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은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확대된 분석방법으 로 명목변수인 종속변수가 세 개 이상의 범주일 때 사용되는 분석방법이다 (Chan, 2005: 259). 아래 식(equation)은 종속변수가 두 개 이상인 경우의 확 률모형을 나타낸 것이다(Sentas, Angelis, Stamelos, and Bleris, 2003: 6). 다항 로짓 분석에서 종속변수가 q개 범주일 때 분석되는 로짓모형은 q-1개가 된 다. 만약 종속변수의 범주(categories)가 세 개라면 그 중 한 범주를 준거 (reference)로 사용하고 기준범주(baseline category)라고 부른다. Maximum

Likelihood 방법을 통해 다항 로짓 모형의 상관계수(coefficient)를 계산한 후, 로짓을 계산하고 이를 통해 각각의 범주의 확률을 계산해 낼 수 있다.

본 분석에서 사용된 종속변수는 자녀양육형태로 3가지 형태로 구분되기 때문에 다항 로짓 모형은 q-1개인 2개가 된다. 본 분석에서 자녀양육형태 는 직접양육, 사적자원 또는 보모고용, 보육시설이용으로 구분되어 지고, 직접양육형태를 준거로 기준범주를 설정했다. 이에 따라 확률(Odds ratio) 은 준거 집단 대 비 준거 집단 전체에 대한 수치를 계산한 것이 아니라 준거 집단 대 특정 비교 집단과 비교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분석에서 사용한 아동양육형태에서 직접양육을 준거집단으로 설정했을 경우 다항 로지스틱회귀분석의 결과는 직접양육형태와 다른 두 양육형태를 각각 비 교하는 형태로 주어진다. 이를 통해 본 분석은 세 가지 양육형태(해당지 역사회의 아동양육과 관련된 이용자원)에 대한 비교분석을 수행했다. 분 석대상은 두 개의 개별적인 표본인데 하나는 취학 전 자녀를 둔 집단을 대상으로 자녀양육형태(직접양육 대 사적자원 또는 보모고용, 직접양육 대 보육시설이용)를 분석했고, 다른 하나는 취학 자녀를 둔 가구를 대상 으로 자녀양육형태(직접양육 대 사적자원 또는 보모고용, 직접양육 대 시 설이용)를 분석했다.

나. 변수설명

본 분석에 사용된 종속변수는 취학 전과 취학(초등학교 1학년에서 3학 년까지) 자녀의 양육형태이다. 양육형태는 3가지로 구분되는데 첫 번째 형태는 모가 직접 자녀를 양육하는 경우이고, 두 번째 형태는 모이외의

가족구성원(남편, 친정부모, 시댁부모, 친인척 등)에 의해 자녀가 돌보아지 거나 비가족구성원인 보모를 고용하는 경우이다. 세 번째 형태는 시설을 이용하는 형태이다. 시설이용형태는 취학 전 자녀와 취학 자녀가 다소 상 이한데 취학 전 자녀의 경우는 유치원, 어린이집(놀이방), 학원, 방과후교 실 등을 포함하고 있다. 취학 자녀의 경우는 지역아동센터, 어린이집, 학 원, 초등학교 방과 후 교실을 의미한다. 모가 직접 양육하는 경우를 준거 집단(reference group=1)으로 설정하고 사적자원(가족자원) 또는 보모고용을 2, 시설이용을 3으로 부호화했다. 이에 따라 분석결과는 직접양육 대 사적 자원 또는 보모이용, 직접양육 대 시설이용에 대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본 분석에 사용된 독립변수는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크게 3집단으로 나 누어지는데 첫 번째 집단은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반영한 변수집단이다.

연령과 자녀수는 연속변수로 사용되었고 각각 연수와 명수로 측정되었다.

교육수준은 가변수 처리한 것으로 대학재학이상의 학력을 가진 집단을 준 거집단(0)으로 하고, 대학재학이하의 학력을 가진 집단을 ‘1’로 부호화하 였다. 두 번째 변수집단은 자녀양육서비스와 관련된 3개의 변수이다. 구체 적으로 살펴보면 이동거리는 자녀양육을 위해 이동이 필요한 경우 소요되 는 시간을 3개 집단으로 구분해서 측정했다. ‘10분 이내’인 경우를 준거집 단(0)으로 10~20분 소요, 20분 이상 소요를 비교집단으로 설정해서 각각 가변수 처리했다. 다만 취학 자녀를 대상으로 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에서는 충분한 사례수를 확보하기가 어려워 소요시간을 연속변수화해서 사용했다. 10분 이내를 1, 10~20분 이내를 2, 20~30분 이내를 3 등으로 점수화하고 1시간 이상 소요될 경우를 7로 부호화했다. 가격의 적절성에 관한 변수는 “동 기관(사람)의 서비스 비용은 어떻습니까?”라는 질문에 대 한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된 변수이다. 원 자료는 “1. 매우 저렴하다, 2.

저렴한 편이다, 3. 보통이다. 4. 비싼 편이다, 5. 매우 비싸다”로 구성되어 있으나 분석의 편이를 위해 “5. 매우 저렴하다, 4. 저렴한 편이다, 3. 보통

이다. 2. 비싼 편이다, 1. 매우 비싸다”로 변수 값을 변경했다. 서비스 만 족도에 대한 변수도 “동 기간(사람)의 서비스 질은 어떻습니까?”란 질문에 대한 답으로 서비스 비용에 대한 질문과 같이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되 었고, 역산해서 코딩하였다(1. 매우 나쁘다, 2. 나쁜 편이다, 3. 보통이다, 4. 좋은 편이다, 5. 매우 좋다).

