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신선편이농산물 생산‧공급업체들은 신선편이농산물 사업 전망에 대하여 긍정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지만 실제 사업운영에 있어서 다양한 애로사항 이 발생하고 있다<표 5-21>.

첫째, 원물 조달 시 업체들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품질의 균일성 미비 및 심한 가격 등락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원물의 높은 가격에 민감한 업체 들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선편이농산물은 원물 또는 2차 가공과 는 다른 차별화된 특성이 있으며, 취급 시 가장 어려운 사항은 안정적인 물량 확보의 어려움으로 나타나 원활한 물량 조절에 대한 필요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생산・공급업체의 운영실태 분석

110

구 분 비 중(%)

높은 가격 17.4

심한 가격 등락 29.0

저품질 11.6

품질의 균일성 미비 31.9

긴급물량 조달의 어려움 10.1

합 계 100.0

표 5-21. 원물 조달 시 애로사항

주: 복수응답으로 가중치를 적용한 비율임(1순위 2점/2순위 1점).

둘째, 품질위생관리와 관련한 주요 애로사항으로 주로 품질의 손상 및 비균일성, 관리기준 미흡 등이 지적되었다. 제품에서의 이물질 검출, 변색, 갈변 등은 소비자의 클레임으로 이어져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지적되고 있 으며, 전처리 단계별 품질관리 기준 및 안전성 가이드라인에 대한 정비가 미흡하여 관리자 간 상이한 품질관리 기준을 지니고 있어 혼란을 주고 있 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외에 품질관리와 관련된 인증절차의 복잡성과 시설장비의 유지 및 관리비용의 부담증가를 지적한 업체도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셋째, 신선편이업체들의 제품 판매 시에 발생하는 애로사항으로는 신선 편이농산물에 대한 수요자들의 인지도 부족이 전체의 35%로 가장 많았다

<표 5-22>. 마케팅과 연계한 신선편이농산물의 홍보지원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쟁사와의 가격경쟁과 판・구매자 간 거래조건 협 상에 따르는 문제점도 지적되었다.

생산・공급업체의 운영실태 분석111

구 분 업체 수 평균 품목 수

경쟁사와의 가격경쟁 6 26.1

신선편이농산물에 대한 인지도 부족 8 34.8

한정된 판로 3 13.0

판・구매자 간 거래조건 협상 6 26.1

합 계 23 100.0

표 5-22. 제품 판매 시 애로사항

넷째, 대형유통업체와의 거래 시 가격결정상의 불공정 사례가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산물 판매와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대형유통업체와의 불공정거래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대형유통업체를 판로 로 확보하고 있는 업체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계약서 내용과 직접 관련된 불공정 사례는 파악되지 않았으나 대형유통업체의 가 격결정 주도에 대한 애로사항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대형유통업 체들이 빈번하게 실시하고 있는 할인행사 시에는 이러한 문제로 생산・공 급업체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 5-23>. 이는 대형유통업체 의 과점화와 지역별 농산물의 생산 및 가격 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데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생산・공급업체들은 대형유통업체와의 거래 시 손실은 발생하지만 물량 증대에 따른 전체적인 평균비용의 하락(규모의 경제), 은행거래 시의 신용도 상승, 타 거래처 확보의 용이성 등으로 인해 대형유통업체와의 거래를 지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공급업체의 운영실태 분석

112

번호 설문내용 비중(%)

1 잦은 행사 참여 강요 9.6

2 무리한 가격인하 57.5

3 판촉비용의 과다요구 및 전가 12.3

4 판촉인력의 파견 요청 12.3

5 기타 8.2

합 계 100.0

표 5-23. 대형유통업체 할인행사의 문제점

주: 김동환 외, 「대형유통업체와 산지간 불공정거래 실태와 대응방안」, 2008.

각 업체들이 신선편이농산물을 취급할 경우 겪고 있는 애로사항을 종합 적으로 살펴보면 안정적인 물량공급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원물 확보에 대한 중요성이 가장 큰 것으로 파악되었다<표 5-24>. 또한 판로 확대와 위 생 및 안전성 관리 측면에서도 애로사항이 다수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 판매 및 제품 관리 측면에 대한 중요성도 강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 분 비 중

안정적인 물량공급 30.4

신선도 제고 11.6

새로운 상품 개발 14.5

위생 및 안전성 관리 20.3

판로 확대 23.2

합 계 100.0

표 5-24. 신선편이농산물 취급 시 애로사항

주: 복수응답으로 가중치를 적용한 비율임(1순위 2점/2순위 1점).

