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Ⅱ. 이론적 논의

2) 사회적 지지의 원천과 특성

일반적으로 사회적 지지는 사랑과 보살핌이 필요한 개인들에게 실질적인 도움 또는 애착의 감정을 제공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또는 관계로 정의되지만 (Goodwin, Costa, & Adonu, 2004), 사회적 지지의 근원이 어디냐에 따라 자연적 원조체계로서 비공식적 지지체계와 상호원조체계로서 공식적 지지체계로 구분하

여 살펴볼 수 있다.

비공식적 지지체계와 공식적인 지지체계로부터 받는 사회적 지지는 정서적인 지지와 물적지원, 원조활동 등 중요한 타인과의 관계를 통해 제공되는 긍정적인 자원을 의미하는 것으로 친구지지, 친척지지, 전문가집단으로부터의 지지를 포함 한다(박애선, 2013). 가족이나 친구와 같은 비공식적인 지지체계는 어머니나 가족 의 유대관계를 통해 형성되므로 현재 가족이 처한 상황을 이해하고 정서적으로 동감해주며, 자녀의 양육을 돌보아 주는 등의 실제적인 도움을 제공한다. 한편 장애아동과 가족을 위한 공식적 지지체계는 사회적 지지체계로서 공공재적 서비 스를 통한 전문가 지지체계를 의미한다. 즉, 사회복지사, 특수교사, 재활치료관련 치료사 등으로 부터 장애아동의 정상발달에 필요한 도움을 받고, 장애아동 양육 과 관련한 최신의 지식과 정보를 제공받는 관계이다. 그리고 학교, 치료실, 사회 복지기관과 가정을 연계해 줌으로써 가족의 양육부담감과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가족체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직․간접적 지원망을 형성한다.

사회적 지지의 특성은 사회적 통합, 사회적 지지망, 사회적 상호작용 등 사회 관계의 특성을 포함한 여러 측면을 의미하는 다차원적인 개념으로 크게 구조적 인 측면(structure)과 기능적인 측면(function)으로 구분된다.

먼저, 구조적 측면에서 사회적 지지는 사람들이 상호 연결되어 있는 조직으로 사회통합이나 사회적 지지망 혹은 연결망(social network)의 구조로 설명된다. 사 회통합은 결혼상태, 지역사회 참여 여부 등으로 개념화되고 측정되며, 사회구성 원들이 사회에 대해 연대감, 소속감, 애착감 등을 느끼는 것으로 사회통합을 위 해서는 자원의 분배 뿐 아니라 감정적인 소속감도 중요하다(House & Kahn, 1985; Wills, 1985). 그리고 사회적 지지망은 구성원간에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지 지를 교환하거나 부정적인 상호작용을 교환하는 일련의 집합체로 개념화되며, 여 기에는 관계의 수, 관계망 내에서의 역할, 관계망 내에서의 접촉 빈도, 관계의 밀 도와 복잡성, 상호 호혜성, 동질성 등의 개념을 포함하는 것으로 개인이 얼마나 많은 친구를 가지고 있는가, 얼마나 많은 집단에 속해 있는가 등 대인관계의 측 면을 보는 것이다(Cohen & Syme, 1985; Thoits, 1986; 김미령, 2005; 유봉애, 2012). 구조적 관점의 장점으로는 지지수혜자의 개인적인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 는 상태에서 지지의 망적 특성과 사회체계로의 소속정도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데 있다(정현주, 2009).

반면, 기능적 측면에서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지지망을 이루고 있는 구성원들이 제공하는 행위의 내용 또는 사회적 자원으로 정의되며(Lieberman, 1982), 긍정적 정서나 정서적 지지의 표현, 신념이나 느낌에 대한 동의의 표현, 충고나 정보의 제공 등 한 개인이 맺고 있는 인간관계의 질을 스스로 어떻게 보는가에 대한 주 관적 입장을 말한다. 즉, 객관적인 특성보다는 사회적 지지를 수혜자가 어떻게 인지하는가 하는 주관적인 특성이 심리적 안녕에 더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입장 이다. 사회적 지지의 기능적 측면을 강조하는 연구자들은 다양한 지원 기능들이 서로 높은 상호관련성이 있기 때문에 사회적 지지의 기능을 단일차원이 아니라 복합적이고 다차원적인 구성체로 인식해야 한다(Thoits, 1986).

사회적 지지가 기능을 갖기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망이 있어야 하며, 사회적 지 지망의 현존은 사회적 지지에 접근할 수 있는 첫 번째 단계이고 그 다음이 관계 에서 나타나는 기능적 특성의 질이다(Pearlin et al., 1981).

그리고 기능적 측면에서의 사회적 지지는 주관적 측면으로써 개인이 맺고 있는 실제적인 대인관계의 질을 자신이 어떻게 평가 또는 자각하고 있는가를 측정함 으로써 알 수 있다. 즉, 개인이 여러 역할 범주에서 돌봄을 받거나 가치를 인정 받고 있다고 평가하고 이러한 관계에 만족하는 것을 말한다(조인숙, 2002).

물론 현실적으로 개인이 제공받는 사회적 지지의 기능이나 특성은 독립적인 것 이 아니라 상호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하더라도 대체로 사회적 지지는 개념적으 로 기능적 특성을 의미한다.

사회적 지지의 기능적 측면을 중시하는 연구는 지각된 지지(perceived support) 와 실제로 제공된 지지(received support)로 구분하기도 한다.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자원의 이용가능성 및 원조의 적절성에 대한 주관적 인 식으로 실제 상황이 아닌 가상적 위기상황에서 자신에게 주어질 것으로 기대되 는 도움의 형태를 측정하는 것이다. 그리고 실제적 지지는 관계망 성원에게 제공 받은 충고나 원조, 애정 등의 직접적인 전이를 의미하며, 실제 상황에서 받은 도 움의 종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생활사건 연구에서 많이 쓰인다(Wethington &

Kessler, 1986).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개인적 신뢰와 관계된 것으로 과거의 경험 뿐 아니라 개

인의 사회화나 사람들과의 교제를 통해 발달 될 수도 있다. 또한 개인의 사회적 지지망의 특성이나 개인의 사회적 지지를 수용하는 태도도 지각된 사회적 지지 에 영향을 미친다(Barrera, 1986). 반면 실질적 사회적 지지는 실질적인 사회적 지지의 사용 혹은 경험에 의해 구성되는 것으로 도움을 요청하기 위해서는 자신 이 사용 가능한 사회적 지지망이 있다는 것을 실제로 사용해본 경험이나 관계의 존재를 통해서 인지된다(김미령,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