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일본의 신선편이농산물 시장의 규모에 대한 공식적인 통계는 없다. 그러 나 업계 추정에 의하면 신선편이농산물 시장의 규모는 1,000∼3,000억 엔

32 전미 신선농산물협회(UFPA)는 1987년에 설립된 국제 신선편이농산물협회(International Fresh-cut Produce Association)와 1904년에 설립된 전미 신선과일·채소협회 (United Fresh Fruit & Vegetable Association)가 2006년에 통합하여 조직된 단 체다.

33 2006년 세척‧포장되어 판매된 시금치에서 위해 미생물 사고발생시 생산업체를 대표하여 공식적인 입장을 발표하는 등 문제해결에 기여하였다.

주요 외국의 동향과 시사점

주요 외국의 동향과 시사점119

주요 외국의 동향과 시사점

주요 외국의 동향과 시사점121

일본의 신선편이업체는 사업규모가 대체로 크지 않다<표 6-7>. 신선편 이업체의 규모가 작은 것은 전국적으로 사업하기보다 지역적으로 사업범 위를 한정하기 때문이며, 이는 신선도에 까다로운 일본인의 소비특성상 소 량, 다빈도의 유통이 요구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연간판매액

응답기업 수

겸업기업(개소) 전업기업(개소) 합 계  (개소)  구성비(%)

1억 엔 미만 4 1 5 12.8

1억~3억 엔 7 0  7 17.9

3억~5억 엔 6 1 7 17.9

5억~7억 엔 2 1 3 7.7

7억~10억 엔 0 3 3 7.7 

10억~15억 엔 4 0 4 10.3

15억~20억 엔 3 2 5 12.8 

20억~30억 엔 2 1 3 7.7

30억~40억 엔 0 0 0 0.0

40억~50억 엔 2 0 2 5.1

응답기업 총수 30 9 39 100.0

표 6-7. 신선편이청과물 연간판매액 규모별 기업 수 비중

자료: 青果物カット協議会アンケート調査(2006.12)

일본 신선편이업체의 채소 취급품목 수는 1∼5개 품목에서 11∼15개 품 목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표 6-8>. 그러나 대체로 10개 이하의 품목을 취 급하는 업체수가 전체의 82%를 차지한다.

주요 외국의 동향과 시사점

122

사용 원료품목 수 기업수(개소) 구성비(%)

1~5 품목 15 38.5

6~10 품목 17 43.6

11~15 품목 5 12.8

16품목 이상 2  5.1

응답기업 총수 39 100.0

표 6-8. 신선편이업체의 원료채소 취급품목 수

자료: 青果物カット協議会アンケート調査(2006.12)

일본의 신선편이청과물 판매처는 양판점, 외식업체, 중식업체, 편의점 등 의 순으로 비중이 높다<표 6-9>. 대형유통매장인 양판점에 대한 판매액 비 중이 높은 것은 가정용 판매도 많다는 것을 뜻한다. 또한 중식업체나 편의 점 판매비율이 높다는 것은 일본의 신선편이청과물 수요처가 중식업체나 편의점으로 다변화되었음을 시사한다.

판매처 판매금액(억 엔) 구성비(%)

양판점 129 32.7

외식기업 109 27.7

중식기업 51 12.9

편의점 27 6.9

급식기업 12 3.0

생활협동조합 4 1.0

기 타 62 15.8

합 계 394 100.0

표 6-9. 청과물신선편이업체의 판매처별 판매액 비중

주: 1) 복수응답 결과이며, 구성비를 100%로 표준화함(필자 주).

2) 합계금액은 응답업체 39사 합계치임.

자료: 青果物カット協議会アンケート調査(2006.12).

일본에서는 청과물 유통과 관련한 다양한 제도가 실시되고 있다. 계약거

주요 외국의 동향과 시사점123

래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가 운용되고 있는 데 그 일환으로 신선편이농산 물에 대한 제도가 ‘계약가격 안정제도’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일부 채소에 대해 운용하고 있는 제도와 운용방식은 같은 것으로서, 그 유형을 가격하 락형, 출하조정형, 수량확보형 등으로 구분하여 안정적인 계약거래를 지원 하고 있다. 일본시설원예협회, 농축산업진흥기구가 주관하여 계약 거래방 법 조사연구나 성과 보급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신선편이농산물을 위한 원물 수확 및 물류 비용절감을 위한 생산・수송 방법의 실험과 보급활동도 수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최근 원물을 한번에 수확하는 ‘일제수확방식’의 개발과 ‘철 콘테이너(500kg)’ 등을 이용하는 방 안이 연구되고 있다.

선도 관리 및 위생면의 기술개발과 성과 보급활동도 계속 수행되고 있 다. 신선편이업체의 HACCP 도입을 위한 지원과 예냉고, 냉장설비, 선도유 지자재 등의 연구와 성과보급이 수행되고 있다.

이 외에 가공원료 채소산지를 육성하기 위한 대책, 농협 공장에 대한 보조사업도 시행되고 있다.

3. 시사점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신선편이농산물 거래가 연평균 10% 이상 빠르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은 채소 소비량이 최근 정체된 가 운데 신선편이채소의 소비량은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우리에게도 시사하 는 바가 크다. 미국과 같이 서구에서는 물론 일본에서도 최근 샐러드용 소 비가 전체 신선편이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증가하였다.

