 검토 조사를 실시하였다. 참여 자는 1) 팀(집단) 학습, 조직학습과 관련된 학위 논문을 가지고 있거나 HRD관련 전공 박사 학위 소지자 중 5년 이상 기업에서 근무경력을 갖춘 학계 전문가, 2) 벤처기업 현장 전문가 등 2개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총 11명을 선정하여 조사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도 확보를 위 한 조사를 진행하였다. 둘째, 예비조사(pilot test)를 통해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인하고 해당 구인의 의미를 가장 잘 설명하는 문항을 추출하였다. 예비조사에서는 집단 창의성, 조직학습 활동, 집단 리더십 등의 측정도구에 대하여 문항의 내적일치도 계수(α)에 의한 신뢰도 분석, 문항-전체 상관에 의한 변별도 분석, 구인타당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분석은 문항내 적일치도 계수를 산출하여 검사도구 전체의 신뢰도 수준을 확인하였다. 신뢰도 분석의 결과 문항제거를 했을 때 전체 도구의 신뢰도 계수를 높이는 문항을 삭제 또는 수정할 예정이었으 나, 일반적으로 문항의 내적일치도 계수가 0.6 이상일 때는 도구의 신뢰도가 높다고 판단하 므로 해당 문항이 중요하다고 판단될 때 문항을 제거하지 않아도 조사도구의 신뢰도 수준이 적정할 경우 문항을 삭제하지 않았다. 셋째, 구인타당도 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활용하였 고, 요인추출방식으로는 주성분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 회전방식으로는 직접 Oblimin 사각회전 방식을 활용하고, 고유 값은 1을 기준으로 하였다.

가. 집단 창의성 측정도구

이 연구에서 집단 창의성(collective creativity)은 집단구성원들에게 내재된 창의적사고, 아 이디어와 관점, 전문성을 바탕으로 집단이 새롭게 발견하거나 만들어낸 조합의 결과를 의미한 다. 이 연구에서는 집단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해 최성락(2000)이 개발하고 김민지와 김진모 (2014)가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 ‘확산적 사고능력’, ‘창의적 성과’에 관한 집단 창의성 측정도구를 우리나라 초기 벤처기업 R&D집단 근로자에게 적합하도록 수정․보완하여 활용하였 다. 이 도구에서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은 Basadur와 Finkbeiner(1985), Basadur, Graen, 그리 고 Wakabayashi(1990), Ettlie와 O`keefe(1982), 그리고 최종인(1995)의 척도를 참고하여 타 당화 과정을 거쳤다. ‘확산적 사고능력’은 Basadur와 Finkbeiner(1985), Siegel과 Kaemmerer(1978)의 척도를 사용하고, Mednick(1960)과 Mumford와 Gustafson(1988)의 개 념을 참고하여 타당화 과정을 거쳤다. 마지막으로 ‘창의적 성과’는 Oldham과 Cummings(1996) 의 창의적 성과 평점(creative performance ratings)의 3문항을 번안한 문항이다. 이 연구에서

집단 창의성 측정도구는 3개 요인 1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응답자의 반응범위는 5점 Likert 척도를 사용하도록 하고 있다. 개발자의 연구에서는 문항 간 내적일치도가 .87(창의적 문제해결능력), .86(확산적 사고능력), .70(창의적 성과) 등으로 높은 수준의 신뢰도를 나타냈 다. 이 연구에서는 예비조사, 본조사 시 신뢰도 확인 과정, 본 조사 시 확인적 요인분석을 거쳐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표 Ⅲ-2>, <표 Ⅲ-3> 참조).

구분 문항 내적일치도(Cronbach’s α)

예비조사(n=104) 본 조사(n=358)

집단 창의성 - .942 .897

창의적 문제해결 1-4 .894 .781

확산적 사고능력 5-10 .906 .834

창의적 성과 11-13 .827 .733

<표 Ⅲ-2> 집단 창의성 조사도구의 신뢰도 분석

구분 비표준화계수 표준화계수 S.E. C.R.

창의적 문제해결(CC_CPS)

CC_CPS_01 1.075 0.722 0.096 11.202***

CC_CPS_02 1.137 0.735 0.100 11.348***

CC_CPS_03 0.987 0.631 0.098 10.063***

CC_CPS_04 1.000 0.652 -

-확산적 사고능력(CC_DT)

CC_DT_01 0.911 0.696 0.071 12.825***

CC_DT_02 0.823 0.592 0.076 10.813***

CC_DT_03 0.826 0.676 0.066 12.444***

CC_DT_04 0.809 0.689 0.064 12.695***

CC_DT_05 0.886 0.662 0.073 12.152***

CC_DT_06 1.000 0.754 -

-창의적 성과(CC_CP)

CC_CP_01 0.867 0.734 0.068 12.670***

CC_CP_02 0.654 0.541 0.069 9.495***

CC_CP_03 1.000 0.827 -

-주1. 적합도 지수: n=358, χ2=209.233(p=.000, df=62), RMSEA=.082,

RMR=.038, GFI=.921, AGFI=.884, NFI=.893, IFI=.922, TLI=.901, CFI=.922 주2. ***p<.001

<표 Ⅲ-3> 집단 창의성 본조사 측정도구의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나. 조직학습 활동 측정도구

이 연구에서 조직학습 활동 측정도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수정 및 보완하여 개발하였 다. 단일고리학습 활동, 이중고리학습 활동, 삼중고리학습 활동 등의 형태를 띠는 조직학습 활동의 측정도구는 다음의 [그림 Ⅲ-2]와 같이 구인화, 예비문항 작성, 내용 타당도 검증, 예비조사 및 본조사 과정으로 진행되었다. 조직학습 활동에 대한 선행연구 내용분석을 통해 서 구인 모형과 하위 영역을 선정하고, 이에 대한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 작성된 예비문항은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토 결과에 따라 수정하고, 예비조사를 통해 수정 및 보완이 이루어진 도구를 본조사에 활용하였다.

