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서비스 이용에 따른 주요변수의 집단 간 차이분석

Ⅳ. 연구결과

2) 서비스 이용에 따른 주요변수의 집단 간 차이분석

장애아동 가족지원서비스의 세부 서비스별 사용 유무에 따른 사회적 지지, 장 애수용, 그리고 가족기능의 집단 간 차이검증의 결과를 살펴보았으며, <표 19>

와 같다.

먼저, 물리치료 이용유무의 경우 사회적 지지, 장애수용, 그리고 가족기능 모두 물리치료를 이용하는 집단이 상대적으로 좀 더 높았으며, 장애수용(t=2.280, p<.05)과 가족기능(t=4.625, p<.001)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집단간 차이를 보 였다.

둘째, 작업치료 이용유무의 경우 사회적 지지에서는 이용하지 않는 집단이, 장 애수용과 가족기능에서는 이용하는 집단이 좀 더 높게 나타났고, 가족기능 (t=2.707, p<.01)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언어치료 이용유무의 경우 사회적 지지(t=-2.080, p<.05), 장애수용 (t=-3.043, p<.01), 가족기능(t=-2.460, p<.05) 모두에서 언어치료를 이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이용하는 경우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넷째, 음악치료 이용유무의 경우 사회적 지지와 가족기능은 이용하지 않는 집단 이, 장애수용은 이용하고 있는 집단이 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 (t=-1.998, p<.05)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섯째, 미술치료 이용유무의 경우 장애수용과 가족기능은 이용하지 않는 집단 이, 사회적 지지는 이용하고 있는 집단이 좀 더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기능 (t=-2.340, p<.05)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섯째, 놀이 및 재활운동 이용유무의 경우 사회적 지지는 같았고, 장애수용과 가족기능은 이용하지 않는 집단이 좀 더 높게 나타났지만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는 없었다.

일곱째, 심리행동 치료 이용유무의 경우 장애수용과 가족기능은 이용하지 않은 집단이, 사회적 지지는 이용하는 집단이 좀 더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기능 (t=2.630, p<.01)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여덟째, 양육지원으로서 돌봄 서비스 이용유무의 경우 사회적 지지와 가족기능 은 이용하지 않은 집단이, 장애수용은 이용하고 있는 집단이 좀 더 높게 나타났 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아홉째, 기타 서비스 이용유무의 경우 사회적 지지, 장애수용, 가족기능 모두 이 용하지 않는 집단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t=-2.189, p<.05)와 가족기 능(t=-2.772, p<.01)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장애수용, 그리고 가족기능을 중심으로 세부 서비스 이용유무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면, 의료재활영역의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를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는 집단이 이용하고 있는 집단보다 대체로 높 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만을 보았을 경우에서는 이러한 경향이 더욱 분명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현재 제공되고 있는 다양한 가족지원서비스들이 장애 아동과 어머니 그리고 가족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자 제공되고 있음에도 불 구하고 물리치료와 작업치료를 제외한 나머지 서비스들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 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서비스의 제공 내용이 어머니 혹은 장애아동 욕구에 부합하고 있는지에 대한 전반적 검토가 병행되어야함을 시사한 다.

<표 19> 서비스 이용에 따른 사회적 지지, 장애수용, 가족기능 차이분석

다음은 의료재활, 발달재활서비스 그리고 양육지원 영역에 따른 서비스 중복 이 용으로 구분하여 중복 이용 상태에 따른 사회적 지지, 장애수용, 그리고 가족기 능의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표 20>과 같다.

<표 20>을 살펴보면, 장애아동 가족지원서비스 영역별 중복 이용 상황에 따른 사회적 지지, 장애수용, 가족기능의 집단 간 차이를 나타낸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집단 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다만 2가지 영역에서 서비스를 중복 이 용하는 경우가 대체로 사회적 지지, 장애수용, 가족기능 모두에서 좀 더 높은 경 향을 보였으며, 3가지 영역에서 중복하는 경우에서 오히려 가장 낮은 경향을 보 이고 있다. 따라서 단순히 서비스의 영역별 지원서비스를 많이 이용한다고 해서 결과적으로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님을 시사하고 있다.

<표 20> 영역별 중복이용에 따른 사회적 지지, 장애수용, 가족기능 차이분석

구분 영역별

이용상태 N M SD F

사회적 지지

1영역 173 3.93 .56

1.768

2영역 216 3.96 .53

3영역 63 3.81 .49

장애수용

1영역 173 3.77 .58

2영역 216 3.81 .55 .533

3영역 63 3.74 .57

가족기능

1영역 173 3.95 .67

1.165

2영역 216 4.04 .63

3영역 63 3.94 .66

*p<.05, **p<.01, ***p<.001

1) 측정모형의 검증

장애아동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가 장애수용을 매개로 가족기능에 어떠한 영향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모형에 포함된 개념들이 적절하게 측정되고 있는지 타당성을 검증하 기 위해 측정모형(measurement model)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그림 4]와 <표 21>과 같다.

구체적으로 구성 개념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 측정항목들과 개념간의 요인부하 값과 다중상관자승(SMC)값을 살펴보면, 요인부하량은 .637에서 .972수준으로 모 두 .5이상이며, 이들 추정치에 대한 C.R. 값도 모두 2를 훨씬 초과하였고 p<.001 수준에서 유의하였다. 그리고 SMS 값은 모두 기준값 0.4이상으로 잠재변수는 해 당 측정변수들의 변향을 상당히 잘 설명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평균분산 추출(AVE)과 개념신뢰도는 각각 .5이상과 .7이상으로 모두 적합하여 측정모형의 집중타당성도 검증되었다.

