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자원(resource)이라는 용어는 이론적인 정의에 기초하기보다는 상식적 수준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복지와 관련된 영역에서는 욕구 (needs)에 대한 대응개념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다.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속성이 두드러지는 욕망(wants), 경제적 측면의 수요를 기초로 하는 수요 (demands)에 비하여 비개인적, 비경제적 측면의 사회적 속성을 ‘욕구 (needs)'라 보고 여러 사회적 서비스나 사회복지활동이 충족시켜야 할 표 적으로 삼고 있다. 여기에서 자원이란 욕구 충족을 위한 서비스 및 각종 사회복지활동에 투입되는 제반 요소들을 말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투입 (input)요소가 아니라 산출(output)된 서비스나 활동 자체를 자원이라 부르 기도 한다. ‘욕구와 자원의 연계’에 대한 논의나 표현이 많아지는 것들이 이와 관련되는 것이다.

지역사회자원(community resource)은 그 자체로 단일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정리된 이론적 개념은 아니다. 지역사회복지의 측면에서 상식적 수준에서 사용되고 있는 범주이다. 자원의 소재나 영역으로서 지역사회라 는 점을 부각시킨 것이라 하겠다.

자원의 소재나 영역을 근접한 영역으로 국한 혹은 특정화하는 측면에서

지역사회 자원은 ‘지역사회’의 범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하는 논란을 가져올 수도 있다. 실제 지역사회복지에 관한 많은 논의에서는 지역사회 의 개념에 대해 여러 가지의 견해가 나타나고 있다. 기본적으로 근접성으 로 규정되는 ‘지리적 속성’과 사회적‧심리적 측면의 ‘기능적 속성’의 두 측면이 지역사회 개념의 핵심적 요소로 강조된다. 물론 강조하는 바에 따 라 서로 다른 초점이 나타나기도 한다. 실제 우리나라에서의 사회복지실 천에서 활용되는 지역사회 개념은 그 범위가 반드시 행정적 경계와 일치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읍면동 등 기초 이하단위의 작은 지역사회범주와 광역 단위 정도의 큰 지역사회범주가 혼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현재 우리 나라의 실제 지역사회복지나 사회서비스 등과 관련된 프로그램이나 논의 에서 지역사회개념은 대체적으로 시군구 단위의 범주에 입각해있는 경우 가 대부분이다.

지역사회자원 개념을 강조하는 경우는 대개 정부(혹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이외의 자원 활용을 모색하는 경우이다. 혹은 사회복지시설 등의 조 직체가 시설 외부에 존재하는 자원을 확보해야 한다는 개방성(openness) 을 강조하는 경우에 부각되는 범주이기도 한다. 연구에서 지역사회자원의 개념이 분석되는 경우는 많지 않다. 이보다는 사회적 자원(social resource) 혹은 자원(resource)이라는 개념이 분석 혹은 정의의 대상이 되곤 했다. 그 리고 자원이 소재한 위치로서 지역사회라는 개념을 결합하여 지역사회자 원이라는 용어를 관행적으로 사용하곤 한다. 사회적 자원은 인간의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동원되는 시설, 설비, 자금이나 물자, 또는 개인이 나 집단의 지식과 기능 등을 총칭하는 것이다(김수영, 2003).

사회복지조직 혹은 사회복지서비스는 인간을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사 회적 기능이 향상되고 사회적 욕구가 충족될 수 있도록 변화나 유지를 위 해 활동을 전개한다. 이 활동과정에서 투입되는 물적‧인적 요소의 총체를 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사회복지서비스의 본질을 욕구(needs)와

자원(resource)의 연결을 요체로 하여 파악하곤 한다.

전광현(2004)은 핀커스(Pincus, A.)와 미나한(Minahan, A.)을 인용하며 사회복지실천은 사람과 자원 시스템과의 연결이나 상호작용에 초점이 있다 고 보았다. 그 자원 시스템이란 ① 가족이나 친구들로 대표될 수 있는 자연 자원 시스템, ② 회원조직 혹은 공적인 단체라고 할 수 있는 공식적 자원 시스템, ③행정서비스로 대표되는 사회제도적 자원 시스템 등이라고 했다.

지역사회자원(community resource)의 개념이 본격적으로 규정되거나 분 석되어 온 경우는 적다. 몇 가지 이유를 찾아볼 수 있다. 첫째 우리사회에 서 지역사회중심으로의 사회복지서비스 체계 개편 역사가 짧다는 점, 두 번째, 자원의 동원에 대해서 당위적이고 규범적으로 접근하는 경우가 많 아 본격적인 분석의 대상으로 여겨지지 못했다는 점, 세 번째, 지역사회자 원의 활용에 대해 시설 중심으로 사고하는 관행이 많았다는 점 등이 관련 될 수 있다.

