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3절 연구 방법

문서에서 기회의 불평등 측정에 관한 연구 (페이지 98-101)

본 연구에서 사용하고 있는 자료는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Korean Education and Employment Panel) 원자료이다. 한국교육고용패널 조사는 우리나라 청소년의 교육경험과 진학, 진로, 직업세계로의 이행 등 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4년에 중학교 1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산으로 시작된 조사이다(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2). 본 연구에서는 문화자본과 관련된 가구 변수들을 담고 있는 4차년도 원자료를 활용하였 으며, 대상은 1차년도에 중학교 3학년이고, 4차년도에 고등학교 3학년이 되는 학생이다. 특히, 4차년도에는 전문계고, 외국어고, 과학고 학생들이 표본에 추가됨으로써 대표성이 높아졌다. 또한, 고등학교 3학년생의 학 력고사 수능점수를 담고 있어 학업성취도에 대한 표준화된 점수를 적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종속변수는 학업성취도의 대리변수로서 언어, 수리, 외국어, 탐구영역 의 수능점수와 합산점수이다. 각각의 수능점수는 9등급체계로 표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9등급체계를 수능점수 표준화 방식9)으로 재 산정하여 사용하였으며, 합산점수 역시 표준화10)하여 사용하였다.

9) 표준점수 산출 방식은 언어, 수리, 외국어의 경우 평균이 100, 표준편차가 20, 탐구영역 의 경우 평균 50, 표준편차 10인 정규분포를 따르는 확률변수로 바꾸는 것이다. 합산점 역시 이들 언어, 수리, 외국어, 탐구영역 점수를 합산하여 평균 50, 표준편차 10인 표 점수로 환산하였다.

10) 표준점수로 산출할 경우 개인 내 혹은 개인 간 점수를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는 장 점이 있다. z점수는 평균을 0, 표준편차를 1로 정한 표준점수이며, z점수를 변화하여 만 든 또 다른 표준화 점수로 t점수는 평균이 50이고 표준편차가 10인 표준점수이다. t점

제4장 기회의 불평등과 교육성취 - 문화자본을 중심으로 91

본 연구에서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 한국교육고용패널 1차 및 4차조 사자료를 활용하여 문화자본이 학생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독립변수인 문화자본은 문화활동, 독서환경, 독서향유, 문화생활 수준 의 네 가지 개념을 조작화하였다. 첫째, 문화활동은 가족단위의 문화활동 점수로 산정되며, 5점 서열척도로 구성된 5개 항목(외식하기, 영화․연극․

뮤지컬 등 관람, 박물관․미술관․음악회 등 관람, 여행․등산․낚시 등, 운동) 과 지난 3년간 가족과의 해외여행 여부를 표준화한 점수의 합산점수11)로 조작화되었다12). 둘째, 독서환경은 학생의 독서향유활동을 지원하는 환 경으로 정의되며, 취학 전 책을 자주 읽어주었는지(5점 척도)와 가구의 책 보유량(8점 서열척도)을 표준화하여 합산점수로 산정되었다. 셋째, 독 서향유는 문화자본이 내재화된 정도를 파악하기 위한 변수로 한 달 평균 몇 권의 책을 읽는지(등간척도)와 3개의 5점척도 문항(독서는 꼭 해야 할 경우에만 한다. 나는 책읽기를 좋아한다. 책을 선물로 받을 때 기쁘다)의 표준화 합산점수로 계측되었다. 마지막으로, 문화생활수준은 지난 1년간 월평균 가구단위 문화지출비의 자연로그로 계측되었다.

수는 대부분이 20-80점 사이에 분포하게 되므로 모든 점수가 양수로 표시된다는 장점 이 있다.

11) 비슷한 연구에서는 주로 요인부하값(facor loading)을 사용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표준 점수를 사용함으로써 포함된 모든 문항에 대해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하고자 하였다.

요인과 그 요인을 구성하는 항목의 관계가 이론적으로나 기존 연구를 통해 어느 정도 명확하게 밝혀진 경우 요인점수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나, 본 연구에서는 시론적인 차 원에서 각 문항이 가구의 문화자본으로서 동등한 중요성을 가진다고 가정하였기 때문에 표준화점수를 사용하였다.

12) 이 문항은 가구단위 변수와 학생 개인단위 변수 두 개로 조작화되었다. 다만 학생 개인 단위 변수에는 해외여행 여부가 포함되지 않았다.

92 기회의 불평등 측정에 관한 연구

제4장 기회의 불평등과 교육성취 - 문화자본을 중심으로 93

본 연구는 부르디외의 이론과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했던 디마 지오의 기본 가설을 한국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디마지오의 가설은 다음 과 같다.

첫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자녀의 문화자본의 양과 형태를 결정한다.

둘째, 다른 조건을 통제한 상태에서 문화자본은 자녀의 교육성과에 유의미한 영향 을 미친다.

셋째, 문화자본 변수를 도입하면 가족의 사회경제적 배경의 효과는 크게 감소한다

문서에서 기회의 불평등 측정에 관한 연구 (페이지 98-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