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북한 위기발생시 사전 대비를 위한 제언 1) 가칭 ‘보건의료 위기관리센터’ 조직 구성

⧠ 북한 급변사태로 인한 위기상황에서 초래되는 피해와 영향을 최소화 하고 보건복지분야의 효과적 대응을 위해 국가 기획 통제기구인

‘국가최고 위기관리기구(National Crisis Control Center)’ 산하에

「보건복지부」의「질병관리본부」를 주축으로 한 가칭 ‘보건의료 위기관리센터’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

○ 위기대응을 위한 상황판단과 위기대응 활동의 적시성 및 안정성 을 확보하기 위해 일원화된 관리 창구 구축이 필요함.

⧠ 국가안보 위기관리 계획과 연계한 부처간 공조체계를 구축하고, 국 제사회와의 긴급정보 공유 및 위기 대응이 요구됨

2) 보건복지 위기대응 자원 비축, 매뉴얼 개발 및 가상 훈련 실시

⧠ 위기 대응 활동을 체계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종합비상대책 매뉴얼 개발 및 사전 시범 시행하여 대응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국가 위기관리 기본지침’에 의거하여 ‘보건의료 위기관리센터’에 서의 대응절차 및 조치사항에 대한 업무 및 역할을 규정한 실무매 뉴얼과 대비‧대응지침을 제정하여 사전 교육‧훈련을 실시함.

⧠ 응급의료체계 및 비상 방역체계 구축을 위한 물적 자원 비축과 인적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161 6

○ 휴전선 인접지역의 말라리아 방제, 콜레라 등의 수인성 질환 방 역, 급성전염성 질환 예방접종 백신을 비축할 필요가 있음.

⧠ 휴전선 인접지역에서의 지뢰 및 폭발물 사고 등으로 인한 응급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사전 대비를 위한 가상 훈련을 실시할 필요가 있음.

⧠ 국민들의 위기대응 능력 배양을 위해 안전수칙 등 대국민 홍보를 실 시하고 비상시의 안전관리, 건강행동지침 마련이 요구됨.

3) 국제기구 및 국내 민간단체와의 파트너십 형성 및 북한 위기상황 대응 정보망 구축

⧠ 국내「대한적십자사」및 대북지원 민간단체와 협력체를 구성하고, 국 제기구(WFP, UNICEF, WHO 등)와 연계하여 북한 보건복지 위기상 황에서의 긴급구호의 성과제고를 위한 역할 및 기능을 분담함.

○ 국제기구와의 유기적 협력체계를 강화하여 취약계층에게 접근성이 보장될 수 있고 북한이 자생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역할 및 기능 을 분담하도록 함.

⧠ 효과적, 효율적 위기대응을 위해 보건복지분야의 전문 국제기구와 파트너쉽을 형성, 그간 북한에 적용하여 효과가 검증된 다양한 통합 적 패키지를 활용하고 북한지역에 설치 및 복구한 시설을 활용하도 록 함.

○ 1차진료기관의 호담당의사용 응급의료키트, 통합적 아동질환관리 (IMCI) 프로그램, 그리고 UNICEF가 복구하여 가동 중인 경구

162

4) 효과적인 위기관리를 위한 제도적 장치 마련

⧠ 탈북난민과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전염성 질환의 효과적 관리를 위하 여 예방접종, 방역사업 및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제 도적 장치 마련이 요구됨.

○ 북한의 위기발생시 남북 접경지역 주민의 건강보호를 위해 접경 지역 시‧군지역을 중심으로 지역적 특수성으로 초래될 수 있는 감염병의 예방 및 위기유발 감염병 감시체계를 구축하고, ‘탈북주 민 건강관리센터’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접경지역 보 건의료 위기관리 규정’을 제정할 필요가 있음. 이에 따라 접경지 역 15개 시‧군19) 보건소 응급의료 시설 및 방역 기능을 점검하 고 기술수준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위기대응 비용은 통일과정에 이르는 과도기에 1년 동안 지출되는 일회성 비용으로서, 남북협력기금으로 충당하도록 함.

5) 식량 및 보건분야의 지속적인 대북 인도적 지원 실시 및 남북 교류‧협력 추진

⧠ 보건복지분야의 ‘위기’는 가능한 사전 예방을 통해 위기요인을 최대 한 감소시켜야 향후 통일 비용을 절감 할 수 있음.

