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Ⅳ. 연구결과

1) 장애유형에 따른 다중집단 분석

가. 측정동일성 검증

장애아동의 장애유형에 따른 다중집단 구조방정식모델 분석을 위해 장애유형 을 뇌병변장애와 발달장애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다중집단 확인적 요인분

10) 교차타당성(cross validation)은 모집단으로부터 추출한 표본에서 얻은 결과와 동일한지를 검증 할 때 이용하는 것으로 교차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측정동일성(measurement equivalence) 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우종필(2012)이 Mullen(1995)과 Myers et al.(2000)이 제시한 측정동일성 5단계를 사용하였다. △χ2은 비제약모델과 제약모델간 χ2 차이를 보여주며, Sig.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의 유무를 보여준다. 이때 χ2 변화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 가 없다는 것은 설문지와 같은 측정도구에 대한 요인부하량 동일성에 문제가 없음을 나타낸다.

석에 의한 측정동일성 결과와 모델적합도는 다음 <표 24>과 같다.

392.068 179 △χ2(31)=73.248

(모델5-모델1) 유의함

나. 장애유형에 따른 다중집단 구조모형 분석 결과

장애아동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가 장애수용을 매개로 가족기능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구조모델의 장애유형 집단 간 다중집단 분석 결과 나타난 표준화경로계 수는 [그림 6]과 <표 25>와 같다.

[그림 6] 장애유형별 다중집단 구조모형 결과

<표 25> 장애유형별 집단 간 경로계수 및 차이검증

경로 뇌병변장애 발달장애 Critical

Rations for Difference+ 표준화계수 C.R 표준화계수 C.R

사회적 지지

→가족기능 -.049 -.829 .112 1.484 1.699(기각) 사회적 지지

→장애수용 .374 5.304*** .493 5.913*** 2.347(채택) 장애수용

→가족기능 .653 7.483*** .584 6.553*** -.838(기각) 적합도지수 χ2/DF=2.154, GFI=.911, CFI=.959, RMR=.026,

TLI=.950, NFI= .927, RMSEA=.051

*p<.05, **p<.01, ***p<.001

+ AMOS에서 아이콘을 이용한 방법으로 ±1.965이상이면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함

[그림 6]에서 장애유형에 따른 각 집단별 경로모형의 결과 뇌병변장애아동 어머

매개로 가족기능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살펴보았고, <표 26>과 같다. 뇌병변장애 아동 어머니 집단의 간접효과는 .244(p<.01)이며, 발달장애아동 어머니 집단의 간 접효과는 .288(p<.01)로 각각 유의한 간접효과가 나타났으며, 발달장애아동 어머 니에 있어 사회적 지지의 간접효과가 상대적으로 좀 더 높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사회적 지지가 가족기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장애아동 어머니의 장애수용을 매개로 결과적으로 가족기능에 긍정적 영 향을 미치는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특히 사회적 지지가 장애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는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에게 있어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상호작용효 과가 확인되었다. 이때 사회적 지지의 간접효과 역시 발달장애아동 어머니에게서 상대적으로 좀 더 높은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전문가 지지체계에 의한 사회적 지지는 장애특성에 따라 그 효과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고, 발달장애아동 어머니가 뇌병변장애아동 어머니 보다 자녀의 장애를 수용함에 있어 좀 더 많은 지지와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 다. 결국 장애아동과 가족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들은 장애특성을 고려하여 제공 되어야 서비스 대상자들의 실질적으로 이용 가능한 인지된 사회적 지지로서 효 과를 발휘할 수 있다는 것이고, 장애아동 가족지원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장애 특성을 고려하여 수요자의 욕구를 반영할 수 있는 맞춤형 서비스를 개발해야 된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