생산・공급업체의 운영실태 분석113

4. 시사점

신선편이농산물 생산・공급업체의 조직형태는 영농조합법인과 민간업체 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편이업체는 최근 5년간 전체의 45%가 새로 생겨나 과거에 비해 최근 시장진입이 증가하였다. 조사대상 신선편이업체 의 39%는 신선편이사업만 하며, 나머지 61%는 신선편이제품 외에 원물 판매나 2차 가공사업 등을 겸영하고 있었다. 원물 농산물의 조달과 관련해 서는 공급업체의 48%가 생산자와 직접 계약을 맺고 있으며 평균 계약기간 은 2.5년인 것으로 나타났다. 품질관리 측면에서는 공급업체 중 품질관리 전문가를 보유하지 않은 업체가 전체의 36%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신선편 이업체의 수익구조를 살펴본 결과 매출액이 평균보다 많으면서 흑자기업 은 모두 민간업체인 반면, 농협은 모두 적자상태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 농조합법인의 경우 매출액 규모는 작은 편이지만 흑자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편이사업의 성공요인은 원료의 안정적 조달, 품질 및 안전 성 관리, 제품 및 판로확대를 통한 사업위험 축소, 생산‧물류비용의 절감 이라고 할 수 있다.

신선편이업체 조사를 통한 향후 시장규모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나 업 체 수는 매년 변동이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국내 신선편이농산물 시 장이 아직은 불안정한 시장이며, 진입하기는 쉽지만 경쟁력을 갖추지 않 고서는 지속적인 경영이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 신선편이 농산물 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업체의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해볼 수 있다.

첫째, 현재 신선편이농산물 제품의 생산・공급업체는 원물 및 1차・2차 전 처리 공정을 모두 실시하여 사업을 다각화하고 있으며, 특히 조리용 채소 시장에서의 업체 간 경쟁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원물은 주로 농가의 계약재배 및 주요 구매업체를 통해 확보하고 있어 이들과의 신뢰관계를 확 보‧유지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신선편이농산물 이용업체들이 중시하고 있는 부분은 품질위생관

생산・공급업체의 운영실태 분석

114

리 부분이며, 이와 관련된 인증 확보도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HACCP는 향후 크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학교급식 시장의 진입에 중요한 전제 요건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업체에서는 HACCP 인증을 위한 업 체의 기준과 인증기관의 기준이 상이해 인증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인증 판단기준에 대한 명확한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업체들 은 판로 확보에 대한 애로사항을 지니고 있으므로 판매 마케팅과 연계된 안정적인 판로 확보도 시장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셋째, 신선편이사업의 수익성은 원물 및 판매가격 변동 등에 의해 변동 적이다. 일부를 제외한 신선편이업체의 수익률은 낮다. 민간업체나 영농업 법인은 흑자를 내는 비율이 높은 데 비해, 농협의 신선편이 사업은 거의 적자이며 안정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신선편이사업의 사업위험 (risk)을 줄이기 위해 제품 및 판매처 다변화, 사업영역 확대 등의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주요 외국의 동향과 시사점 6

이 장에서는 미국과 일본의 신선편이농산물 시장동향과 정책현황을 검 토함으로써 국내 시장과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1. 미국

미국의 신선편이농산물 시장규모는 2007년 기준 1,550억 달러(14조 원) 수준으로, 1990년대 이후 연평균 10% 이상씩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31

<그림 6-1>. 1994년 30억 달러였던 신선편이농산물 판매액은 2007년 150 억 달러를 기록해 13년간 5배 수준으로 성장하였다. 신선편이농산물은 1990년대에 이어 2000년에도 성장세가 둔화되지 않고 지속적으로 성장하 는 추세다. 그간 신선편이 시금치 등에서 안전성 문제가 발생하여 시장에 충격을 줌으로써 일정기간 시장이 정체되기도 하였지만 중장기적인 성장 세가 지속되었다.

미 농무부 경제연구소(ERS)에 의하면 소매업체와 외식업체 등에서 취급 되는 청과물의 10%가 신선편이제품으로 추정되며, 이 비율이 2022년에는 26%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신선편이농산물의 부류별 구성은 채소가 81%, 과일 19%를 차지하며, 과일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다.

31 이 절은 Cook(2008), 신선편이농산물협회(2006)를 주로 참고하여 작성하였다.

주요 외국의 동향과 시사점

주요 외국의 동향과 시사점117

미국에서 신선편이농산물 관련 대표적인 단체는 전미 신선농산물협회 (United Fresh Produce Association, UFPA)다32. 이 협회에는 1500여 업체 가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신선편이업체뿐 아니라, 기계업체, 청과물생산 자, 유통업체, 연구기관, 정부기관, 외국의 신선편이업체 등이 가입되어 있 다. UFPA는 과학기술분야, 정책분야, 시장 및 산업분야 등으로 구분되어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상주하며 활동한다. 이 협회가 주관하는 전시상담회 (trade show)는 매년 2회씩 개최되는 대규모 행사이며, 이 행사를 신선편이

미국에서 신선편이농산물 관련 대표적인 단체는 전미 신선농산물협회 (United Fresh Produce Association, UFPA)다32. 이 협회에는 1500여 업체 가 회원으로 가입되어 있다. 신선편이업체뿐 아니라, 기계업체, 청과물생산 자, 유통업체, 연구기관, 정부기관, 외국의 신선편이업체 등이 가입되어 있 다. UFPA는 과학기술분야, 정책분야, 시장 및 산업분야 등으로 구분되어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상주하며 활동한다. 이 협회가 주관하는 전시상담회 (trade show)는 매년 2회씩 개최되는 대규모 행사이며, 이 행사를 신선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