다음으로 판별타당성 검증에서 잠재변수 간 상관이 가장 높은 ‘장애수용↔가족 기능’을 [AVE>∅2] 식에 적용시켜보면, (.65)2=.423이고, 장애수용의 AVE는 .580, 가족기능의 AVE는 .860으로 판별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

±2×S.E]에 대입할 경우에도 [.65±2×.023=.696∼.604]로 1을 포함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판별타당성이 있다.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살펴보면, 절대적합지수 값들은 χ2=222.382(p>.000), χ

2/DF=3.005, RMR=.022, GFI=.933, RMSEA=.067으로 χ2/DF값이 3.0보다 다소 높 았지만 다른 지수들의 경우 모두 양호한 수준이었다. 그리고 증분적합지수 값들 은 NFI=.948, CFI=.965, TLI=.957로 모두 기준값 이상으로 양호하게 나타나 본 측정모형은 수용가능하다.

[그림 4] 측정모형 결과

<표 21> 측정모형 분석결과

구분 비표준

화계수

표준화

계수 S.E C.R SMC AVE 개념 신뢰도

사회적 지지

→지지1 .917 .972 .024 37.880*** .944

.947 .986

→지지2 .820 .902 .027 30.689*** .814

→지지3 .912 .923 .028 32.621*** .852

→지지4 1.000 .901 - - .812

장애수 용

→수용1 1.093 .649 .093 11.786*** .421

.580 .917

→수용2 .942 .669 .078 12.079*** .447

→수용3 1.074 .742 .082 13.110*** .550

→수용4 1.079 .639 .093 11.643*** .408

→수용6 1.210 .782 .089 13.637*** .611

→수용7 1.207 .637 .104 11.617*** .406

→수용8 .942 .669 .078 12.091*** .448

→수용9 1.000 .640 - - .409

가족기 능

→기능1 1.104 .949 .073 15.141*** .900

.860 .924

→기능2 1.000 .785 - - .616

*p<.05, **p<.01, ***p<.001

2) 구조모형 분석

본 연구모형에 대한 측정모형이 적합하다고 평가되었기 때문에 측정모형을 포 함하여 변수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구조모형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조

모형 분석 결과에서 나타난 개별 모수치와 경로계수는 [그림 5]와 <표 22>와 같 다.

[그림 5] 구조모형 분석결과

<표 22> 구조모형 분석결과 경로계수

경로 비표준화계수 표준화계수 S.E C.R

사회적 지지→가족기능 .017 .016 .050 .342 사회적 지지→장애수용 .399 .426 .050 7.962***

장애수용 →가족기능 .749 .643 .071 10.570***

적합도지수 χ2=222.382, χ2/DF=3.005, GFI=.933, CFI=.965, RMR=.022, TLI=.957, NFI= .948, RMSEA=.067

*p<.05, **p<.01, ***p<.001

각 변수 간의 경로를 살펴보면, 사회적 지지는 장애수용(β=.426, p<.001)에 정 (+)적인 직접효과가 나타났고, 가족기능에는 유의한 직접효과가 없었다. 그리고 장애수용은 가족기능(β=.643, p<.001)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구조모형 분석결과 사회적 지지는 장애수용을 매개로 가족기능에 정 (+)적인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이때 접합도 지수의 경우 χ2/DF 값은 기준값

보다 조금 높았지만 GFI, CFI, RMR, TLI, NFI, RMSEA는 모두 양호한 수준이 었다.

사회적 지지가 장애수용에 미치는 장애수용의 완전매개 영향관계를 좀 더 구체 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변인 간 효과분해 분석과 간접성 유의성 검증을 위한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다.

효과분해와 부트스트래핑 간접효과 검증 결과에 따른 <표 23>을 살펴보면, 사 회적 지지가 가족기능에 대한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장애수용을 매개로 가족기능을 향상시키는 정(+)적인 간접효과(β=.274, p<.01)가 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때 장애아동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가 장애수용을 매개로 가족기능 에 미치는 완전매개효과의 총효과는 β=.290(p<.05)이다.

<표 23> 효과분해 및 간접효과 검증

경로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효과

사회적 지지→장애수용 .426** - .426**

사회적 지지→가족기능 .016 .274**

(.426×.643) .290*

장애수용 →가족기능 .643* - .643*

*p<.05, **p<.01, ***p<.001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장애아동과 어머니를 위한 장애아동 가족지원서비스의 공식적 지지체계에 의한 전문가 지지는 결국 어머니의 심리적 적응으로 자녀의 장애를 이해하고 수용하도록 돕는 직접효과가 증명되었고, 가족기능에 대한 직접 효과는 없었지만 장애수용을 통하여 가족기능을 향상시켜 장애아동의 양육에 대 한 부담과 가족의 안정성을 높여주는 효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공식적 지지체계에 의한 사회적 지지는 가족 구성원의 적응과 변화를 통해 가족기능에 변화를 이끌어내는 중요한 요인으로, 장애아동 가족에 대한 사 회적 지지체계는 가족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보다는 어머니나 가족 구성원이 자 녀의 장애를 수용하고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역할로서 장애 자녀를 가족구

성원으로 받아들이고 공동양육 인식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지원체계와 서비스의 내용을 강화해야 한다.

전체 장애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구조모형 결과 공식적 지지체계인 장애

전체 장애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구조모형 결과 공식적 지지체계인 장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