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를 통한 새로운 전망치 도출을 위하여, 장내발효에 의한 메탄 배출과 분뇨분해에 의한 메탄과 아산화질소의 배출을 분리하여 분석한다. 축산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의 기본 방법은 IPCC Guidelines(1997)과 Good Practice Guidance(2000)의 Tier 2에 따르며, Tier 2를 적용할 수 없는 것은 Tier 1을 적용한다.

법은 농림부에서 제공하는 가축통계 자료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부속 서 I 국가들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소를 제외한 면양, 산양, 돼지, 말 등은 메탄배출량이 차지하는 비율이 많지 않고 독자적 자료 확보가 미 흡하여, IPCC(2000)에서 제시하는 방법론에 따라 Tier 1을 준용하였다.

한육우와 젖소의 세분류 방법은 장내발효 온실가스 배출량에 큰 영향 을 주기 때문에 세분류 방법에 대한 배출량 산정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 며, 차후에는 농림부의 가축통계 조사와도 연계하여 협의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검토되어지는 세분류에 대한 각각의 배출계수의 국내 연구자 료를 확보하기 위한 연구도 필요한 상황이다.

축종 사양

단계 특 징 적용

제2차 국가 보고서

KREI-COMO

2005

한우

송아지 1년생 미만의 한우 송아지 암수 Tier 2

불명확 (KREI- COMO 적용 불가)

집계가능 비육우

1년생 이상 출하 전까지의 육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한우수소 또는 거세우

Tier 2 집계가능

번식우 1년 이상 번식을 목적으로 하는

육성우 및 번식우 Tier 2 집계가능

젖소

육성우1년생 미만의 젖소 암수송아지

1~2년생 미만의 육성우와 건유우 Tier 2 집계가능 비육우1년생 이상 출하 전까지의

육생산을 위한 젖소 수소 Tier 2 집계어려움

착유우 유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비유우 Tier 2 집계가능 돼지 전 연령대 암수 Tier 1

면양 전 연령대 암수 Tier 1

산양 전 연령대 암수 Tier 1

말 전 연령대 암수 Tier 1

<표 Ⅱ-39> 축종별 분류기준에 따른 가축두수 전망 방법

축 종 2005 2010 2015 한우

송아지 547.9 665.8 722.1

비육우 282.6 300.5 295.3

암소 879.0 1,128.6 1,246.6

소 계 1,709.5 2,095.0 2,264.0

젖소

송아지 416.9 395.6 393.2

비육우

암소(착유우) 227.1 205.9 203.7

소 계

돼지 8,893.2 8,808.6 8,856.7

면양 산양 말

육계 64.3 72.4 77.2

<표 Ⅱ-40> KREI-COMO 2005를 이용한 세분류별 사육두수 전망 (단위: 천두)

(나) 축종별 배출계수 산출근거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해당 축종의 배출계수를 세부집단별로 구성 하기 위해 농림부의 가축통계조사를 활용하였고, 한육우와 젖소에게 Tier 2 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IPCC(2000)에서 제시하는 가축의 에너 지섭취량(GE) 산출식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에서 사육되는 가축 의 생리적 특성을 반영하기 위해, 생시체중, 목표체중, 소화율 등은 국내 자료를 이용하였고, 자료가 없는 것은 IPCC(2000)의 default값을 적용하 였다. 그러나 소를 제외한 면양, 산양, 돼지, 말은 메탄배출량이 차지하 는 비율이 많지 않고 독자적 자료 확보가 미흡하여 IPCC(2000)에서 제 시하는 방법론에 따라 Tier 1을 준용하였다.

<한우>

송아지 생시체중은 가축개량관련자료(농림부와 축산기술연구소, 2000) 를 참고하여 암수 공히 24.1kg을 적용하였고, 비육우 도살체중은 비육우 의 경우 축산물등급판정소(2001)에서 농협 서울공판장에서 판정한 39,075 두 중 암소를 제외한 수소(13,418두)의 생체중 575kg와 거세우(18,754두) 의 생체중 588kg에 두수를 적용하여 평균한 결과 578kg으로 도출하였다.

