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집단 창의성 13-65 38.020 53.250 46.701 3.211 2.920 4.100 3.592 0.247 창의적 문제해결 4-20 10.300 18.000 14.510 1.353 2.580 4.500 3.628 0.338 확산적 사고 6-30 17.340 25.500 21.405 1.679 2.890 4.250 3.567 0.280 창의적 성과 3-15 8.330 13.500 10.786 1.143 2.780 4.500 3.595 0.381 단일고리학습 활동 8-40 24.500 38.330 31.432 2.675 3.060 4.790 3.929 0.334

지식공유 4-20 12.500 19.250 15.709 1.416 3.130 4.810 3.927 0.354

내부경험 활용 3-15 8.250 14.625 11.793 1.319 2.750 4.880 3.931 0.440 이중고리학습 활동 8-40 24.000 33.750 28.706 2.421 3.000 4.220 3.588 0.303

가정비판 4-20 11.000 18.250 14.389 1.447 2.750 4.560 3.597 0.362

담론화 및 재정의 4-20 9.330 17.340 14.318 1.416 2.330 4.340 3.579 0.354 삼중고리학습 활동 8-40 22.650 36.330 28.442 3.037 2.830 4.540 3.555 0.380

피드백 활용 4-20 10.500 18.330 14.385 1.620 2.630 4.580 3.596 0.405 전방위적 사고학습 4-20 8.660 18.500 14.057 1.986 2.170 4.630 3.514 0.497

집단 리더십 12-60 37.750 54.350 46.311 3.664 3.150 4.530 3.859 0.305 지원과 배려 6-30 17.680 28.330 23.013 2.376 2.950 4.720 3.836 0.396 개발과 멘토링 6-30 18.340 27.250 23.298 1.914 3.060 4.540 3.883 0.319

<표 Ⅳ-3> 관찰변인의 기술적 통계량

나. 관찰변인의 다변량 정규성

이 연구에서는 관찰변인의 다변량 정규성을 살펴보기 위해 각 관찰변인의 왜도(skewness) 와 첨도(kurtosis)를 활용하여 단변량 정규성을 확인하였다. 다변량 정규성은 모든 단변량 분 포가 정규분포를 따르고, 조합된 변인들의 결합분포도 정규분포를 따라야 하며, 2개의 변인이

동시에 이루고 있는 결합분포가 모두 선형성과 등분산성을 만족해야 함을 의미한다. 그리나 모든 결합분포를 살펴보는 것은 현실적인 한계가 있어 관찰변인의 단변량 분포를 살펴봄으로 써 다변량 정규성을 확인하였다(Kline, 2005). 그 결과는 다음 <표 Ⅳ-4> 와 같다.

변인 최소값 최대값

왜도(skewness) 첨도(kurtosis)

지수 C.R 지수 C.R

집단 창의성

창의적 문제해결 2.580 4.500 -0.216 -.879 0.431 .696 확산적 사고 2.890 4.250 0.237 .952 -0.166 -.424 창의적 성과 2.780 4.500 0.083 .324 -0.356 -.824 단일고리학습 활동

지식공유 3.130 4.810 0.167 .673 -0.088 -.293

내부경험 활용 2.750 4.880 -0.450 -1.810 0.120 .112 이중고리학습 활동

가정비판 2.750 4.560 0.272 1.085 -0.049 -.229

담론화 및 재정의 2.330 4.340 -0.718 -2.892 1.122 2.078 삼중고리학습 활동

피드백 활용 2.630 4.580 0.165 .663 -0.454 -1.002 전방위적 사고학습 2.170 4.630 -0.273 -1.097 -0.082 -.281 집단 리더십

지원과 배려 2.950 4.720 -0.216 -.881 -0.536 -1.168 개발과 멘토링 3.060 4.540 -0.253 -1.010 -0.393 -.895

다변량 정규성 - 15.747 4.656

<표 Ⅳ-4> 관찰변인의 단변량 정규성 및 다변량 정규성 검사결과

단변량의 정규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왜도와 첨도 지표를 활용하는데, 왜도의 경우 |3.0|

