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수정된 KRIVET 직업전망 지표

제4장

1. 수정된 KRIVET 직업전망 지표

용어 재정의

z ‘해당 직업에서 일반적으로 성별에 따른 임금이나 승진에서의 차별이 존재할 가능성’을 ‘해당 직업에서 성 별에 따라 임금이나 승진에서 차별 받지 않는 정도’로 수정

7.2 고령자 친화성 명칭에 부합하도록 용어 재정의

z ‘일반적으로 해당 직업에서 고령자 (50세 기준)의 근무를 기피하는 정 도’를 ‘해당 직업에서 50세 이상의 (준)고령자의 근무를 기피하지 않는 정도’로 수정

평가영역 세부항목 세부항목 설명

󰊱 보상

1.1 임금 일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직접적인 금전적 보 상 (상여금 포함)

1.2 복리후생

해당 직업에서 제공되는 휴가, 보험, 연금, 퇴 직금 등 부가적인 혜택이나 비정기적으로 얻 을 수 있는 부가 수입

󰊲 고용전망 2.1 일자리 창출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서 예상되는 새로운 일자리 수

제3절 제2차 전문가 의견조사

제4장 직업전망 지표 개발을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 99

2.2 일자리 성장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서 예상되는 일자리 증가 속도

2.3 취업경쟁

향후 10년간 해당 직업에서 새롭게 창출되는 일자리 수에 비해 취업하려는 인력이 많은 정 도

󰊳 고용안정

3.1 정규고용 해당 직업의 종사자들이 정규직 형태로 고용 되는 정도

3.2 고용유지 해당 직업의 인력감축, 구조조정, 고용관행 등 으로 인해 일자리를 박탈당하지 않을 가능성

󰊴 발전 가능 성

4.1 자기개발 가능성 업무를 수행하면서 업무와 관련된 개인의 능 력 및 기술이 향상될 가능성

4.2 승진 가능성 해당 직업에서 승진이 가능한 정도

4.3 직장이동 가능성 해당 직업인이 원하는 경우 더 나은 직장으로 의 이동이 용이한 정도

󰊵 근무여건

5.1 근무시간 해당 직업의 종사자가 노동력을 제공하는 시 간

5.2 근무시간 규칙성 출퇴근, 근무시간, 초과근무 등이 규칙적인지 여부

5.3 물리적 환경 해당 직업이 수행되는 작업현장의 안전도, 쾌 적도의 수준

5.4 정신적 스트레스 해당 직업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 정신적인 부 담이나 스트레스의 정도

5.5 육체적 스트레스 해당 직업을 통해 경험하게 되는 육체적인 부 담이나 과도한 노동의 강도

󰊶 직업전문성

6.1 전문지식 해당 직업에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전문 적인 지식이나 기술이 요구되는 정도 6.2 업무자율성 일상적인 업무활동에서 허용되는 직무관련

독립성, 주도성, 자율성의 크기 6.3 업무권한

업무와 관련하여 해야 할 일을 결정하고 수행 할 수 있는 권리와 그 일을 타인에게 부여할 수 있는 권리

6.4 사회적 평판

사회 구성원들이 해당 직업에 대해 일반적으 로 가지고 있는 중요성, 가치, 존경에 대한 평 가

6.5 사회봉사 해당 직업을 통해 공공의 이익을 위해 봉사할 수 있는 정도

6.6 소명의식

업무로 인해 얻을 수 있는 보상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그 일을 수행할 것이라는 의지와 업무에 대한 헌신

󰊷 고용평등 7.1 양성평등 해당 직업에서 성별에 따라 임금이나 승진에

서 차별받지 않는 정도

7.2 고령자 친화성 해당 직업에서 50세 이상의 (준)고령자의 근 무를 기피하지 않는 정도

문 항 번 호

평가영역 (A)

A가 중요 ← 동일 → B가 중요

평가영역 9 ․ 7 ․ 5 ․ 3 ․ 1 ․ 3 ․ 5 ․ 7 ․ 9 (B)

1 보상 9 ․ 7 ․ 5 ․ 3 ․ 1 ․ 3 ․ 5 ․ 7 ․ 9 고용전망 2 보상 9 ․ 7 ․ 5 ․ 3 ․ 1 ․ 3 ․ 5 ․ 7 ․ 9 고용안정

2차 전문가 의견조사의 목적은 직업전망 지표의 평가영역과 세부항목의 상 대적 중요성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조사대상 전문가들에 게 확정된 KRIVET 직업전망 지표의 평가영역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질문 하였다. 7개 평가영역들을 일대일 대응의 형태로 한 문항씩 제시하여 전문가들 이, 각 평가영역이 직업전망 지표의 구성요소로서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를 제시하도록 하였다. 사용한 척도는 17점 척도로서 좌측 끝은 9점, 중앙은 1점, 우측 끝은 다시 9점을 위치시켜 좌우 동일한 척도를 구성하였 다. 단, 17점 척도를 모두 설문지에 표시하면 설문 문항이 지나치게 복잡하게 될 우려가 있어 1, 3, 5, 7, 9로 홀수만 제시하고, 짝수는 중앙에 점(․)으로 표 시만 해 두었다.

다음으로, 직업전망 지표의 세부항목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를 묻기 위한 질 문을 하였다. 7개 평가영역들에 대한 23개 세부항목들을 일대일 대응 형태로 한 문항씩 제시하여, 전문가들이 각 항목마다 직업전망 지표의 구성항목으로서 상대적으로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향후 직업전망 지표 개발사업을 수행하는 데 참고자료를 얻기 위하 여 직업전망 지표의 조사주기, 직업전망 지표의 조사방식, 조사대상직업 수, 직 업전망 지표의 평가자, 직업전망 지표의 발표방법 등을 전문가들에게 추가적으 로 조사하였다.

<표 IV-9> 제2차 전문가 조사 설문 문항의 예시

제4장 직업전망 지표 개발을 위한 전문가 의견조사 101

평가영역 전체 연구자 집단 실무자 집단

󰊱 보상 .165 .163 .165

󰊲 고용전망 .149 .164 .133

󰊳 고용안정 .187 .192 .181

󰊴 발전 가능성 .193 .194 .190

󰊵 근무여건 .102 .102 .101

󰊶 직업전문성 .154 .141 .168

󰊷 고용평등 .052 .044 .061

합계 1.00 1.00 1.00

일관성 비율(CR) .00 .01 .01

3 보상 9 ․ 7 ․ 5 ․ 3 ․ 1 ․ 3 ․ 5 ․ 7 ․ 9 발전 가능성 4 보상 9 ․ 7 ․ 5 ․ 3 ․ 1 ․ 3 ․ 5 ․ 7 ․ 9 근무여건 5 보상 9 ․ 7 ․ 5 ․ 3 ․ 1 ․ 3 ․ 5 ․ 7 ․ 9 직업전문성 6 보상 9 ․ 7 ․ 5 ․ 3 ․ 1 ․ 3 ․ 5 ․ 7 ․ 9 고용평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