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2절 정책시사점

문서에서 기회의 불평등 측정에 관한 연구 (페이지 119-127)

기회의 불평등이 교육성취, 사회적 지위, 경제력 등의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확인되면, 기회의 불평등을 보정하는 정부의 역할이 필요 하다. 기회의 불평등은 불공정한 불평등으로 인식되고, 이에 대한 보상이 필요하다는 정의론적 관점에 입각한 것이다. 기회의 불평등 보정의 중요 성은 경제적 관점에서도 뒷받침 될 수 있다. 기회의 불평등은 결과의 불 평등을 야기하고, 결과의 불평등은 다시 또 다른 기회의 불평등을 야기하 는 식으로 연쇄작용을 일으킨다. 이 같은 불평등은 경제성장에도 좋지 않

112 기회의 불평등 측정에 관한 연구

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기회의 평등은 단순히 도 덕적인 관점에서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관점에서도 중요한 목표가 된다.

그렇다면 기회의 불평등을 보정하는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수단은 무엇일까. 여기에 대한 해답을 찾는 것은 또 다른 과제라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저명한 경제학자인 스티글리츠(J. Stiglitz)와 헤크만(J. Heckman) 이 제안하는 바를 참고할 수 있다.

먼저, 스티글리츠(Stiglitz, 2013)는 기회의 평등을 위한 정책은 가장 어린 아동에게 맞춰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구체적으로 모(母)가 위해환경 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과 부모의 적절한 건강관리를 중요하게 보고 있다. 그리고 최근 미국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보육료지원 축소안도 철회 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 같은 제안은 결국 어린 아동의 건강한 성장 여건을 제공하는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스티글리츠의 이 같은 조기개입에 대해서는 헤크만(Heckman, 2012) 도 같은 입장에 있다. 헤크만은 인지능력에 초점을 맞추는 교육제도를 비 판하면서 비인지 능력(신체·정신건강, 인내심, 주의력, 열정, 자신감, 사 회감성)의 중요성을 주장한다. 따라서 비인지 능력이 인지능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비인지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정책이 필요하다. 그런데 인 간의 인지 및 비인지 능력은 조기에 발달되고, 가족환경(보모의 수, 소득, 교육수준)에 좌우되기 때문에 가족환경이 열악하면 세대를 걸쳐 누적되 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조기교육에 대한 정부의 개입이 중요하게 된다.

조기교육은 인지능력뿐만 아니라 사회감성능력을 키우는데 도움이 되고, 이것이 인지능력과 사회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부의 조 기개입이 보다 효과적이라는 입장에 선다.

스티글리츠와 헤크만이 시사하는 것은 결국 기회의 불평등을 보정할 수 있는 수단으로 정부의 사전적 개입이 유용하다는 것이다. 기회의 불평등이

제5장 결론 및 정책시사점 113

야기하는 결과의 불평등을 보정하는 데는 상당한 비용이 수반된다. 그리고 사후적인 소득재분배 정책은 사회불평등을 일시적으로 개선시키는 효과 는 있지만 장기적으로, 사회이동성과 사회통합의 관점에서 볼 때 분명한 한계를 가진다. 그러나 열악한 환경에 처해 있는 아동들의 생활환경을 개 선시키고, 비인지 능력을 계발할 수 있는 사전분배(predistribution) 정 책은 사회통합, 경제적 효율성, 노동생산성의 측면에서 재분배정책보다 훨씬 효과적이다. 그리고 공정성과 경제적 효율성의 측면에서도 비교우위 를 가진다(Heckman & Rubinstein, 2001; Heckman, 2013). 따라서 우리 사회에서 기회의 불평등이 결과의 불평등으로 이어지는 상황이 발견 되는 한 사전재분배로의 정책적 관심이 맞춰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사전재분배 정책은 다음의 두 가지 중요한 질문에 대한 대답이 선행되어야 한다. 먼저, 정책대상을 어느 집단으로 할 것인가의 문제이 다. 즉, 열악한 환경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와 관련이 되는 문제다. 이것 은 아동이 처해있는 환경을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수단 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에 대해서는 세계은행(World Bank)이 저개발 국 아동의 생활환경을 측정하기 위해 활용하고 있는 인간기회지수 (Human Opportunity Index, HOI)를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앞으로 중요한 연구과제가 될 수 있다.

두 번째 질문은 기존의 정책들과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이 다. 이것은 결국 관련 정책들의 재원을 어떻게 배분할 것인가의 문제와 기존 교육제도를 재검토 하는 문제가 될 것이다. 재원배분의 문제는 기존 의 사후적 재분배 정책(국민기초보장제도, 기초노령연금제도 등)과 사전 적 재분배 정책(보육제도, 교육제도 등)간 재원배분의 문제로 귀결될 수 있다. 교육제도의 재검토는 수월성 위주의 교육제도가 비인지 능력 향상 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검토에서 출발해야 할 것이다.

고제이․이우진(2011). 아버지의 학력과 아들의 성취. 재정학연구. 4(2): 47-87 교육부(2013). 2013년 OECD 교육지표 조사결과 발표(보도자료).

구인회․김순규(2002). “가족배경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 가족 구조와 빈곤의 영향을 중심으로”. 제4회 한국노동패널 학술대회 자 료집.