이내, 첨도의 경우 |8.0 – 20.0| 이내일 때 정규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Curran, West, & Finch, 1996). 또한 Hong, Malik과 Lee(2003)는 왜도 2, 첨도 4 이내의 기준을 만 족하면 구조방정식 모형의 정상분포조건을 갖출 수 있다고 주장하였다. <표 Ⅳ-4>에 나타 난 이 연구의 왜도 절대값 지수는 .083 ∽ .718, 첨도 절대값 지수는 .049 ∽ 1.122로 단변 량 정규성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다변량 정규성의 경우, 유의도 .05 수준에서 다변량 첨도지수가 15.747로 나타나 정규성을 가정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 변인 간 상관관계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의 기초행렬이 되는 관찰변인 간의 상관관계 행렬은 다음 <표 Ⅳ-5>

와 같다.

집단 창의성을 기준으로 볼 때, 창의적 문제해결은 함께 투입된 집단 창의성 하위구인인 확산적 사고와 중간 상관(r=.481)을 보였고, 창의적 성과와는 낮은 상관관계(r=.215)에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산적 사고와 창의적 성과는 중간 상관(r=.393)을 보였다.

집단 창의성과 집단 리더십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창의적 문제해결은 집단 리더십의 하 위구인인 지원과 배려와는 중간 상관(r=.474), 개발과 멘토링과는 낮은 상관(r=.333)을 나 타냈다. 확산적 사고는 지원과 배려(r=.221), 개발과 멘토링(r=.342)과는 낮은 상관을 나타 냈다. 창의적 성과는 지원과 배려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고, 개발과 멘토링과는 낮은 상관 관계(r=.271)를 나타냈다.

집단 창의성과 단일고리학습 활동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창의적 문제해결은 지식공유 및 창의적 성과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고, 확산적 사고는 지식공유와 낮은 상관(r=.277)을 보였다. 창의적 문제해결과 내부경험 활용(r=.244), 확산적 사고와 내부경험 활용(r=.220)은 낮은 상관을 나타냈다.

집단 창의성과 이중고리학습 활동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창의적 문제해결은 가정비판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고, 확산적 사고와 가정비판(r=.328), 창의적 성과와 가정비판 (r=.301)은 낮은 상관을 보였다. 창의적 문제해결과 담론화 및 재정의(r=.296), 창의적 성과 와 담론화 및 재정의(r=.205)는 낮은 상관, 확산적 사고와 담론화 및 재정의는 중간 상관 (r=.422)을 나타냈다.

집단 창의성과 삼중고리학습 활동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창의적 문제해결은 피드백 활용 과 낮은 상관(r=.214), 확산적 사고와 피드백 활용은 중간 상관(r=.439), 창의적 성과와 피 드백 활용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창의적 문제해결과 전방위적 사고학습(r=.214), 창 의적 성과와 전방위적 사고학습(r=289)은 낮은 상관, 확산적 사고와 전방위적 사고학습은 중간 상관(r=434)을 나타냈다.

한편, 단일고리학습 활동, 이중고리학습 활동, 삼중고리학습 활동 하위구인 간의 상관은 높 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변인 1 2 3 4 5 6 7 8 9 10 11 집단 창의성

1 창의적 문제해결 1

2 확산적 사고 .481*** 1

3 창의적 성과 .215* .393*** 1

집단 리더십

4 지원과 배려 .474*** .221* 0.114 1

5 개발과 멘토링 .333** .342*** .271** .453*** 1

단일고리학습 활동

6 지식공유 0.137 .277** 0.122 .262** .345*** 1

7 내부경험 활용 .244* .220* -0.019 .211* .251* .414*** 1

이중고리학습 활동

8 가정비판 0.108 .328** .301** 0.02 .223* 0.192 0.097 1

9 담론화 및 재정의 .296** .422*** .205* .216* 0.193 .233* 0.185 .431*** 1

삼중고리학습 활동

10 피드백 활용 .214* .439*** 0.053 0.157 .252* 0.165 0.071 0.163 0.125 1

11 전방위적 사고학습 .214* .434*** .289** 0.161 .359*** 0.088 -0.039 .278** .438*** .412*** 1

주. *p<.05, **p<.01, ***p<.001

<표 Ⅳ-5> 관찰변인 간 상관행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