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전문가 의견조사의 대상자

제4장

3. 전문가 의견조사의 대상자

이번 전문가 의견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들의 소속은 공공분야와 민간분야, 대학교, 연구소, 고용지원센터 등 다양하다. 전체 52명의 직업․고용․취업 관 련 전문가에게 이메일과 전화를 통하여 의견조사를 요청하였고, 1차 조사의 경 우 이 가운데 90.4%(47명)가 참여하였다. 2차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는 43명이 었다. 1차 조사에 참여한 47명의 전문가들을 소속분야별로 살펴보면, 연구기관 의 연구원들이 19명(40.4%)으로 가장 많았다. 이들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한 국고용정보원, 한국노동연구원, 산업연구원 등의 연구기관에서 직업과 고용에 관하여 연구하는 사람들이다. 다음으로는 헤드헌팅, 인사관리(HR) 관련 컨설 팅, 기업체의 인사관리, 결혼정보회사의 커플 매칭 등의 일을 수행하고 있는 민 간분야 전문가가 15명(31.9%)이다. 그밖에 고용지원센터에서 취업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직업상담원이나 전문가, 직업․고용․취업 등에 관해 연구하고 있는 대학교수들이 의견조사에 참여하였다. 결혼정보회사의 전문가들이 참가한 것

제4장 직업전망 지표 개발을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 89

은 업무성격상 이들이 시장에서 괜찮은 일자리에 관하여 고민하는 사람들을 상대하는 최일선에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표 IV-1> AHP 기법을 활용한 주요 선행연구

저자 제목 및 출처 내용 조사인원

Chen(2006)

Applying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AHP) Approach to Convention Site Selection in Journal of Travel Research, 45, 267-174

컨벤션 장소를 선정하기 위 한 결정요인들의 가중치 결 정

50

Hutchison, Adair,

& Leheny(2005)

Communicating Investment Risk to Clients: Property Risk Scoring in Journal of Property Research, 22, 137-161

투자위험을 측정․보고하기

위한 방법 개발 36

고재성(2006)

「대학 진로서비스 평가준 거 개발」. 서울대학교 대 학원 박사학위 논문.

대학 진로서비스의 질을 평 가하기 위한 준거 개발 및 가중치 산정

27

박동열(2006)

『실업계 고등학생의 직업 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모듈 개발과 가중치 분석 - AHP법의 활용』. 한국직업 능력개발원.

실업계 고등학생의 직업기 초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모듈 도출과 가중치 분석

43

윤재곤(1995)

「AHP기법에 의한 중소기 업 MIS성공요인 평가에 관 한 실증적연구」. 『경영경 제』, 13, 135-146.

중소기업 경영정보시스템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을 탐색

48

진성호(1999)

「신제품 개발에 있어서의 AHP 기법을 이용한 의사 결정에 관한 연구: 인버터 제품을 중심으로」. 연세대 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제품 디자인 선정에 관한 효율적 의사결정 모형을 AHP 기법을 이용하여 구축

8

함춘석(2004)

「AHP 기법을 이용한 CRM 도입의 성공요인분석:

백화점 업종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정경대학원 석 사학위 논문.

군내 백화점 CRM 도입의

핵심성공요인 분석 11

구분 1차 조사 2차 조사 빈도(명) 비율(%) 빈도(명) 비율(%)

분야별

대학교 교수 5 10.6 5 11.6

연구기관의 연구원 19 40.4 17 39.5

고용지원센터 상담원 8 17.0 8 18.6

민간분야 전문가 15 31.9 13 30.2

연령별

30세 미만 3 6.4 3 7.0

30-39세 21 44.7 19 44.2

40-49세 18 38.3 17 39.5

50세 이상 5 10.6 4 9.3

성별 남성 31 66.0 28 65.1

여성 16 34.0 15 34.9

최종학력별

학사 8 17.0 7 16.3

석사 18 38.3 16 37.2

박사 21 44.7 20 46.5

경력년수별

10년 미만 23 48.9 22 51.2

10-19년 17 36.2 15 34.9

20년 이상 7 14.9 6 14.0

합계 47 100 43 100

본 연구에 참여한 52명의 전문가들은 직업전망 지표를 확정하고 가중치 값 을 내는데 있어 충분한 수의 사람들은 아니라고 볼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연구 에서 활용한 AHP 기법의 특성상 본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가 크게 부족한 것 만은 아니다. AHP 기법을 사용한 주요 선행연구들을 보면 10명 이하에서 부터 50명까지 다양하게 전문가가 참여하였다(<표 IV-1> 참조).

1차 조사에 참여한 전문가들을 연령별로 보면, 30대(44.7%)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40대(38.3%), 50대 이상(10.6%), 30세 미만(6.4%)이었다. 학력별로는 박사(44.7%)와 석사(38.3%)가 대부분이었고, 학사는 8명(17.0%)의 순이었다.

관련 분야에서 연구나 실무를 수행한 총경력 평균은 11.88년이었다. 이를 경력 년수별로 보면 10년 미만(48.9%)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10년 이상에서 20 년 미만(36.2%), 20년 이상(14.9%)의 순이었다.

<표 IV-2> 전문가 집단의 분포

제4장 직업전망 지표 개발을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 91

평가 영역 세부항목 설명

󰊱 보상

1.1 급여 일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직접적이고 정기적인 금 전적 혜택

1.2 복리후생

해당 직업에서 제공되는 휴가, 보험, 연금, 퇴직금 등 부가적인 혜택이나 비정기적으로 얻을 수 있 는 부가 수입

󰊲 고용전망

2.1 일자리 창출 향후 10년간 예상되는 해당 직업의 새로운 일자 리 수

2.2 일자리 성장 향후 10년간 예상되는 해당 직업의 일자리 증가 속도

제2절 제1차 전문가 의견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