○ 북한 급변사태에 따른 위기상황 발생시 보건복지 문제발생을 최 소화하기 위해서는 남북 분단 상태에서도 인도적 지원 및 교류협 력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남북 건강격차 완화를 통해 남북간 동 질감을 회복시켜야 할 것임.

19) 강화군, 옹진군, 동두천시, 고양시, 파주시, 김포시, 양주군, 연천군,포천시, 춘천시, 철원 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 보건소 등임.

163 6

○ 통일 전 서독은 동독에 대규모의 경제적 지원 등 조건없는 지원과 교류‧협력을 실시하여 빈번한 접촉을 통한 동독인의 변화를 유도 함으로써 독일 통일을 완수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음.

나. 북한 식량 및 보건 안보 유지를 위한 제언

⧠ 북한 위기상황에 대처한 국내외 초기 긴급구호의 실시로 북한사회가 전반적으로 안정을 되찾았다 할지라도, 이후 개발 및 복구 역량이 미흡하여 북한의 사회구조적 모순이 심화되고 식량난을 비롯한 전반 적인 생활조건이 회복되지 않아 기초생계나 삶의 개선에 대한 주민 의 기대감이 상실되면 탈북주민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임.

○ 이에 식량 및 보건부문의 자생력 확보에 필요한 북한 역량강화 방안과 효과적 중재전략 수단을 위기대응 과정에서 모색할 필요 가 있음.

1) 식량공급의 안전성 확보

⧠1년간의 식량안보를 위한 위기대응을 하면서 생계기반의 식량 안전 성과 응급 영양재활이 필요한 영양결핍 인구집단에 대해 지역별로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수급상황을 파악하여야 할 것임. 또한 식량 위 기로 인한 탈북난민 발생규모를 파악하고, 곡물 가격 등 식량 수급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 전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 북한 취약지역으로의 식량 배급을 확인하기 위해 현지 지역주민을 활용하여 배분하고 이들이 분배 투명성을 제고하는데 책무감과 주 인의식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기전(인센티브제 등)을 모색함.

164

하여 외적 환경이 취약한 지역을 최우선적으로 지역재건사업을 실시하도록 하여, 식량지원체계가 지리적 환경 등 외적 요인에 의해 불평등이 초래되지 않도록 함.

2) 한반도 건강공동체 구현을 위한 북한 감염병 예방 및 필수 보건의료 인프라 확보 방안

⧠ 영유아 및 모성의 다빈도 질환과 감염성 질환의 발생분포에 대한 정 보를 수집하여 데터베이스를 구축, 통일대비 지역별 기초의약품의 수요에 기반한 적정 배분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 전반적인 보건의료 문제 해결을 위한 기초의료 설비 및 분배 투 명성 보장을 위한 약품의 공급‧전달체계를 모색하도록 함.

○ 감염성질환의 발생양상 및 분포를 모니터링하고 탈북주민의 건강 검진자료를 기반으로 지역별 유행하는 감염성 질환의 관리 및 신 고체계망을 구상할 필요가 있음.

⧠ 위기상황시 북한 의료기관에 기초의료서비스 제공기반을 지원 하는 과정에서 지역별, 의료서비스 단계별 의료기관의 가동수준 및 기능 상태를 점검하고 의료인력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여 데터베 이스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 통일대비 의료시설의 기능복구에 필요한 체계적인 지원계획의 수 립을 위해 1~4차 의료기관을 평가할 필요가 있음(설립, 개보수 및 보강 등의 필요성 및 추진 우선순위 설정).

○ 통일대비 보건의료인력 교육 및 훈련 성과 제고를 위해 위기 대 응 과정에서 협력 또는 협진이 이루어진 의사, 간호사 및 보건인 력에 대한 질적 수준을 평가할 필요가 있음.

165 6

⧠ 수인성 전염병 예방을 위한 안전한 식수 확보방안 구상

○ 수질오염 방지를 위해 지역사회 환경위생 상태를 평가하여 안전 한 수질 관리를 위한 보건 및 방역 시설이나 물품 등을 자원의 지원내용 및 규모를 계획하는데 기초자료를 수집하도록 함.

○ 지속성 유지를 위해 깨끗한 식수 공급 및 위생 관리와 폐수 처 리를 위한 현지 인력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을 구상함.

167

참 고 문 헌

Amnesty International, The crumbling state of health care in NorthKorea, 2010

Bennett, P., Calman, K. (Ed.). Risk communication and public health. Oxford University Press. 1999.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Report of the Second Multiple Indicator Cluster Survey 2000, DPRK 2000.