김경근․변수용(2007). “한국사회에서의 학업성취에 대한 문화자본의 영향”. 교육 사회학연구 17(1): 23-51.

김광혁(2010). “빈곤이 아동의 우울․불안에 미친 영향: 빈곤의 기간 및 시기, 정 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연구 21(1): 5-31.

김기헌(2004). “가족 배경이 교육단계별 진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학 35(5): 109-142.

김영석(2006). “한국사회에서의 교육양극화 담론의 지형”. 교육양극화의 현황과 대처방안. 한국교육네트웤 학술대회.

김영화․김병관(1999). “한국 산업화 과정에서의 교육과 사회계층 이동”. 교육학 연구 37(1): 155-172.

김왕배(2001). 산업사회의 노동과 계급의 재생산: 일상생활 세계의 불평등에 대 한 성찰. 한울.

김현주․이병훈(2007).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가족배경, 사회자본 및 문화자 본의 영향”. 한국인구학 30(1): 125-148.

남현숙․김혜숙(2013). “Bourdieu의 문화자본론적 관점에서 한국과 프랑스의 교 육격차 발생과정 비교”. 한국프랑스학논집 81: 187-211.

방하남 외(2004). “현대사회의 가족과 사회경제적 불평등”. 현대 한국사회의 불 평등. 한울 아카데미.

신명호(2011), 왜 잘사는 집 아이들이 공부를 더 잘하나?. 한울아카데미.

참고문헌 <<

116 기회의 불평등 측정에 관한 연구

DiMaggio P. 1982. Cultural entrepreneurship in nineteenth-century Boston. Media Cult. Soc. 4:33-50, 303-21.

DiMaggio, P., & J. Mohr.(1985), Cultural capital, educational attainment, and martial selecti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0(6): pp.

1231-1261.

DiMaggio, P., & J. Mohr.(1985). "Cultural capital, educational attainment, and martial selectio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0(6): pp. 1231-1261.

Dworkin, R.(1978), Taking Right Seriously, Harvard University Press.

Dworkin, R.(1981), What is Equality ?, Philosophy and Public Affairs, N.10.

Dworkin, R.(2000), Sovereign Virtue: The Theory and Practice of Equality, Harvard University Press.

Heckman, J.(2012). "Promoting Social Mobility", Lead Essay, Boston Review(2012. 10)

참고문헌 117

Heckman. J. and Y. Rubinstein(2001) "The Importance of Noncognitive Skills: Lessons from the GED Testing Program," American Economic Review 91, no. 2 (2001): 145–49.

Istvant Hont and Michael Ignatieff(1983), “Needs and justice in the Wealth of Nations”, Wealth & Virtue, p. 44. 1983

Jæger, mads meier(2011). "Does Cultural Capital Really Affect Academci Achievement? New Evidence from Combined Sibling and Panel Data". Sociology of Education 84(4): 281-298.

Jæger, mads meier. 2011. "Does Cultural Capital Really Affect Academic Achievement? New Evidence from Combined Sibling and Panel Data". Sociology of Education 84(4): 281-298.

John Rawls(1971). 사회정의론(황경식 역). p.32.

Locke, John(1988). Two Treatises of Governmen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Lucas, S.R.(2001). Effectively maintained inequality: Educatuin transitions, track mobility, and social background effect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106, 1642-1690.

Macpherson, C. B.(1962), The Political Theory of Possessive Individualism, Oxford University Press, p. 221.

Marrero, G.A., J.G. Rodriguez(2010) "Inequality of opportunity and growth" ECINEQ Working Paper Series

Marrero, G.A., J.G. Rodriguez(2011) “Inequality of Opportunity in the United States: Trends and Decomposition” in Rodrigues, J.G (eds.) Inequality of Opportunity: Theory and Measurement.

Research on Economic Inequality. Volume 19. Emerald Books Nozick, R.(1974), Anarchy, State, and Utopia, New York: Basic Book,

Inc., Publishers.

OECD(2013). Education at a glance 2013.

118 기회의 불평등 측정에 관한 연구

Pew Research Coneter(2009) Trends in Political Values and Core Attitudes. 1987-2009"

Roemer, J.(1993) "A Pragmatic Theory of Responsibility for the Egalitarian Planner," Philosophy and Public Affairs, 10: 146-166 Rousseau(1984). J.-J, Du contrat social, in Euvres complètes, t. Ⅲ,

Pléiade, p. 351.

Sen, A.(1984), Resources, Values, and Development,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Sen, A.(1992), Inequality Reexamined, Oxford University Press.(이상 호, 이덕재 역, ‘불평등의 재검토’, 한울아카데미, 1999.)

Sen, A.(1999), Development as Freedom, Oxford University Press.

Stiglitz, J(2013), Equal Opportunity, Our National Myth, The New York Times

Van de Gaer, Dirk(1993) "Equality of opportunity and investment in human capital" Ph.D. Dissertation, Katholieke Universiteit Leuven Voitchovsky, Sarah(2009) “Inequality and Economic Growth”, Chapter

22 in W. Salverda, B. Nolan and T. Smeeding (eds.) Oxford Handbook of Economic Inequality.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ISSP 사이트: http://www.issp.org/page.php?pageId=4

문서에서 기회의 불평등 측정에 관한 연구 (페이지 119-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