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3.1. 신선편이농산물 시장

신선편이농산물2에 관한 기술적 연구는 과거에도 실시된 바 있지만 사회 과학적 연구는 최근에야 실시되기 시작하였기 때문에 선행연구는 그다지 많지 않다. 선행연구는 외식 식재료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다루어진 경 우가 많다.

박영범 외(2005)는 외식전처리산업 지원방안에 관한 연구로서 신선편이 농산물에 대해 체계적으로 수행된 최초의 연구다. 이 연구는 전처리의 개 념을 설명하고 통계와 사례조사를 통하여 외식산업과 전처리업의 현황과 운영실태를 처음으로 제시하는 데 기여하였다. 박영범 외(2006)는 백화점 과 대형유통점(할인점)에서 판매되는 신선편이 과일의 특성을 조사하고 공 급업체 세곳의 취급실태를 검토하였으며, 전처리시설 설치 및 운영방안을 제시하였다.

2 아직 ‘신선편이농산물’, ‘전처리농산물’이란 용어를 뚜렷한 구분 없이 혼용하고 있으므로 여기서도 저자가 사용한 용어를 되도록 그대로 사용하였다.

4 서 론

황수철 외(2005)는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강화를 위한 세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에서 외식업체의 식자재 조달 실태를 조사·분석하였으며, 대형 외식업체뿐 아니라 중소음식점에 대해서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조 사를 통해 외식업체의 신선편이농산물에 대한 조달 실태도 함께 파악되었 다. 황수철 외(2007)는 외식업체와 산지 간 직거래 표준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에서 패스트푸드 체인업체, 패밀리레스토랑, 급식업체에 대한 조사를 통해 신선편이농산물 이용 수준과 실태가 조사되었다. 또한 전처리산업의 현황에 대한 정확한 정보와 연구가 매우 빈약함을 지적하였다.

곽창근 외(2008)는 외식·유통업체 25개소, 공급업체 8개소에 대해 신선 편이농산물(신선편의식품) 이용실태를 조사하여 총 시장규모가 5,000억 원 으로 추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산지유통센터가 신선편이농산물 시장에 진 입하기 위한 방안과 정책적 지원방안이 제시되었다. 안진용(2009)은 대형 급식업체 6개소의 전처리 농산물 이용현황을 조사하고 이에 대응한 농협 의 전처리사업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농협이 대형급식업체와의 거래에서 불리한 점을 파악하고 대응방향을 제시하였다.

김동환·김성훈(2008)과 김성훈·김민지(2009)는 식재료 유통경로를 중소 음식점과 대형 프렌차이즈업체 유형으로 구분하여 유통실태를 정리함으로 써 식자재 유통의 문제점과 개선과제를 제시하였다.

3.2. 신선편이농산물 기술적 측면 연구

신선편이농산물의 기술적 측면에 관한 연구로 한국신선편이농산물협회 (2006), 김동만 외(2007) 등이 있다. 한국신선편이농산물협회(2006)에서는 소매유통매장의 품목별 거래규격과 품질상태를 조사하고 조사결과를 바탕 으로 표준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김동만 외(2007)는 시판 샐러드제품의 품 질과 위해도를 평가하고 샐러드제품의 가공‧유통 단계에서의 미생물 평가 및 관리개선 방안, 품질 및 공정관리 수준평가 그리고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모델을 개발, 제시하였다.

서 론 5

3.3. 외국 문헌

Fouayzi 외(2006)는 신선편이농산물 공급업체가 HACCP, 유기농, GAP 등의 품질관리시스템(QMS) 도입실태를 조사하였으며, 이 시스템의 도입 후 만족요소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이 연구결과, 품질관리시스템 도입 성과에 대해 신선편이업체들은 도입시스템의 개수에 관계없이 대체로 만 족하고 있으며, 특히 품질관리시스템의 도입으로 해당 업체와 직원들이 품 질관리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제고된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Cook(2008)은 조사컨설팅업체 자료를 이용하여 미국의 신선편이농산물 판매동향을 분석 하였다. 신선편이농산물의 제품 및 브랜드 유형에 따라 분석하고 소비자 조사결과를 활용하여 구매행태를 분석하였다.

3.4. 연구의 차별성

신선편이농산물 시장에 대한 국내 선행연구는 최근 수행되기 시작하였 으며, 주요 외식업태의 구매·이용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는데 일정한 성과 를 거둔 것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선행연구는 대부분 업체에 대한 사례조 사 결과에 의존하여 시장현황을 정리하고 문제를 제기하는데 그친 한계가 있다.

이 연구는 신선편이농산물에 대한 수요자로서 구매업체 외에 소비자를 포함하였으며, 구매업체도 기업형 외에 일반 생계형도 포함하고 전체 수요 자들을 포괄함으로써 보다 전체적인 조망이 가능하게 하고 수요자 유형에 따른 차이도 구분하고자 하였다. 조사 표본을 확대함으로써 구매요인이나 제품유형(형태)에 따른 수요를 보다 체계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생산 공급업체에 대한 운영실태에 대해서도 조사대상을 확대하여 유형화하는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수요자의 시각에서 신선편이농산물에 대한 평가를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생산·공급업체의 대응방안이나 정책·제도상의 과제를 도출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6 서 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