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있을 것입니다

문서에서 제4차 산업혁명과 국토발전 (페이지 56-60)

Sulhee Yoon (hereafter ‘Yoon’) Hello Dr. Steiner.

Thank you for willingness on this interview.

Your research topics align broad topics that KRIHS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 conducts. Can you please introduce yourself and your major research to the readers of “Gook-to”?

ruth Steiner (hereafter ‘Steiner’) Broadly, my research focuses on the coordination of transportation and land use, with a particular focus on planning for all modes of transportation and its impact on communities, the environment, and public health. Thus, my research connects sustainability and health with the development of the built environment. My research has evolved over many years. Initially, I focused on understanding how we can create cities where people can walk and bicycle for daily activities.

I accomplished this initially by completing studies about the mode of transportation that people used for shopping in the San Francisco Bay Area. When I moved to Florida, I began to look at bicycle and pedestrian networks and their coverage and connection to identify ways that we could develop continuous, safe and predictable environments for pedestrians and bicyclists. Then I began to study the locations of bicycle and pedestrian crashes to understand their spatial pattern. Simultaneously, I was conducting research on how state and federal policies affected where these facilities were built.

In recent years I have focused on the interactions

between transportation and land use through studies on the integration of roundabouts into access management systems, the incorporation of multimodal performance measures into land development planning, regional cooperation in transportation planning, and planning for parking in central cities. My current research focuses on the impact of school siting, school transportation and land development patterns on children’s travel, transportation and aging, and the health and community impacts of redevelopment of old industrial sites in cities.

Yoon Thank you for your response. It seems like you had exciting journey through your academic and professional career. Did you have any motivation for studying urban planning?

Steiner I was late in discovering urban and regional planning; I was already in my mid-20s when I learned about urban planning. I grew up on a dairy farm in Wisconsin and then majored in history in college. During my undergraduate studies I worked as an intern in a bank in Chicago and as a research assistant on a computer-based project with an English professor. Based upon these two experiences, I trained to become a computer programmer at a bank in Milwaukee, Wisconsin. In the evenings, I studied for a Master’s in Business Administration (MBA). As I was nearing completion of my MBA, I heard about a project near my office along Milwaukee’s waterfront

로 환원되었고 밀워키 시는 도심개발 방법을 모색하였습니다. 워터 프론트에서 할 수 있는 토지이용은 도심으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을 위한 주차공간이나 도심 공원을 확장하는 정도 였습니다. 저를 비롯한 시민들은 이에 그치지 않고 지하 주차장을 포함하는 커뮤니티 광장 을 개발하여 공원을 확장하는 프로젝트를 지지하였습니다. 결과적으로 저와 시민들의 요 구가 대부분 수용되어 커뮤니티 광장이 건설되었습니다. 주차공간이 많이 늘어났지만 가장 중요한 시사점은 지역사회의 모든 주민들이 다양한 예술, 과학 관련 활동(예를 들자면 어린 이박물관 방문 등)을 가까이서 즐길 수 있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과정을 겪으며 저 는 캘리포니아 버클리 대학에서 도시계획 석사과정을 밟게 되었습니다.

교수님의 연구가 한국에서도 높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이유 중 하나는 한국 정부가 국 토균형발전의 수단으로 교통 형평성(Transportation equity)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교수님의 경험을 바탕으로 크고 작은 도시에서 겪는 교통 형평성에 대해 말씀 해주십시오.

스타이너 저는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형평성(equity)과 관련된 문제에 오랫동안 관심을 가져 왔습니다. 최근에는 교통을 통한 직접적 형평성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현재 인터뷰어인 윤 설희 학생이 수행하고 있는 1차 의료 서비스(primary care) 접근에 대한 연구는 교통자산 의 중요성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일부 지역 및 도시 인구가 건강관리에 관해 더 많은 시간 을 할애하고 있음을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일부 비도시 지역(rural)의 인구가 건강관리를 위한 의료 서비스에 편리하게 접근할 수 없다는 사실은 선행 연구결과에 잘 설명되어 있지 만, 도심 속의 특정 지역에서도 접근성이 부족하다는 건 놀라운 결과입니다. 이러한 결과 는 사람들이 자동차로 목적지에 접근한다는 가정을 하기 때문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중 교통을 통해 편리하게 목적지로 접근할 수 있는 점을 고려한다면, 도심 속에서의 접근성은 훨씬 더 격차가 있을 것입니다. 저는 지금 학생들과 함께 게인즈빌(Gainesville) 시에 위치 한 주치의 안전망 클리닉(safety net clinic)의 접근성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안전 망 클리닉은 건강보험이 없거나 일반 주치의에게 찾아갈 여유가 없는 사람들을 위한 무료 및 저가 의료 서비스입니다. 우리는 안전망 클리닉 주변의 버스 정류장 및 주변 시설의 적 합성, 위스콘신 주의 정책이 1차 의료 서비스 및 교통수단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특히 저 소득층을 대상으로 살펴보고 있습니다. 제가 지도하는 학생 중 한 명은 노숙자 혹은 보호소 에서 살고 있는 사람들의 일상 접근성을 연구하고 있기도 합니다.