마지막 독립변수군은 자녀양육과 관련된 지역사회 자원이용형태의 차이 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변수들이다. 생계부양형태는 이인생계부양자와 일인생계부양자를 구분한 것으로 일인생계부양자가구를 준거집단으로 이인생계부양자(1)가구를 가변수화 했다. 일인생계부양자가 구의 경우 가구 내 성별분업이 이루어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아 동양육과 관련된 지역사회의 다른 자원을 이용하기보다 직접 이용할 가능 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반면 이인생계부양자가구에게는 모 가 직접 자녀를 양육하는 것은 특수한 경우(가정 내에서 소득활동을 하는 경우이거나 자영업을 하는 경우, 예를 들어 가게와 집이 연결되어 있는 경우 등)를 제외하고는 아동을 직접 양육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인생계부양자가구의 경우, 직접양육 이외 아동양육과 관련된 지역사회의 다른 자원 이용 비율이 높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부모동 거 변수는 친정 또는 시댁 부모 동거여부를 묻는 것으로 부 또는 모가 동 거할 경우를 ‘1’로, 비동거 가구를 ‘0’으로 부호화해 가변수화 했다. (노)부 모가 같은 가구 내에 동거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어린 자녀를 돌보아 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에 비동거 집단과 비교했을 때 두 번째 양육형태인 사적자원을 이용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취업형태는 임금근로 와 비임금근로를 구분했다. 비임금근로집단은 비취업 집단을 포괄한 경우 로 ‘0’으로 부호화하고 임금근로를 하고 있는 경우를 ‘1’로 부호화 했다.

일반적으로 비임금근로의 경우 가족사업종사자 또는 자영업자인 경우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본인이 직접 양육할 가능성이 임금근로집단에 비해 높

을 것으로 예상된다. 임금근로집단의 경우는 직접양육이 불가능하고 다른 자원을 이용할 가능성이 높을 것이다. 근로시간은 과도한 근로시간이 자 녀양육형태와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추가한 변수이다.

주당 44시간 이상을 과근로로 보고 ‘1’로 부호화하고 나머지 사례를 ‘0’으 로 부호화 했다. 거주지역은 마지막 변수인데 거주지역에 따라 아동양육 과 관련해 이용가능한 자원이 상이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추가한 변 수이다. 대도시는 친인척 등 사적인적자원망을 활용하기 어려운 대신 아 동양육시설에 대한 접근성은 높고, 농촌 지역의 경우 보육시설에 대한 접 근성은 낮지만 대신 사적인적자원망을 이용할 가능성은 높을 것으로 예상 된다. 중소도시는 앞서 언급한 두 지역의 장점을 동시에 갖추고 있을 가 능성이 높다(아니면 반대로 두 지역의 단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을 가능성 이 높다). 중소도시를 준거집단으로 대도시와 읍면동 지역을 각각 ‘1’로 부호화해서 가변수화 했다.

다. 분석결과

1) 취학 전 아동 양육형태에 관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표 4-32>는 취학 전 아동을 양육하는 가구의 지역사회자원 이용형태 중 직접 자녀를 양육하는 가구 대 사적자원 또는 보모를 고용하는 가구 간의 주요변수들과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이다. 전체적인 모형은 통계적으 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Model Chi-square=473.630, df=26, p<0.001).

먼저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관련된 변수들을 보면 연령, 자녀수, 교육수준 은 아동 양육과 관련된 지역사회 자원 이용형태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에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서비스 적절성과 관련된 변 수들은 다른 변수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이동거리와 서비스 비용에서 통계 적 유의미성이 검증되었다. 서비스 이용에 소요되는 시간과 관련된 변수

중 ‘10~20분 이내’ 변수가 직접양육형태와 사적자원 또는 보모이용형태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odds ratio=6.181, p<0.01). ‘서비스 비용’ 변수도 직접 아동을 양육하는 형태와 사적자원 또 는 보모를 고용하는 형태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odds ratio=0.278, p<0.001).

〈표 4-32〉취학 전 자녀 양육형태에 관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직접양육 대 사적자원‧보모고용

구분 Coefficient Odds ratio 95% Wald Confidence Limits Lower 95% Upper 95%

연령 0.000 1.000 0.857 1.167

자녀수 0.080 1.083 0.440 2.670

교육수준 대재이하 -0.640 0.527 0.177 1.573

(대재이상) 이동거리

10~20분 1.822** 6.181 1.677 22.779

20분 이상 -0.137 0.872 0.119 6.412

(10분 이내)

가격 적절성 -1.279*** 0.278 0.143 0.543

질 적절성 -0.163 0.850 0.364 1.984

생계부양형태 이인생계부양 2.800** 16.442 2.101 128.665 (일인생계부양)

부모동거 동거 0.960 2.610 0.525 12.987

(비동거)

취업형태 임금근로 2.003* 7.411 1.301 42.220

(비임금근로, 비취업)

근로시간 주44시간이상 2.964*** 19.373 3.456 108.603 (44시간 이하,비취업)

거주지역

대도시 -1.908** 0.148 0.039 0.561

읍면동 -1.503* 0.222 0.063 0.790

(중소도시)

절편 2.552

-2 Log L 352.883

Model Chi-square 473.630***

df 26

N 452

주: †p<0.1, * p<0.05, ** p<0.01, *** p<0.001

이어서 주요 분석 변수들과의 관련성을 보면 생계부양형태, 취업형태, 근로시간, 거주지역 등 부모동거 여부를 제외한 변수들에서 통계적으로

이어서 주요 분석 변수들과의 관련성을 보면 생계부양형태, 취업형태, 근로시간, 거주지역 등 부모동거 여부를 제외한 변수들에서 통계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