단계 세부 내용

구인화

q 선행연구 내용분석에 따른 변인별(SLL,DLL,TLL) 구인화 모형 설정

q 하위영역별 개념 구명

예비문항 작성

q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문항 pool 구성

q 창업초기 벤처기업 인터뷰에 따른 문항 pool 수정 및 보완 q 지시문 및 반응양식 선정

내용타당도 검증 q 구인화 및 예비문항(안)에 대한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 q 문항수정 및 예비조사용 문항 작성

예비조사 q 예비조사 실시 및 분석: 문항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q 예비조사 문항 수정 및 보완

본조사 q 본조사 실시 및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q 최종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 보고

[그림 Ⅲ-2] 초기단계 벤처기업 R&D집단 조직학습 활동 측정도구 개발 절차

1) 구인화

일반적인 표준화 검사도구 개발과정에서 구인화의 목적은 검사가 측정하고자 하는 심리 구인 개념을 표현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행동유형을 파악하여 조작적으로 정의함으로써 이후 구 체적인 검사개발의 지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이순묵, 이봉건, 1995). 초기 벤처기업 R&D집

단의 집단 수준학습에 대한 구성개념은 단일·이중·삼중고리학습의 개념 및 특징, 유형, 절차 등 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이루어 졌으며, 이를 통해 ① 단일고리학습, ② 이중고리학 습, ③ 삼중고리학습 등의 세 가지 변인과 각 구성개념으로 구인하였다([그림 Ⅲ-3] 참조).

[그림 Ⅲ-3] 단일·이중·삼중고리학습 활동의 개념적 구인(초안)

개념적 구인 초안에서 단일고리학습은 집단구성원들이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구체적인 과업 지식과 진행 프로세스를 얼마나 유사하게 이해하고 해석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도를 의미하며 지식 공유와 내부경험 활용 등의 구성개념을 가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중고리학습은 주어진 과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자신들의 약점과 실수를 보다 적극적으로 평가하고 언급하면서 활용하 는지에 대한 정도를 의미하며 가정 비판, 담론화, 재정의 등의 구성개념을 가질 것으로 예상하였 다. 삼중고리학습은 메타학습 개념으로 집단구성원들이 공유된 인지모형을 만들어 나가는 과정에 대한 학습을 얼마나 실시하는지에 대한 정도를 의미하며 전략적 학습, 통찰 학습 등의 구성개념을 가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2) 예비문항 작성

선행연구 분석을 토대로 설정된 조직학습의 하위영역에 대한 예비문항을 작성하기 위하여 기존에 개발된 관련 도구를 수집하여 구명하는 귀납적 구인방식을 병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단일·이중·삼중고리학습의 개념 및 특징, 유형 및 수준, 기저 이론 등과 관련된 도구를 수집 하고, 도구의 각 진술문을 설정된 하위영역에 대입하였다.

첫째, 단일고리학습으로서의 지식 공유에 대한 문항은 ‘단일고리학습’, ‘일원학습’, ‘지식공 유’ 등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김달곤, 임태종, 2009; 김문주, 윤정구, 2010; 2012; 김운 우, 김지대, 2014; 이수도, 2003; Wong, Cheung, & Fan, 2009)를 참조하여 예비문항을 작 성하였다.

둘째, 이중고리학습으로서의 비판적 담론에 대한 문항은 ‘이중고리학습’, ‘이원학습’, ‘담론’,

‘비판적 성찰 업무 행동’ 등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김달곤, 임태종, 2009; 김문주, 윤정구, 2010; 2012; 김운우, 김지대, 2014; 이수도, 2003; 최지원, 정진철, 2012; Wong, Cheung, &

Fan, 2009)를 참고하여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

셋째, 삼중고리학습으로서의 메타학습에 대한 문항은 ‘삼중고리학습’, ‘삼원학습’, ‘정체성 공 유’, ‘재학습’, ‘메타학습’, ‘3차원의 학습’ 등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김문주, 윤정구, 2010;

2012; 박선형, 2004; 오석영, 2010; 이갑두, 2014; 이은정, 장승권, 2013; Lee & Rheem, 2015; Wong, Cheung, & Fan, 2009)를 참고하여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

한편, 예비문항의 작성을 위해서는 하위영역별로 몇 개의 문항을 작성할 것인지가 먼저 논의되어야 하는데 일반적으로는 최종 검사 단계에서 하위영역별로 최소 3개 정도의 문항을 구성할 것을 권고하고 있으므로(Croker & Algina, 1986; Walsh & Betz, 1995), 이를 고려 하여 하위영역별로 4개의 예비문항을 작성하였다. 따라서 단일고리학습 하위 요인 ‘지식공 유’, ‘내부경험 활용’에서 각 4개 문항, 이중고리학습 하위 요인 ‘가정비판’, ‘담론화 및 재정 의’에서 각 4개 문항, 삼중고리학습 하위 요인 ‘피드백 활용’, ‘전방위적 사고학습’에서 각 4 개 문항 등 총 24개 문항의 예비문항이 작성되었다([부록 1] 참조).

다음으로 개발된 문항에 대해 지시문과 응답양식을 결정하였다. 지시문은 응답자가 조직학습 인지 과정, 정신모형 등에 대한 정의를 정확하게 알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하여 ‘우리 기업이 다

다음으로 개발된 문항에 대해 지시문과 응답양식을 결정하였다. 지시문은 응답자가 조직학습 인지 과정, 정신모형 등에 대한 정의를 정확하게 알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하여 ‘우리 기업이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