송아지의 12개월령 체중과 번식우의 성숙체중은 가축개량관련자료(농림 부와 축산기술연구소, 2000)에서 제시한 36개월령 체중 399.8kg과 246.1kg을 각각 적용하였다.

사료의 소화율은 이상철 등(1988)의 조사료와 농후사료 비율에 따른 에 너지소화율 변화 자료를 바탕으로, 송아지의 경우 조사료 50%: 농후사료 50% 급여시 성적인 67.36%를 적용하였고, 번식우는 조사료 75%: 농후사 료 25% 급여시의 63.82%를 적용하였다. 비육우의 경우에는 한우수소에 농후사료와 조사료를 70:30으로 급여시 볏짚, 건초, 옥수수사일리지 급여 사료의 에너지소화율 평균성적으로 74.46%를 도출하였다(이상철 등, 1988).

기온차이에 따른 체중증감 부분은 한국은 4계절을 겪기는 하지만 생체중 과 증체량에서 이러한 요소들을 이미 감안되었다고 보기 때문에 체중증감 은 고려하지 않았다. 이 성적들을 바탕으로 IPCC의 Good Practice Guideline(2000)에서 제시하고 있는 NEm, NEa, NEm/DE, NEga/GE 방 정식을 적용하였다. Ym값은 송아지와 번식우의 경우 운동량이 많다는 것 을 근거로 0.06을 적용하였고, 비육우는 0.04를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번식우 두수에 1~2년생의 육성우를 포함하기 때문에 자료의 명확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추가연구에서는 세 분류를 조정하여 정확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사양단계 생시체중 (kg)

12개월령 체중(kg)

일당증체량 (kg/d)

생체중 (kg)

도살체중 (kg)

소화율 (%) Ym

송아지 24.1 246.1 0.61 135.1 - 67.36 0.06

비육우 - 246.1 0.91 412.1 578 74.46 0.04

번식우 24.1 - 0.34 399.8 - 63.82 0.06

<표 Ⅱ-41> 한우의 세분류별 성장능력 및 소화율

<젖소>

젖소의 생시체중은 최유림 등(1996)의 Holstein종 생시체중 유전모수 추정자료를 바탕으로, 수송아지는 43.69, 암송아지는 39.87kg을 적용하였 다. 육성우는 1년생 미만의 암수송아지와 육성우(1~2년생 미만) 및 건유 우를 포함하였고, 새로운 젖소 사육기술(축산기술연구소․농협, 2002)의 24개월령 체중인 597kg을 적용하여 318.4kg을 생체중으로 도출하였다.

비육우의 생체중은 젖소 수송아지의 생시체중에 도축체중 681kg(김현섭 등, 1997)의 평균값을 산출하여 362.3kg으로 하였다. 착유우의 생체중은 산차별 체중조사 자료가 미흡하여, 새로운 젖소 사육기술(축산기술연구 소․농협, 2002)의 25개월령 체중 624kg을 적용하였고, 도살체중은 관행 적으로 650kg을 채택하였다.

소화율의 경우 한인규 등(1996)에서 Holstein 건유우에 건초와 농후사 료 비율을 달리했을 때의 에너지 소화율을 참고하여, 송아지와 착유우의 경우에는 건초 50%: 농후사료 50% 급여시 성적인 71.13%를 적용하였고, 비육우는 건초 30%: 농후사료 70%성적인 73.40%를 적용하였다. 착유우 의 연간 산유량은 2001년도 전국 평균유량인 6,749kg(축산기술연구소․

농협, 2002)을 적용하여, 365일로 나눈 값인 18.49kg을 적용하였고 이때

의 평균 유지율은 3.74%였다. 비록 비유초기에 체중의 심한 감소는 있겠 지만 분만직전에 다시 회복되는 경향이 있고, 기온차이에 따른 체중증감 역시 한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고려하지 않았다.

