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미지를 통한 의미의 심화

문서에서 이 용 악 시 연 구 (페이지 103-107)

그가 아홉살 되든 해

사냥개 꿩을 쫓아단이는 겨울 이집에 살던 일곱 식솔이 어대론지 살아지고 이튼날 아침

북쪽을 향한 발자욱만 눈우에 떨고있었다.

더러는 오랑캐령 쪽으로 갔으리라고 더러는 아라사로 갔으리라고

이웃 늙은이들은

모두 무서운 곳을 짚었다

- < 낡은집> 부분

< 낡은집> 은 시인의 정서가 가능한 배제되고 관찰자적 시각에서 사건 이 풀어져나간 이야기시이다. 시인의 싸리말 동무 인 털보의 셋째 아들 의 출생에서 시작하여 털보 일가의 갑작스런 이주가 이야기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이 시의 평면적인 이야기의 흐름이 시 속에서 힘을 얻 게 되는 것은 효과적인 이미지 표현을 통한 의미 심화에 의해서이다.

만약 이야기 전개와 함께 시인의 정서나 의식이 그대로 표출되었다면 이 시를 읽으면서 받아들이는 충격적인 느낌은 훨씬 덜했을 것이다. 위 에서의 북쪽을 향한 발자욱만 눈우에 떨고있었다 는 활유법을 통한 비 유적 이미지로 도망가는 일곱 식솔의 극한적 심정과 상황을 그 흔적을 통해 극명하게 보여준 표현이다.

사냥개 꿩을 쫓아단이는 겨울 은 북방의 풍물이라기보다 일종의 상징 이라 볼 수 있다. 이것을 단지 풍물로만 보기에는 다음 행에 이어지는 시행들이 너무나 절박한 상황을 그려내기 때문이다. 쫓기는 꿩이 도망 가는 털보네 식솔과 자연스레 연결되는 것도 그 때문이다. 이는 다음

연의 이웃 늙은이들이 짐작하는 무서운 곳 은 발자욱 이 떨고 있는 이 유를 다시 한번 해명해 주는 근거가 되기도 한다. 완결된 유기적 구조 속에서의 선명한 이미지의 표현은 이용악 시의 독창성을 보여주는 부분 이다.

달빛 밟고 머나먼 길 오시리

두손 합쳐 세번 절하면 돌아 오시리 어머닌 우시어

밤내 우시어

하이얀 박꽃 속에 이슬이 두어방울

- < 달있는 제사> 전문

아들이 나오는 올겨울엔 걸어서라두 청진으로 가리란다

높은 벽돌 담 밑에 섰다가

세해나 못본 아들을 찾어 오리란다

그 늙은인

암소 따라 조이밭 저쪽에 사라지고 어느 길손이 밥 지은 자쵠지 끄슬은 돌 두어개 시름겨웁다

- < 강 가> 전문

< 달있는 제사> 는 시인의 가족사적인 소재를 다룬 시이다.94) 정적인 분위기를 주는 이 시는 전체적으로 절제하여 드러낸 정경과 행위를 하

94) 가족사적인 소재는 < 달있는 제사> 를 비롯하여 < 풀버렛소리 가득차잇섯 다> , <검은 구름이모혀든다> , < 푸른 한나절> , <다리우에서> , <우리의 거 리> 등에서도 등장한다.

나의 압축된 이미지로 맺어놓고 있다.

1행은 시의 공간적 시간적 배경이 달빛이 들어찬 제삿날 밤임을 보여 주면서 직접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지만 시적 자아가 아버지의 혼백이 오 시리라 말하고 있다. 2행은 절을 드리는 행위가 묘사되면서 1행에 이어 오시리 의 반복에 의한 리듬감과 함께 시적 자아의 아버지에 대한 애잔 한 정과 그리움이 묻어 나오기도 한다. 3행과 4행은 어머니가 우는 행 위를 반복해서 보여주다가 5행에 이르러 비약하여 박꽃의 모습을 보여 주었다. 우는 어머니로부터 눈물 은 자연스레 떠올려지는 단어이며 박 꽃 속의 이슬 이 생략된 눈물 과 병치되어 처연하면서도 맑은 정감을 자아내고 있다. 이로써 이슬 이 맺힌 하아얀 박꽃 은 다시 명확하게 어 머니를 표상하는 대상이 된다. 박꽃 은 달빛 아래에서 볼 때 더욱 청아 한 빛을 발하는 하얀 꽃으로 어머니의 고결한 생활과 품성을 은연중에 드러내게 하는 대상이다.

이렇게 짧고 담담한 듯한 표현 속에 비유적 이미지의 적절한 구사가 돋보이는 것은 이용악 이미지 표현 기법의 특징으로 시를 훼손하는 거 추장스런 설명을 줄이면서 간명한 이미지 활용으로 의미를 심화하고 시 적 효과를 극대화한 것이다.

이와 비슷한 기법은 < 강 가>에서도 보이는데 1연은 한 노인의 말에 대한 간접인용이다. 높은 벽돌 담 으로 미루어 보아 노인의 아들이 감 옥에 들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시가 쓰여진 시기가 일제 강점기라 는 사실과 이용악 시에 나타나는 현실 인식으로 짐작할 때 노인의 아들 이 감옥에 삼 년씩이나 갇혀 있었던 이유가 나라를 위해 무언가 일을 도모하였기 때문이거나 일제 당국에 의해 부당한 처사를 당했기 때문일 수 있다. 시 자체를 넘어선 해석이지만 그러한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이 시를 읽는다면 시가 훨씬 밀접하게 다가올 것이다.

이 시의 특징은 2연에서 확연히 드러난다. 시인은 노인이 사라지고

난 자리에 돌연하게 끄슬은 돌 두어 개 를 제시하여 시름겨웁다 라고 말하였다. 이 시름겨웁다 는 말은 다분히 설명적으로 받아들여지는데 그렇다면 끄슬은 돌 은 무엇인가. 이것은 노인의 마음 상태를 비유적으 로 드러낸 것이다. 시 속에서의 노인이 식민지 국민의 한 전형성을 갖 는다고 볼 때 끄슬은 돌 은 더 나아가 고통스런 민족의 현실을 보여주 는 이미지로 시의 의미를 심화 확장하였다.

이용악이 구사한 이미지 표현 기법의 또 다른 특징은 그 이미지에 정 서적 의식적 성향이 강하다는 점이다.95) 기법을 모더니즘으로, 의식적 성향을 리얼리즘으로 나누어 분석할 때 이론만 남고 정작 시는 잃어버 리는 결과를 초래하는 것도 이와 관련 깊다. < 강 가>에서 집약된 이 미지로 빚어진 끄슬은 돌 은 시인의 머리 속에서 만들어진 이미지가 아 니라 시인의 직접 체험에서 얻어진 사물의 이미지이며 이는 민족의 정 서와 현실을 꿰뚫는 통찰력에서 비롯된 것이기도 하다.

문서에서 이 용 악 시 연 구 (페이지 103-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