이러한 연구 외에도 교통형평성은 사람들의 건강상태와 연관이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합 니다. 예를 들어 운전을 하지 않는 사람들은 연령이 너무 높거나 혹은 너무 낮거나, 소득이 너무 낮거나, 인지 또는 신체적 제한이 있어 운전 및 다른 활동성에 제한이 있습니다. 보행

to develop a plan for land that was owned by the state for a freeway that had been planned along Milwaukee’s Waterfront. For two decades the city, state and federal government had planned to build a downtown freeway. Even after many segments of the freeway had been built, the neighborhood residents had sued to stop the state and federal government from building the freeway. The land that had been acquired for the freeway would be returned to the city. The city needed to decide how to plan for this downtown land. The choice for the land uses on the waterfront was between building additional parking for downtown office workers or expanding the adjacent downtown park. I worked with other citizens to advocate for a project to both expand the park by developing a community plaza that would include underground parking. The community plaza, which was built after I began my Masters of City Planning at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achieved most of the goals that I advocated with other interested citizens. It provided more parking but, more importantly, it provided a variety of activities for all residents of the community who could go to an art, science or children’s museum.

Yoon I guess one of the reasons that Korean planning researchers may have high interests in your work is that South Korean government suggests that transportation equity should

be considered to prevent uneven regional development. Would you mind sharing any of your thoughts and experiences regarding transportation equity in big or small size cities?

Steiner I have long been interested in issues associated with the equitable distribution of goods among various groups, but I have only recently begun to do work that is directly related to transportation equity. Your research on access to primary health care has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ransportation equity because it shows that certain rural and urban populations are spending more time gaining access to health care. The finding that some rural populations don’t have convenient access to health care is well documented in the literature but the lack of access in certain part of urban areas is a bit more surprising.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numerous because you making an assumption that people have access to an automobile. If you were to look at the convenience of travel by transit, you would likely find even greater disparity in access in urban areas. Beyond your research, I have been working with a few students to understand the access to safety net clinics in the City of Gainesville, where the University of Florida is located. Safety net clinics provide free and low-cost health care for people who don’t have health insurance or can’t afford to go to a regular primary care doctor. In that work, which I have completed with students one project

자와 자전거 사고율이 높은 지역일수록 자동차 소유율은 높지 않습니다. 통근 시 사람들이 주로 이용하는 고속도로가 있지만, 자동차를 소유하는 경우가 많지 않기 때문에 이용률은 극히 제한적입니다.

교수님께서는 형평성이 직접적으로 정책에 반영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아니면 인 프라를 통해 간접적으로 논의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스타이너 형평성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가 필요합니다. 도시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 는지 살펴볼 때, 소득별로 주거환경을 분류한다는 것은 드문 일이지요. 이러한 분류 기준 은 다양합니다. 도시 간, 혹은 국가 간으로 나눌 수도 있겠지만, 때로는 분류의 기준이 파 악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어떤 패턴은 주거환경이 노후되었더라도 쾌적하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주거환경을 소득에 따라 분류하는 경우에는 인프라의 가용성과 유지관리 패턴

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인프라가 오래되면 이를 개 선하는 것이 정답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곳은 사람 들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목적으로 정책을 변화시키는 방 법이 오히려 정답이 될 수도 있지요. 제가 진행했던 ‘학교 안전 경로(safe route to school)’를 예로 들어 보지요. 지 난 2005년 미 의회는 아이들이 안전하게 학교를 다닐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목적으로 안전한 경로를 제공하는 프 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인프라와 비인프 라를 지원하는 구조였는데 보도, 육교, 보행자 교차로와 같은 인프라에 약 70~90%, 나머지 10~30%는 계획 및 교육장려 프로그램과 같은 비인프 라에 지출을 해야 하는 구성이었습니다. 저는 3개 주와 워싱턴 DC의 프로그램 평가를 담 당하였으며, 인프라와 비인프라 프로그램이 학교 안전 경로 구축의 성과에 영향을 미쳤음 을 발견했습니다. 비인프라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도보와 자전거 이용에 계속적인 영향을 미쳤고, 인프라 또한 증가했습니다(McDonald, N. C., Steiner, R. L., Lee, C., Rhoulac Smith, T., Zhu, X., & Yang, Y. 2014 참조). 저소득층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 등에서 인 프라 투자는 이미 걷거나 자전거를 타고 다니는 어린이들에게 보다 안전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교수님께서는 작은 규모의 교통 관련 프로젝트가 대규모 프로젝트보다 사회적, 경제적, 보건적으로 도시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스타이너 교통 프로젝트는 자연적으로 선형의 형태를 띠며, 사람들을 한 지리적 영역에서

소규모 교통 프로젝트는

문서에서 제4차 산업혁명과 국토발전 (페이지 5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