사양 단계

생시 체중 (kg)

24개월령 체중 (kg)

일당 증체량 (kg/d)

생체중 (kg)

도살 체중 (kg)

소화율 (%) 산유량

(kg일) 유지율 (%) Ym

육성우 39.87 597.0 0.78 318.4 - 71.13 0.06

비육우 43.69 - 0.96 362.3 681 73.40 0.04

착유우 - - - 624.0 650 63.82 18.49 3.74 0.06

<표 Ⅱ-42> 젖소의 세분류별 성장능력, 유생산성 및 소화율

위의 성적들을 바탕으로 IPCC의 Good practice guideline(2000)에서 제시하고 있는 NEm, NEa, NEg, NEd, NEm/DE, NEga/GE 방정식을 적용하였다. Ym값은 송아지와 착유우의 경우 운동량이 많다는 것을 근 거로 0.06을 적용하였고 비육우는 0.04를 적용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 서는 육성우 두수에 암수송아지와 1~2년생의 육성우 및 건유우를 전부 포함하였기 때문에, 생체중이 높아져 자료의 명확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어, 추후 연구에서는 세분류를 조정하여 정확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배출량을 산출하기 위한 방법 및 축종별 배출계수는 <표 Ⅱ-43>에 명시 되어 있다.

축 종 한 우 젖 소

송아지 비육우 번식우 육성우 비육우 착유우

배출계수

(kg/두, 년) 39.191 50.712 48.979 61.813 45.504 106.690

<표 Ⅱ-43> Tier 2에 의한 소의 메탄 배출계수

(다) Tier 2를 적용한 메탄 배출전망 (2005년~2015년)

Tier 2에 의한 메탄배출 전망은 IPCC에서 권장하는 Good practice guideline을 활용하여, 세분류된 가축별 사양 및 생산특성을 고려하여 메탄배출계수를 구한 후, 가축두수를 곱하는 방법으로 도출하였다. 그러 나 돼지, 산양, 면양, 말 등은 국내자료가 부족하여 여전히 Tier 1을 사 용하였는데, 실제 한국에서 사양되고 있는 형태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사육두수 및 배출량 비중이 적기 때문에 전체 배출량 에 있어 큰 차이를 초래하지 않을 것으로 평가된다.

<표 Ⅱ-44> 축종별 장내발효에 의한 메탄 배출전망

(단위: Gg)

축 종 2005 2008 2010 2012 2015

한우

송아지 21.47 24.77 26.09 27.0 28.30

비육우 14.33 14.94 15.24 15.31 14.97

암소 43.05 51.82 55.28 57.78 61.06

소 계 78.85 91.53 96.61 100.09 104.33

젖소

육성우 25.77 24.69 24.45 24.35 24.30

비육우 1) 3.87 3.87 3.87 3.87 3.87

암소 24.87 22.34 21.97 21.81 21.73

소 계 54.51 50.9 50.29 50.03 49.9

돼지 13.34 13.20 13.21 13.24 13.29

면양 1) 0.01 0.01 0.01 0.01 0.01

산양 1) 2.42 2.42 2.42 2.42 2.42

1) 0.29 0.29 0.29 0.29 0.29

소 계 16.06 15.92 15.93 15.96 16.01

총 계 148.8 158.4 162.8 166.1 170.2

주: 1) KREI-COMO2005에서 가축두수 전망자료가 없기 때문에 2005년 두수를 동일 적용하여 산출.

한우에 의한 메탄 배출량은 2005년부터 2015년까지 지속적으로 증가 할 것으로 보이며, 젖소에 의한 배출량은 사육두수의 저감으로 2005년 이후 2015년까지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었다. 종합 적으로 2015년 젖소의 장내발효에 의한 메탄 배출량이 감소하더라도, 한 우에 의한 배출량 증가폭이 커서 1990년에 대비하여 13%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