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축 사육두수의 동향과 전망

년에 계란소비가 위축되고 사료가격이 상승하여 국내공급량이 줄어들었 다. 1999년~2000년에는 경영여건이 좋아져 생산과 소비가 증가되면서, 2000년에는 1인당 소비량이 10.2kg로 증가되었고 2002년에는 11.3kg까지 꾸준히 증가되었지만, 이후 국민 식생활상 계란의 생산과 소비는 거의 정점에 달한 것으로 판단되어 2012년까지 정체하거나 소폭 감소하는 현 상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였다.

구 분 1995 1998 1999 2000 2001 2002 2004 2012 1인당 소비량 (kg) 5.8 9.8 9.9 10.2 10.4 11.3 11.3 11.1 총 생산량 (천톤) 239 456.2 461.7 478.8 490.4 536.6 544.0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02)

<표 Ⅱ-32> 계란 소비량 전망

(가) 한육우

한육우의 사육두수는 1996년 284만두(12월 기준)로 최고두수를 기록하 였다. 그러나 1997년 하반기에 발생한 외환위기와 2001년에 예정된 생우 와 냉장쇠고기의 완전 수입개방의 영향으로 농가의 사육 심리가 위축되 어 2000년부터 한육우 사육두수가 감소되기 시작하여 2001년에는 140.6 만두로 격감되었다가 2002년에는 141.0만두로 소폭 증가하였다. 2001년 도에 농림부에서 발표한 「한우산업발전종합대책」은 한우사육 기반을 유지하고 수입쇠고기에 대한 품질경쟁력을 확보하자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대책에서는 한우사육기반 유지차원의 번식용 암소 적정두수를 확보하기 위해서 다산장려금 지급, 송아지적정가격 보전 정책을 제시하 고 있다. 품질경쟁력 차원에서는 수입쇠고기에 비해 비싼 가격을 받고 있는 한우고기의 안정적인 수요기반을 확보하기 위해서 육종개량, 사양 기술개선 등 품질고급화를 꾸준히 추진하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러한 정책의 효과와 함께 소고기 수입시장에 대한 불안감이 줄어들고, 사육두 수 감소에 따른 산지가격 상승으로 농가들의 사육의지가 점차 높아지면 서 2001년을 저점으로 하여 2002년에는 141만두로 완만하게 사육두수가 증가되었고, 2012년에 이르면 사육두수가 약 160~170만두 가량이 될 것 으로 전망하고 있다.

(나) 젖소

2000년에는 구제역이 발생되어 사육 불안심리가 있었으나, 이후 분유 재고의 감소, 체세포페널티의 환화 등으로 2001년에는 사육여건이 호전 되면서 인공수정두수가 증가하는 현상과 함께 사육두수가 54.8만두가 되 었다. 2002년 7월에 원유가격 산정제가 유지방에서 유단백질 위주로 변 경됨에 따라 경산우의 도태가 증가하는 등 사육두수 감소 요인이 존재

하여 2002년 54.4만두로 약간 감소하였으나 원유가격산정체제가 정착되 고 집유일원화로 판로가 확보되면 사육두수는 매년 0.4~0.8% 정도로 증 가하여 2012년에는 약 60만두 이상을 상회할 전망이다.

(다) 돼지

돼지는 1999년 대일 수출이 증가하여 사육두수가 1998년도에 비해 4%나 증가한 786.4만두였으나, 2000년 구제역 발생으로 수출이 중단되어 일시적으로 가격이 하락하였지만 정부와 민간수매로 가격을 회복하면서 2001년에는 사육두수가 872만두가 되었다. 2002년에는 2001년도의 모돈 수 증가로 돼지사육두수가 2001년 보다 2.9% 증가한 897만두를 기록하 였고,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환경규제 등의 영향으로 2006년부터는 증가세가 둔화되어 2012년에는 약 951만두가 사육될 것으로 전망된다.

(라) 닭

소비자의 백색육에 대한 선호도가 계속 높아질 것으로 예측되지만, 닭 고기 수입이 1997년 7월부터 자유화되고 수입량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내수시장이 잠식당하여 육계사육수수 증가폭은 크지 않을 전망이다. 육 계사육수수는 2004년에는 2002년 대비 6.9% 증가한 5,470만수가 되고 2012년 까지 완만한 증가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산란계 사육수수는 1990년 이후 증가추세에 있었으나 1998년의 환율 상승으로 사료가격이 상승하여 전년대비 5%의 사육수수 감소가 있었다.

1999년~2000년에는 사육수가 증가하였으나 2000부터 종계입식 감소와 종계생산성 저하로 2001년에는 4,979만수로 감소하였다가 계란의 수요가 완만하게 증가하여 2002년에는 5,019만수를 기록하였다. 이후에도 2012 년까지 매년 조금씩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축 종 2000 2005 2010 2015 2020 한우

송아지 589,610 620,680 657,504 637,192 637,192 비육우 165,851 121,848 142,930 142,128 142,128 암소 780,448 721,776 792,199 744,207 744,207 소계 1,535,909 1,464,304 1,592,633 1,523,527 1,523,527 젖소

송아지 231,852 310,854 320,529 323,275 323,275

비육우 54,111 46,916 55,034 54,725 54,725

암소 311,856 264,571 273,582 276,140 276,140 소 계 597,819 622,341 649,145 654,140 654,140 돼지 8,214,000 9,234,124 9,473,290 9,510,997 9,510,997

면양 829 791 791 791 791

산양 449,417 444,150 444,150 444,150 444,150

말 10,597 14,261 14,261 14,261 14,261

소 계 8,674,843 9,693,326 9,932,492 9,970,199 9,970,199

<표 Ⅱ-33> 축종별 가축 두수 전망

(단위: 천두)

나. 가축사육두수 전망모형 및 축산환경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