__________________________, Report on the DPRK Nutrition Assessment 2000, DPRK 2003.

__________________________, Report on the DPRK Nutrition Assessment, 2006.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DPR Korea 2008 Population Census National Report, DPR Korea, 2009.

Central Bureau of Statistics, Government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1993.

Congressional -Executive Commission on China, Annual Report in USA, 2005.

DPRK‧UNICEF‧WFP, 2004 Nutrition Assessment Report of

168

FAO, What is Food Security?, 1996.

FAOSTAT, Database, faostst.fao.org

Falssbeck, Heiner and Gustav A. Horn (1995), German Unification - an Example for Korea?, Berlin.

Flassbeck, Heiner (1996) "German Unification-Five Years After", Economic Consequences of German Unification and Its Policy Implication for Korea, KDI/DIW Joint Seminar, March 14, 1996, pp.3-45.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2009.

Humanitarian Information Unit, North Korea : UN finds decline in Child Malnutrition, Yet Indicators Remain High, 2010.

Kamppeter, Werner (2009), “Conceivable lessons from the German unification miracle,” The 9th Kim Okgil Memorial Lecture:

Global Peace and the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Ehwa Womans University, Seoul, November 2, 2009.

MoPH, Annual Report 2007 and WHO Regional Office for South -EastAsia, 2007.

OECD, Economic Surveys: Germany, 1994 ______, ‘Health at a Glance-Asia, 2007, 2011.

______, Health Data, 2010.

Office of the Coordinator for Reconstruction and Stabilization (OCRS) (2005), Post-Conflict Reconstruction: ESSENTIAL TASKS,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169

Robert D. Kaplan, "When North Korea Falls", The Atlantic Monthly, October 2006, pp.64-71; 「북한 정세를 읽는 새로운 눈, 북한해체론」, 『계간 시대정신』2006년 겨울호.

Robinson et al, Lancet, No. 354, 291-95, 1999.

Sokoll, Günther (1996), 「1990년대 독일 산재보험의 과제 및 문제점 과 2,000년대 전망」, 󰡔통일전후 산재보험과 재활체계에 관한 한‧

독 세미나 자료집󰡕, 근로복지공단, pp.49-77.

Sunyoung Pak, The Biological Standard of Living in the Two Koreas, Economics and Human Biology 2:511-521, 2004.

UNICEF, UNICEF Humanitarian Action: DPR Korea Donor Update 19 Nov, 2002.

UNICEF‧WFP‧Central Bureau of Statistics DPRK, 2000 Report of the Second MICS.

UNICEF‧WFP‧Central Bureau of Statistics DPRK, Report on the DPRK Nutrition Assessment, 2002, 2004.

UNHCR, Handbook on Procedures and criteria for Determining Refugee Status under 1951 Convention and the 1967 Protocol relating to the ststus of Refugees", UNHCR Geneva, 1992.

UNFPA, Report on Reproductive Health, 2002.

UNFPA, World Population Prospects, 2004, 2007, 2009.

UNICEF, The State of The World's Children 2011, 2011.

UNICEF, TRACKING PROGRESS IN MATERNAL, NEWBORN

170

UNICEF, DPR Korea Multiple Indicator Cluster Survey 2009, Final Report, 2010.

UNOCHA, 1999, DPR of Korea Humanitarian Situation Report.

UN, Handbook on Procedures and Criteria for Determining Refugee Status under the 1951 Convention.

UNICEF‧AIHD, 3rd Annual UNICEF/AIHD Study Seminar, Thiland, 1993.

UN OCHA, Consolidated Inter-Agency Appeal for DPRK 2003, 2004.

UN, Protocol relating to the Status of Refugees, 1976.

“The Failed States Index", Foreign Policy, May/Jun 2006, and July/August 2007.

UNFPA‧PPFK, 2007 세계인구현황, 2007.

UNOCHA, Consolidated Inter-Agency Appeal for Democratic People's of Korea, Mid-Year Review, United Nations: New York and Geneva, 2003.

US Committee for Refugees and immigrants, World Refugee Survey 2006: Country Report China, 2007.

US Needs Assessment Team, Rapid Food Security Assessment Report in DPRK, 2011.

Statistisches Bundesamt, Statisches Jahrbuch, 1993, 1994.

WFP, FAO, UNICEF, Rapid Food Security Assessment mission to the DPRK, 2011.

WFP, '세계 식량지원에 관한 보고서, 2006.

WHO SEARO, DPRK, National Health System Profile,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