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측정모형의 분석을 통해 관찰변인들이 잠재변인을 신뢰롭게 측정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 여, 구조모형을 통해 각각의 잠재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앞서 연구의 모형에서 설정된 가설적 구조모형을 바탕으로 Amos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모수를 추정하였다. 모 수를 추정하는 방법으로는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 ML)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는 다음 [그림 Ⅳ-2]와 같다.

주1. 1) 지표변인으로 통계적 검정 불가 주2. *p<.05,**p<.01,***p<.001 주3. 제시된 계수는 표준화 값임

[그림 Ⅳ-2] 구조모형 분석 결과

가. 구조모형의 적합도 분석

PRATIO(Parsimony Ratio) ≥ 0.50, 0.60 0.636 적합

PNFI(Parsimony NFI) ≥ 0.50, 0.60 0.541 적합

PCFI(Parsimony CFI) ≥ 0.50, 0.60 0.616 적합

기타 지수

IFI가 .970, TLI가 .949, CFI가 .968로 나타났는데, 선행 연구에 따르면 ≥ 0.85을 증분적합 지수의 양호한 수준으로 해석하기도 하므로 위와 같은 결과는 대체로 적합도 판단기준을 충 족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간명적합지수 값으로서 PRATIO가 .636, PNFI .541, PCFI .616으로 나타나 모두 간명적합도 판단 기준을 충족시켰으며, 기타지수인 RMSEA도 .046으 로 매우 좋은 편으로 나타나, 이를 종합해 볼 때 12개의 적합도 지수가 적합도 기준을 대체 적으로 충족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가설적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변인 간 인과 관계를 예측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것이라는 영가설은 기각하고, 가설적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변인 간 인과관계를 예측하기에 적합할 것이라고 가정한 연구가설을 채택하였다.

나. 구조모형의 경로계수 분석

가설적 구조모형의 적합도가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어 가설적 구조모형의 요인계수 및 경로 계수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 <표 Ⅳ-11>과 같다. 경로계수 분석 결과, ‘집단 리더십 → 단일고리학습 활동’, ‘집단 리더십 → 이중고리학습 활동’, ‘집단 리더십 → 삼중고리학습 활 동’, ‘이중고리학습 활동 → 집단 창의성’, ‘삼중고리학습 활동 → 집단 창의성’ 등의 잠재변인 간의 경로계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비표준화계수 표준화계수 S.E. C.R.

집단 리더십 단일고리학습 활동 0.669 0.604 0.196 3.414 ***

집단 리더십 이중고리학습 활동 0.382 0.482 0.157 2.434 *

집단 리더십 삼중고리학습 활동 0.615 0.591 0.199 3.092 **

집단 리더십 집단 창의성 -0.091 -0.121 0.194 -0.468

단일고리학습 활동 집단 창의성 0.093 0.138 0.115 0.811

이중고리학습 활동 집단 창의성 0.450 0.476 0.189 2.379 *

삼중고리학습 활동 집단 창의성 0.430 0.596 0.176 2.441 *

주. *p<.05, **p<.01, ***p<.001

<표 Ⅳ-11> 구조모형의 잠재변인 간 추정된 상관계수

이와 함께 잠재변인의 다중상관자승을 확인함으로써 내생잠재변인이 외생잠재변인에 의해 얼마나 설명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다. 다중상관자승은 회귀분석의 결정계수(R2)와 같은 의미로 외생잠재변인에 대한 설명량을 나타내기 때문이다(이훈영, 2008). 내생잠재변인의 다

중상관자승은 <표 Ⅳ-12>와 같이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단일고리학습 활동은 집단 리더 십에 의해 약 36.2.2%, 이중고리학습 활동은 집단 리더십에 의해 약 23.2%, 삼중고리학습 활동은 집단 리더십에 의해 약 35.0%, 집단 창의성은 집단 리더십, 단일고리학습 활동, 이중 고리학습 활동 및 삼중고리학습 활동에 의해 71.3%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분 다중상관자승(R2)

집단 리더십1)

-단일고리학습 활동 0.365

이중고리학습 활동 0.232

삼중고리학습 활동 0.350

집단 창의성 0.713

주. 집단 리더십은 외생잠재변인으로 다중상관자승이 제시되지 않음.

<표 Ⅳ-12> 구조모형의 잠재변인 다중상관자승(R2)

다. 집단 창의성과 집단 리더십, 조직학습 활동의 영향 관계 1) 통계적 유의성 검증

최종 구조모형을 바탕으로 팬텀변수(phantom variable)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 였으며,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실시 하였다. 매개효과 분석 결과 집단 리더십이 단일고리학습 활동을 매개로 집단 창의성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은 비표준화 계수 .026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난 반면(p=.196), 집단 리더십이 이중고리학습 활동을 매개로 집단 창의성에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은 비표준화 계수 .050으로 p<.05 수준에서 유의하였으며, 집단 리더십이 삼중고리학습 활동을 매개로 집단 창의성에 미치 는 간접적인 영향은 비표준화 계수 .073으로 p<.01 수준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 비표준화 계수 부트스트랩 추정 p값

집단 리더십 → 단일고리학습 활동 → 집단 창의성 .026 .196

집단 리더십 → 이중고리학습 활동 → 집단 창의성 .050 .017

집단 리더십 → 삼중고리학습 활동 → 집단 창의성 .073 .003

주. 팬텀변수를 통한 매개효과분석은 표준화계수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각 경로의 유의성만을 제시함.