지역사회자원의 개념을 본격적으로 정의하고 있지 않더라도 기존의 몇 몇 연구에서 지역사회자원에 대해 어떻게 조망하고 있으며 어떠한 접근전 략을 활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김영종(1994)은 지역사회자원이란 지역성을 가지는 사회의 범위 내에서 존재하는 자원으로 보았고 주로 민간자원이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보았 다. 정부자원은 미분화된 속성이 강하여 ‘지역사회자원’으로 보기는 힘들 다는 것이 그 이유이었다.1) 특히 재정자원, 인적자원, 클라이언트자원이라 는 세 가지가 초점이라고 보고 있다.

지역사회에 대한 사정의 측면에서 지역사회자원에 대해 접근하기도 한 다. 지역사정의 유형에 포괄적 사정(comprehensive assessment) 친숙한 본질사정

1) 이에 대해 최근의 상황에서는 재고가 필요하다. 현재는 지방정부로의 재정이양 등 분권화가 본격화되어 있어 정부의 재원 역시 중앙정부만이 아니라 지자체의 권한 및 활동과 밀접한 관 련된다.

(assessment of a familiarization nature), 문제가 중심이 된 사정(problem-oriented assessment), 하위체계사정(subsystem assessment)에 중요한 요소로 자원사정 (resource assessment)과 협조사정(collaborative assessment)을 추가하고 있다 (Hardcastle,Wenocur & powers, 1997; 지은구, 2003에서 재인용). 여기서 자 원사정은 지역사정의 한 부분으로, 지역사회 전반에 대해 파악하기 위해 지역의 자원을 중심으로 사정을 시행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특 정 문제의 해결을 위해 동원할 자원의 양만을 파악한다는 의미를 넘어서 는 것이다. Whitworth 등은 힘, 전문적 기술, 자금, 서비스라는 네 분야의 지역사회자원을 사정해야 한다고 보았다(지은구, 2003).

이와 유사하게 Kettner 등은 지역사회의 자원목록을 개발 또는 발전시키 기 위해서 사회복지사가 행해야 하는 조사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제시하 고 있다(Kettner, Monet, & Martin, 1990).

〈표 2-1〉지역사회자원 목록 개발을 위한 사회복지사가 행해야 할 조사 ․실제적으로 어떤 서비스가 활용가능한가?

․어떤 서비스가 가장 잘 이용 되는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가?

- 위치, 서비스의 질, 직원들의 태도 등 ․전문용어를 기관마다 서로 다르게 이용하는가?

- 예를 들어 개별사례가 무엇인가에 대해 사람마다 기관마다 서로 다르게 사용한다면 자원목록에 어려움이 뒤따르게 된다.

지역사회자원은 지역사회 내에서 복지증진이라는 목표 달성을 위해 활용 될 수 있는 모든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자원은 매우 폭넓은 다양성 을 가지고 있다. 김종일(2004)은 Ganz의 견해를 인용하며 돈이나 물질과 같 은 경제적 자원(economic resource)은 사용을 통해 소모되는 반면, 도덕적 자 원(moral resource)은 관계나, 헌신, 이해 등의 비물질적인 것으로서 특히 사 용을 통해 지역사회 내에서 점점 늘어나는 것이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한편으로는 지역사회자원을 사회복지조직의 환경적 요소라는 측면에서 파악해온 경우도 있다. 이 경우 보다 거시적 범위의 일반환경(general environment)과 상대적으로 근접해 있는 작업환경(task environment)의 구 분이 많이 나타난다. 여기서 자원환경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지역사회내 자원환경과 외부의 자원환경으로 구분하여 살펴보기도 한다(김영종, 1994).

또한 자원은 지역사회복지실천의 수단일 뿐만 아니라 목적 자체가 되기 도 한다. 사회적으로 억압당한 계층과 함께 일하는 실천(소위 사회행동 Social Action 모형)에서는 자원분배구조의 불평등을 시정하는 것 자체가 수단이 아닌 가장 중요한 목표가 되기도 한다(김종일, 2004).

결국 지역사회자원은 특정한 사회문제의 해결 혹은 사회적 욕구의 충족 을 위해 지역사회 내에서 활용될 수 있는 물질적‧비물질적 투입요소의 총 체라 할 수 있다. 이 구체적 모습은 그 유형에 대한 논의를 통해 보다 구 체적으로 파악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