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유럽의 사회적 농업 (Social Agriculture)

문서에서 2021제 (페이지 122-125)

2.1. 유럽 사회적 농업의 이해 2.1.1. 사회적 농업이란 무엇인가

사회적 농업은 농업 활동을 먹거리 생산을 위한 목적으로만 활용하는 것이 아니라 농업

* 바흐닝언 케어팜 연구소 대표(yewon.cho@caretulip.com)

활동 참여를 통해 인간이 얻는 효용의 관점에서 농업의 가치를 찾는 방식을 말한다

.

유럽에 서는

20

세기 후반부터 사회적 농업의 모습으로 풀이할 수 있는 활동들이 본격적으로 나타났

, 2000

년대 중반 이후

EU

차원의 관심을 통해 유럽 각 나라의 관련 활동들이 학술적으로

정리되기 시작하였다

. Di Iacovo and O’Connor(2009)

는 사회적 농업을 혁신적이고

,

포용적 이며 참여적이고 생산하는 농업의 모델로

.

휴양 및 교육과 도움의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했다

.

이는 신체적

,

지적

,

정신적

,

사회적 건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자 등 불리한 여건에 놓인 사람들을 농업 생산 활동에 참여하게 함으로써 사회통합과 노동통합을 추구하는 것도 포함한다

.

2.1.2. 유럽의 사회적 농업

각 나라마다 발전의 정도와 성격의 차이는 있지만

,

유럽 대부분의 나라에서 사회적 농업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는데

,

국가에 따라 다양한 모습을 보인다

.

이는 각국의 역사적

,

문화적 배경과 관련이 있다

.

이 글에서는 편의상 유럽에서의 모든 관련 활동을 통칭하는 용어로 사회적 농업

(social agriculture)

을 사용하기로 한다

.

하지만 이러한 활동을 일컫는 용어는

social farming, care farming, green care, farming for health

등 나라에 따라 다양하다

.

경우에 따라

green care

는 사회적 농업뿐 아니라 원예치료

,

동물매개치료 등 다른 유사 활동들을 포괄하는 상위개념으로 쓰이기도 한다

.

유럽 각 나라의 사회적 농업은 그 폭이 다양한 한편 공통점도 찾아볼 수 있는데

,

본인의 사업을 통해 긍정적인 사회적 역할을 하고자 하는 농업인들이 혁신이라는 가치와 사업가적 태도를 증진시키는 방식으로 이해된다는 점이다

(Hassink, 2017; Mammadova et al., 2021).

2.2. 사회적 농업을 설명하는 세 가지 틀

유럽의 사회적 농업은 크게 세 가지 틀로 나누어 그 성격을 설명할 수 있다

(Briers S.

et al.,2021).

이는 나라마다 한 가지 절대적인 틀을 적용해서 이해할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

.

세 가지 다른 지향점이라는 틀을 활용하면 유럽의 사회적 농업이 가지고 있는 복합 적이고 다양한 모습들을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

2.2.1. 다원적 농업으로서 사회적 농업

농업인들이 소득을 다원화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사회적 농업에 참여하는 경우 다원적 농업의 틀로 이를 이해할 수 있다

.

이 경우 돌봄

·

헬스케어 전문가보다는 농업인

(

경우에 따라 헬스케어 관련 교육을 받은 농업인

)

이 직접 서비스 제공자가 되고

,

농업인은 건강보험

,

헬스케어 기관 등으로부터 비용을 지급받을 수 있다

.

오스트리아와 벨기에 플랜더 스 지역의 사회적 농업은 다원적 농업의 틀로 이해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경우이다

.

2.2.2. 공공 보건 활동으로서 사회적 농업

공공 보건

(public health)

관점에서 사회적 농업을 활용하는 경우

,

녹색의 환경과 몸을 쓰는 노동이 장애인

,

정신질환자 등 돌봄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치유의 효과가 있다는 생각을 바탕으로 농장에서의 활동을 건강증진

,

재활

,

테라피 목적으로 활용한다

.

이 경우 농사의 직접적 책임자인 농업인보다는 농장에 고용된 헬스케어 전문가 혹은 작업 감독관이 농업인 이 제공하는 농장의 환경을 이용하여 참여자들과 활동을 하고

,

주로 건강보험이나 보건부의 재정 지원을 받는다

.

독일과 영국의 사회적 농업을 공공 보건의 틀로 설명하기도 한다

.

2.2.3. 사회 통합으로서 사회적 농업

농업 활동 참여를 통해 사회적으로 배제된 이들의 재통합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취약계 층이나 위기상황에 놓인 사람들이 특별한 기술 없이 할 수 있는 노동에 참여하기 위해 농업 활동에 함께 한다

.

이탈리아의 사회적 농업이 사회 통합의 틀로 이해할 수 있는 대표적 인 모습으로 농촌지역의 다양한 취약계층들이 재활센터나 수감시설

,

혹은 사회적 협동조합 이나 지역 사회를 통해 참여하게 된다

.

활동 참여자는 사회 서비스 혹은 농업인으로부터 노동에 대한 대가로 비용을 지급받는데

,

농업인은 이러한 사람들을 고용한 것에 대한 보상으 로 사회서비스로부터 비용을 받는 경우도 있다

.

2.2.4. 다차원적인 사회적 농업

네덜란드의 사회적 농업의 초기에는 이를 다원적 농업의 틀에서 이해하는 경우가 많았다

.

그러나 현재 참여하는 농업인들의 소득이 온전히 헬스케어 영역에서만 지급되기도 하기

때문에 다원적 농업과 함께 강한 공공 보건의 성격 또한 지닌 것으로 보인다

.

아일랜드에서는 과거의 사회적 농업의 대부분이 기관에서 운영하는 농장에서의 활동이라 는 점에서 사회적 농업을사회통합을 목적으로 하는 성격으로 이해하곤 했다

.

하지만 최근에 는 사회적 동기를 가진 개인 농업인들의 참여가 늘면서 다원적 농업으로서의 성격이 강화된 모습이다

.

문서에서 2021제 (페이지 122-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