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Ⅲ. 연구방법

5. 자료분석

기초지자체 신규 하위직 공무원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개인과 조직이라는 서로 다른 차원의 위계적 자료 구조(hierarchical data structures)를 지니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조직몰입의 수준, 개인 및 조직 차원 변인의 수준을 구명하기 위해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과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조직몰입에 대한 개인과 조직 차원 변인의 위 계적 구조 자료 분석을 위해 HLM 7.0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2수준 위계적 선형 모형 다층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은 기초모형(Null Model), 연구모형 (Explanatory Model) 순서대로 실시하였다. 모든 분석에서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으며, 경우에 따라 0.01 수준에서도 유의도를 판단하여 제시하였 다. 그리고 2수준에 투입되는 변수는 개인변수를 집단변수로 변환하기 위해 1수 준에 투입되는 개인변수의 집단평균을 계산한 뒤, 전체평균중심화(grand mean centering)를 거쳐 투입하였다.

가. 기초모형: 무선효과 일원변량분석모형

위계적 선형모형분석의 첫 번째 단계로 다층자료로부터 기초정보를 수집하고, 조직몰입의 전체 변량을 집단 내 변량과 집단 간 변량으로 분할하기 위한 목적 으로 기초모형(무선효과 일원변량분석모형: the one-way anova model)을 설정하 였다. 기초모형은 집단 내 모형과 집단 간 모형에 독립변인을 투입하지 않고 종 속변인인 조직몰입의 구분만 있는 최소모형이다(강상진, 2016). 기초모형은 1수준 모형(집단 내 모형)과 2수준 모형(집단 간 모형)으로 구분되며, 2수준 모형을 1수 준 모형에 대입하여 통합모형을 얻는다. 이를 통해 신규 하위직 공무원 개인 수 준과 기초지자체 조직 수준의 변량을 분할하고 집단 내 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를 도출함으로써 조직몰입이 기초지자체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구명하고, 다음 단계 분석의 바탕이 되는 기초적인 정보를 확보한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   ∼   1수준 모형:

2수준 모형:

   ∼  

통합모형:

   

  번째 기초지자체 번째 신규 하위직공무원의 조직몰입 값

 번째 기초지자체 조직몰입 값의 평균

   조직몰입의 개인수준 변량

 전체 표본의 조직몰입 값의 평균

   조직몰입의 조직수준 변량

   



  조직수준 변량  개인수준 변량

나. 연구모형1: 공변량 분석모형

위계적 선형모형분석의 두 번째 단계로 조직몰입에 대한 조직 특성 변인의 평 균 효과를 구명하기 위해 공변량 분석모형(regression with means-as-outcomes model)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1수준 모형(집단 내 모형)은 무선효과 일원변량 분석모형과 동일하며, 2수준 모형(집단 간 모형)은 기초지자체 조직 수준 변인을

    ∼  

투입한 모형이다. 2수준 모형에서 전체 기초지자체의 평균 조직몰입을 절편계수 ()로 추정하고, 기초지자체별 조직 특성 변인이 기초지자체 평균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기울기 계수로 추정함으로써 기초지자체별 신규 하위직 공무 원의 조직몰입 평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1수준 모형:

2수준 모형:

  기초지자체 유형   멘토링 지자체별평균 

 일삶의균형 지자체별 평균   경력개발지원 지자체별평균 

 관계지향문화지자체별평균  변화지향문화 지자체별 평균

 과업지향문화지자체별평균  위계지향문화 지자체별 평균  

  번째 기초지자체 번째 신규 하위직 공무원의 조직몰입 값

 번째 기초지자체 조직몰입 값의 평균

   조직몰입의 개인수준 변량

 전체표본의 조직몰입 값의 평균

  조직 수준 변인의 평균 기울기     

   조직몰입의 조직수준 변량

다. 연구모형2 : 무선효과 회귀계수 무조건 모형

무선효과 회귀계수 무조건 모형(random-coefficients model)은 조직몰입에 대한 개인 특성 변인의 평균 효과를 구명하기 위한 모형으로, 1수준 모형(집단 내 모 형)에 신규 하위직 공무원 개인 특성 변인을 투입하고, 2수준 모형(집단 간 모형)

  번째 기초지자체 번째의 신규 공무원 조직몰입 값

 번째 기초지자체의 조직몰입 값의 평균

 번째 기초지자체 신규 하위직 공무원 수준 변인들

 절편   성별  연령  학력  연고유무 

 직급   근무연수  경력유무   멘토링

 신규자교육만족도  경력개발지원   직무적합성 

 경력정체성   윤리적가치  전문직업적가치 

 민주적가치   혁신적가치  전통적가치  

  개인 수준 잔차 변량

  기초지자체별 절편 평균

  기초지자체별 기울기 평균

   절편 변량

에는 변인을 투입하지 않는다. 두 모형 간의 기초지자체 내 변량 변화량과 무선 효과 일원분산분석모형의 기초지자체 내 변량 추정치 간의 비교를 통해 조직몰 입에 대한 신규 하위직 공무원 개인 특성 변인의 순수한 설명변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를 수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1수준 모형:

2수준 모형:

    ∼  

   for       

라. 연구모형3: 무선효과 회귀계수 조건 모형

무선효과 회귀계수 조건 모형(intercepts-and slope-as-outcomes model)은 조직

몰입에 대한 조직 특성 변인의 평균 효과와 개인 수준 변인의 상호작용효과를 구명하기 위한 모형으로, 1수준 모형(집단 내 모형)에 신규 하위직 공무원 개인 수준 변인을 투입하고, 2수준 모형(집단 간 모형)에는 무선효과 회귀계수 무조건 모형 분석에서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난 개인특성 변인을 대상으로 기초지자체 특 성 변인을 투입하여 층위 간 상호작용효과(cross-level interaction)를 구명한다.

이에 해당하는 수식은 4장 연구 결과에서 기술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위한 연구문제별 통계분석방법을 정리하면 <표 Ⅲ-18>과 같다.

<표 Ⅲ-18> 연구문제별 통계분석 방법

연구문제 통계분석 방법

기초지자체 신규 하위직 공무원의 조직 몰입은 개인 및 조직에 따라 차이가 있 는가?

▪HLM 기초모형(무선효과 일원변량 모형) (the one-way anova model)

기초지자체 신규 하위직 공무원의 조직몰 입에 대한 조직 특성 변인의 효과는 어 떠한가?

▪HLM 연구모형1(공변량 분석 모형)

(regression with means-as-outcomes model)

기초지자체 신규 하위직 공무원의 조직몰 입에 대한 개인 특성 변인의 효과는 어 떠한가?

▪HLM 연구모형2(무선효과 회귀계수 무조건 모형) (random-coefficients model)

기초지자체 신규 하위직 공무원의 조직몰 입에 대한 개인 및 조직 특성 변인의 상 호작용효과는 어떠한가?

▪HLM 연구모형3(무선효과 회귀계수 조건 모형) (intercepts-and slopes-as-outcomes model)

변인 평균 표준편차 최소값 최대값

조직몰입 3.50 0.62 1.25 5.00

정서적 몰입 3.48 0.66 1.00 5.00 규범적 몰입 3.52 0.65 1.00 5.00

<표 Ⅳ-1> 조직몰입의 기초 통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