미국은 대기업 중심, 일본은 겸업의 중소기업 중심으로 업계가 구성되어 있다. 미국의 청과물 유통이 광역화된 유통망에 기반을 두고 있어 동종 기 업의 합병 등에 의한 규모화가 발달한 반면, 일본은 청과물도매업이나 중 식사업 등 전후방 관련 업종과의 계열화 내지는 사업다각화를 추구함으로

주요 외국의 동향과 시사점

124

써 사업위험의 축소를 통한 경영안정성의 확보와 지역 권역 내에서의 사업 확대를 추구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신선편이농산물의 안전성 문제를 해결하고 신선편이업체가 원활하게 관 리할 수 있도록 정부와 업체가 함께 노력하는 것은 미국과 일본 양국에서 관찰되는 공통점이다. 미생물 기준을 과학적으로 제공하거나 HACCP 등 의 식품안전성을 관리하는 기준과 매뉴얼 작성 등 기본체계를 갖추는 데 양국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신선편이산업은 시장 중심으로 운영되는 반면, 일본은 정부가 다 양한 보완적 지원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일본도 신선편이산업만을 위한 특별한 정책패키지를 갖고 있는 것은 아니다. 정부는 주로 기술개발, 위해관련 기준마련, 전시상담회 개최지원 등의 인프라 위주의 지원에 치중 하고 있다. 특히 양국 모두 정기적인 전시상담회를 통해 상담, 교육, 홍보 효과를 얻고 있다. 마지막으로 전시상담회를 하거나 안전성 관리를 위한 정책사업 등과 연계하여 관련 협회의 역할은 미국이나 일본 모두에서 중요한 것으로 관찰된다.

일본에서 신선편인농산물은 중식(조리식품)업체와 같은 식품제조업체와 편 의점의 이용비율이 높은 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우리의 신선편이농 산물 시장의 확대에 함축적 의미가 있다.

시장활성화 과제 7

이 장에서는 신선편이농산물 시장을 전망하고, 신선편이농산물 관련정책 방향과 과제, 그리고 신선편이업체의 마케팅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1. 시장전망

신선편이농산물에 대한 수요는 경제가 발전하여 소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다. 소득증가로 외식소비가 급증하였고 이는 기업형 외 식업태를 발전시켰다. 패스트푸드를 비롯한 기업형 외식업태의 성장은 신 선편이농산물에 대한 수요를 창출하였고, 이는 생산공급업체의 발생과 성 장으로 이어졌다. 단체급식의 증가에 따라 단체급식업체가 등장하였고 이 들은 식자재유통업체로 성장하였다. 최근에는 가정소비자 중에서도 신선 편이농산물을 구입하는 기회가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서는 1990년대 이후 소득 증가율보다 신선편이농산물 판매액 증 가율이 높아 신선편이농산물은 소득 탄력성이 큰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일본의 경우, 197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전반 불황이 시작되기 전까지 신선편이업체의 설립이 활발하였다는 사실에서 이 시기에 신선편이농산물 시장이 크게 확대되었을 것임을 추측해 볼 수 있다. 한편 일본은 경제가 회복세로 전환된 2003년과 3년 후인 2006년에 조사된 농림수산성 통계에 의하면 신선편이농산물 이용량이 매우 빠르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활성화 과제

1998 2000 2002 2003 2004 2005 2006 2007 2008 한국 8,880 13,009

시장활성화 과제127

이상에서 제시한 신선편이농산물에 대한 수요증가 요인들은 경제가 발 전함에 따라 대체로 증대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경제가 당분간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우리나라에서도 신선편이농산물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가구당

인원수 4.7 4.2 3.8 3.4 3.2 3.0

표 7-2. 가구당 평균인원 수

단위: 명/가구

주: 가구당 평균인원 수=총조사 인구총괄/총조사 가구총괄.

자료: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신선편이농산물의 주 소비처인 외식업체들은 향후 시장규모가 단기적으 로는 정체되나 3∼5년 후에는 확대될 것으로 보는 비율이 전체의 55.5%로 높게 나타났다<표 7-3>. 따라서 중장기적으로 업무용소비가 늘어날 가능 성이 있다. 대형소매업체는 향후 신선편이사업을 1∼2년 간 급속히 확대하 거나 3∼5년 간 점진적으로 확대하겠다는 응답이 많아 향후 가정소비용 신선편이농산물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소비자가구는 향후 1∼2년 간 신선편이농산물 구입을 늘리겠다는 응답비율이 36%로 나타났 으나 줄이겠다는 비율은 5%에 불과하여 향후 가정용소비가 늘어날 가능성 이 있다. 다만 현재의 수준을 유지하겠다는 비율이 가장 많다는 사실을 함 께 고려하면 향후 가정용소비는 완만하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형소 매업체와 소비자가구의 응답을 종합하면, 대형소매업체들은 전략적으로 신선편이농산물 취급을 전략적으로 확대하려는 한편, 소비자가구는 점진 적으로 소비를 늘리려는 의향을 갖고 있어 향후 가정소비용 신선편이농산 물에 대한 수요의 확대 정도는 대형소매업체의 마케팅 전략과 소비자가구 의 구입 경험과 선호변화에 달려 있다.

한편 신선편이업체들의 사업계획에 대한 조사결과, 향후 1~2년 동안 급 속적인 확대를 추진하겠다는 업체가 30.4%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단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