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기업 지원을 위한 민간네트워크 구축방안과 관련해서 정부와 제3섹터 주체세력에게 다음과 같이 정책제안을 하고자 한다.

먼저 정부에 대한 정책제안은 다음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사회적 기업 설립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정부차원에서 명확한 정책방향 을 수립해야 한다. 그것은 현재 사회적 일자리 프로그램 참여자를 어떠한 방식 으로 공공부문 일자리로 흡수할 것인지, 사회서비스부문 시장을 형성하여 진입 시킬 것인지, 사회적 기업으로 발전시킬지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정립해야 한

다. 이는 사회적 일자리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민간과의 협력을 위한 전제조건 이 될 것이다.

둘째, 정부는 사회적 일자리 프로그램에 대한 양적 지원의 단계를 넘어 사회 적 기업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이행을 위한 지원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그리 고 사회적 기업 설립을 위한 민간의 역량이 확충되고 사회적 기업이 설립됨에 따라 사회적 기업에 대한 법제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사회서비스의 구 매를 촉진할 수 있는 지원제도를 도입함으로써 사회적 기업이 질적‧양적으로 확대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이어 제3섹터의 주체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첫째, 사회적 기업 설립을 주장하는 제3섹터의 주체와 관련해서는 현재 분산 되어 있는 사회적 일자리 또는 맹아적 사회적 기업을 지역별, 사업별로 연계하 는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이는 사회경제부문의 구축 또는 제3섹터부문의 강화라는 명확한 목표를 위한 광범위한 연대가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사회적 기업 설립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그 벤처기업과 유사한 성격을 감안한 재원조달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는 유럽의 경험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정부 외에도 제3섹터 내에서 다양한 자원을 동원할 수 있는 전문적인 금융기관을 설립해야 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서는 현재 연대 금융기관의 성격을 갖는 마이크로-크레디트와 적극적으로 연대해야 한다.

셋째, 사회적 기업 설립을 위해 필요한 또 하나의 조건은 기업을 운영할 중 간관리자에 해당하는 전문인력을 육성하는 것이다. 현재 국내에는 사회적 기업 과 관련한 학문적 연구나 교육과정이 개설되어 있지 않다. 이는 사회적 기업을 운영할 수 있는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사회적 기업을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 출이 요원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사회적 기업 참여자의 직업능력 향상을 위해 기존의 직업훈련 프로그 램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업종에 대한 훈련 프로그램을 설치해야 한다.

우리사회에서 사회적 기업이 참여하는 업종 중 상당수는 기존의 직업훈련 프로 그램을 통해 교육되지 않는 업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비숙련 또는 저숙련

106

실직계층을 반숙력의 전문인력으로 육성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라 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훈련 프로그램의 설치는 향후 기술자격과 직업경험에 다른 급여차등화 등 다양한 지원정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국내문헌〕

김신양(2005),『다른 경제』, 실업극복국민재단.

김혜원 외(2005),『사회서비스 분야 일자리창출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 연구원

김혜진(2004), 「일자리만들기 사회협약과 사회적일자리창출 계획 비판」, 보건 복지 민중연대 사회복지와 노동 포럼, 『사회적 빈곤의 실상과 그 대책에 대한 비판 : 사회적 일자리는 대안이 될 수 있는가?』, 2004년 5월 31일 발표문

노대명 외(2001a), 「서구 사회적 일자리 창출정책의 검토와 전망」, 『보건사 회연구』.

노대명 외(2001b),『자활공동체 창업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노대명 외(2003),『2002년 저소득층 자활사업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노대명 외(2004),『한국 근로빈곤층 소득‧고용실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노동부(2004),『사회적 일자리 창출방안』, 국무회의 보고자료.

노동부(2005), 『2005년 사회적 일자리 사업 지원현황』

복지부(2005), 『자활사업 추진현황』, 2004년 12월.

신명호(2001), 「시장진입형 생산공동체의 경쟁력과 그 요인에 관한 분석」,

『도시연구』제7호, 2001년 12월

신명호(2001),「시장진입형 생산공동체의 경쟁력과 그 요인에 관한 분석」,『도 시연구』제7호 2001년 12월.

자활정보센터(2005), 『자활후견기관 사업현황』

장원봉(2005),「사회경제의 대안적 개념구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학 중앙연구원.

108

전병유(2003),『일자리 양극화 경향과 빈곤 정책의 방향』, 한국노동연구원 전병유 외(2003),『사회적 일자리 창출방안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정선희(2004),『사회적 기업』, 다우.

한상진(2005),『시장과 국가를 넘어서: 사회적 기업을 통한 자활의 전망』, 울산대학 교 출판부.