<표 Ⅳ-13> 팬텀변수를 통한 매개효과 분석 결과

2) 집단 창의성에 대한 집단 리더십, 단일고리학습 활동, 이중고리 학습 활동, 삼중고리학습 활동의 영향 관계

가설 2-1.

H1 :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집단 리더십은 집단 창의성에 정적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칠 것이다.

H0 :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집단 리더십은 집단 창의성에 정적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치지 않을 것이다.

집단 리더십과 집단 창의성의 경로계수 β 는 -.121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집단 리더십이 집단 창의성에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 치지 않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가설 2-1의 대립가설을 기각하고 귀무가설을 채택하였 다. 즉,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집단 리더십이 집단 창의성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가설 2-2.

H1 :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집단 리더십은 단일고리학습 활동을 매개로 집단 창의성에 정적 영향을 간접적으로 미칠 것이다.

H0 :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집단 리더십은 단일고리학습 활동을 매개로 집단 창의성에 정적 영향을 간접적으로 미치지 않을 것이다.

집단 리더십이 집단 창의성에 단일고리학습 활동을 매개로 하여 미치는 간접효과는 .083 (.604×.138)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간접효과 부트스트랩 추정p=.196)으로 나타 났다. 이는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집단 리더십이 단일고리학습 활동을 거쳐 집단 창의성 에 정적 영향을 간접적으로 미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가설 2-2의 대립가설을 기각하고 귀무가설을 채택하였다. 즉,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집단 리더십이 단일고리학 습 활동을 매개로 집단 창의성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가설 2-3.

H1 :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집단 리더십은 이중고리학습을 매개로 집단 창의성에 정적 영향을 간접적으로 미칠 것이다.

H0 :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집단 리더십은 이중고리학습을 매개로 집단 창의성에 정적 영향을 간접적으로 미치지 않을 것이다.

집단 리더십이 집단 창의성에 이중고리학습 활동을 매개로 하여 미치는 간접효과는 .229(.482×.476)(p<.05)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집단 리더십이 이중고리학습 활동을 거쳐 집단 창의성에 정적 영향을 간접적으 로 미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가설 2-3의 대립가설을 채택하였다.

즉,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집단 리더십이 이중고리학습 활동을 매개로 집단 창의성에 간 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친다.

가설 2-4.

H1 :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집단 리더십은 삼중고리학습 활동을 매개로 집단 창의성에 정적 영향을 간접적으로 미칠 것이다.

H0 :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집단 리더십은 삼중고리학습 활동을 매개로 집단 창의성에 정적 영향을 간접적으로 미치지 않을 것이다.

집단 리더십이 집단 창의성에 삼중고리학습 활동을 매개로 하여 미치는 간접효과는 .352(.591×.596)(p<.01)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집단 리더십이 삼중고리학습 활동을 거쳐 집단 창의성에 정적 영향을 간접적으 로 미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가설 2-4의 대립가설을 채택하였다.

즉,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집단 리더십이 삼중고리학습 활동을 매개로 집단 창의성에 간 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친다.

가설 3.

H1 :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단일고리학습 활동은 집단 창의성에 정적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칠 것이다.

H0 :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단일고리학습 활동은 집단 창의성에 정적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치지 않을 것이다.

단일고리학습 활동과 집단 창의성의 경로계수 β 는 .138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단일고리학습 활동이 집단 창의성에 정적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치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가설 3-1의 대립가설을 기각하고 귀무가설을 채택하였다. 즉,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단일고리학습 활동은 집단 창의성에 정적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치지 않는다.

가설 4.

H1 :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이중고리학습 활동은 집단 창의성에 정적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칠 것이다.

H0 :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이중고리학습 활동은 집단 창의성에 정적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치지 않을 것이다.

이중고리학습 활동과 집단 창의성의 경로계수 β 는 .476(p<.05)이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이중고리학습 활동이 집단 창의성에 정적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침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에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가설 4-1의 대립가 설을 채택하였다. 즉,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이중고리학습 활동은 집단 창의성에 정적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친다.

가설 5.

H1 :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삼중고리학습 활동은 집단 창의성에 정적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칠 것이다.

H0 :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삼중고리학습 활동은 집단 창의성에 정적 영향을 직접적으로

H0 : 초기 벤처기업 R&D집단의 삼중고리학습 활동은 집단 창의성에 정적 영향을 직접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