〔국외문헌〕

Alain Lipietz(2001), “Pour le Tiers Secteur: L'economie sociale et solidaire”, La Decouverte/La Documentation francaise.

Benoît Lévesque(1999), “Le développement local et l'économie sociale1: Deux éléments devenus incontournables du nouvel environnement”, Cahiers du Crises, Vol.5.

Biancotti, C.(2004), “A polarization of polarization?: The distribution of inequality 1970-1996”, Banca d'Italia, march 2004.

Braudel, F.(1961), European Expansion and Capitalism, Chapters in Western Civilization, 3rd ed., Colombia University Press, New York.

Carlo Borzaga et al.(1998), Social Enterprise and New Employment in Europe.

Carlo Borzaga et al.(2001), The emergence of social enterprise.

Carole Ladeuix(2001), “Économie sociale et insertion par l'activité économique: Le cas de Renaissance Montréal”, Cahiers du Crises, janvier 2001.

Ciracy-Wantrup, S.V.(1952), Resource Conservation: Economics and Policies,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Daniela Baraldi(2002), The Non-Profit Sector's Vocational Training Needs, Universite Cooperative Europeenne, Jeudi 31 janvier 2002

Davis, R. K.(1963), "Recreation planning as an economic problem", Nat Res J. 3, 239~249.

Defourny, J.(2006),「사회적 기업의 국제비교와 시민사회단체의 전략」,『사회적

기업 발전을 위한 쟈크 드푸르니 교수 초청토론회 자료집』.

Deleuze, G. & Guattari, F.(1981), Qu'est-ce que la Philosophie, Ed. de Minuit.

Department of Industry and Trade(2002), Social Enterprise,: a strategy for success.

Douglas Alexander(2002), Social Enterprise magazine, Vol. 2.

Esping-Andersen, G.(1990),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Polity Press.

EU(2004), “Observat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Authorities And The Social Economy”, Report prepared by The Squares.

Forster and Mira D'Ercole (2005), "Income distribution and poverty in OECD countries in the second half of the 1990s", OECD Social, Employment and Migration Working Papers, forthcoming, OECD, Paris.

François Aubry et Jean Charest(1995), “Developper l'Economie Solidaire: Elements d'Orientation”, Confederation des Syndicats Nationaux.

Goodin et. al(1999), The Real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Cambridge University Press.

Guy Aznar et. al.,(1997), Vers une economie plurielle: Un travail, une activite, un revenu pour tous, Syros.

ILO(2003), Labour Statistics.

Iversen, T. & Wren, A.(1998), "Equality, Employment, and Budgetary Restraint:

The Trilemman of the Service Economy", World Politics, 50(4), pp.507-546,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Jean-Louis Laville (sous la direction de)(1998), L'Insertion et Nouvelle Economie Sociale, Desclée de Brouwer.

Jean-Louis Laville(1999), Une Troisième Voie pour le Travail, Paris, Desclée de Brouwer.

Jessop, B.(1994), "Post-Fordism and the stat"e, in A. Amin(ed.), Post-Fordism: A Reader, Blackwell, Oxford.

Lawson Evens, M. et. al.(2000), Contribution of Social Capital in the Social Economy to local economic development in Western Europe, Middlesex University.

110

Leontief, W.(1986), Input-Output Economics, Second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Lester M. Salamon & Wojciech Sokolowski(2001), Volunteering in Cross-National Perspective: Evidence From 24 Countries, Johns Hopkins University.

Lester M. Salamon ed.(2002), The State of Nonprofit America, Brookings Institution Press.

Martine D'Amours(2000), "Procès d'institutionnalisation de l'économie sociale au Québec", Cahiers du Crises, janvier 2000.

Mike Campbell(1999), The Third System, Employment and Local Development, EU Commission.

Myles, J. & Guadagno, J.(2002), "Political Theories of the Welfare State", Social Science Review.

OECD(2001), Services Statistics on Value Added and Employment.

OECD(2005), OECD Economy Outlook OECD(2006a), OECD Economy Outlook

OECD(2006b), OECD Factbook 2006: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Statistics.

Pierson, P.(2001), The New Politics of the Welfare State, Oxford University Press.

Robert Cameron, M. and Richard T. Carson(1988), Using surveys to value public goods: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Washington D.C., Resources for the future.

SEL(2001), Introducing Social Enterprise, Social Enterprise London Thierry Jeantet (1999), European Social Economy.

Torfing, J.(1998), Politics, Regulation and the Modern Welfare State, Basingstoke.

Macmillan.

United Nations(2001), World Population Prospects: The 2000 Revisions, New York.

Wilenski, H.(1975), The Welfare State and Equalit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

○ 최 승 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원

Working Paper 2005-08

사회적 기업지원을 위한 민간네트워크 구축방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