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1. 경제성장과 농업의 위상 변화

중국의 GDP에서 1차 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개혁개방 초기인 1980년 30.2%에서 2012년 10.1%로 감소하였다. <그림 2-1>에서 보는 것처럼 1차 산 업 GDP가 차지하는 비중은 1965년과 1983년에 각각 2차 산업과 3차 산업보 다 낮아졌다. 결과적으로 1차 산업은 1980년대 중반 이후 생산 비중이 가장 낮은 산업으로 변화하였다.

이러한 변화의 결과는 중국 경제의 성장과정에서 성장의 일반법칙이 관철 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2차 산업의 생산 비중이 3차 산업보다 높 다는 점에서 산업구조 변화의 표준패턴과는 일정한 차이가 있다. 이는 중국 이 개혁개방이전 계획경제를 운용하던 시기에 중공업 우선발전 전략을 실시 하여 2차 산업부문에 자원을 집중적으로 배분한 결과이다. 그러나 개혁개방 이후 2차 산업의 생산 비중이 정체 상태를 보인 반면 3차 산업의 생산 비중 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조만간 구조변화의 양상이 표준패턴에 근접할 것으 로 전망된다.

한편 1차 산업이 중국의 전체 취업자 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같은 기간 68.7%에서 33.6%로 크게 감소했다. 1차 산업은 2010년까지도 고용 비중이 가장 높은 산업의 지위를 유지하였다. 2011년에서야 3차 산업의 고용 비중이 1차 산업보다 높아지는 변환점이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한 국가의 경제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고용구조와 생산구조의

그림 2-1. 중국의 산업구조 변화 추이(1952∼2012년)

자료: 農業部. 新中國農業60年統計資料 ; 國家統計局. 中國統計年鑒2012 .

변화간에는 시차가 있게 마련이다. 중국의 경우 그 시차가 매우 큰 것이 특 징이다. 다만 2011년을 기점으로 3차 산업의 고용 비중이 1차 산업을 능가하 는 고용구조상 변환점이 나타났다는 점에서 향후 고용구조의 변화 패턴도 표준패턴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을 하나의 지역으로 통합하여 판단할 경우 범하게 되는 오류를 피하 기 위해 전국을 6개 농업지역으로 구분하여 지역별 산업구조의 변화 패턴을 관찰하였다. <그림 2-2>는 1952~2011년 동안의 지역별 산업구조의 변화 패턴 을 관찰한 결과이다.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6개 지역 모두 고용구조의 비 전형화 현상이 관찰되었다. 다만, 지역 간 경제 및 농업 성장의 격차로 인해 지역간에 산업구조가 변화하는 패턴에는 일정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그림 2-2. 6개 지역별 산업구조 변화 추이(1952∼2011년)

자료: 農業部. 新中國農業60年統計資料 ; 國家統計局. 中國統計年鑒2012 .

6개 지역 중 경제가 가장 발전한 장강중하류지역은 2007년과 2009년에 각 각 고용구조상 변환점이 출현하였다. 중국에서 경제 규모가 가장 큰 광동성 이 속해있는 남부연해지역도 2010년에 변환점이 나타났다. 한편 중국의 상 품식량 주산지로서 위상이 강화된 동북3성은 1990년대 후반 이후 고용구조 상 농업 부문의 비중이 오히려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그러나 2003년 이 후 다시 감소 추세로 전환되었고, 2010년에는 변환점이 나타났다.

2.2. 원예산업의 위상 변화

개혁개방 이후 중국 농업은 생산액을 기준으로 보면 재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감소한 반면, 축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증가하였다. <그림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1980~2012년 동안 농업총생산액에서 차지하는 재배업의 비 중은 75.6%에서 52.5%로 감소한 반면 축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18.4%에서 30.4%로 증가하였다. 중국의 농업성장은 재배업이 주도하던 국면에서 이미 재배업과 축산업이 함께 성장을 이끄는 국면으로 전환되었다.

그림 2-3. 중국 농업총생산액의 부문별 구성비 변화(1980∼2012년)

자료: 農業部. 新中國農業60年統計資料 ; 國家統計局. 中國統計年鑒2013 .

표 2-1. 농업지역별 농업총생산액의 부문별 구성비 변화(1980년, 2012년)

농업지역

1980년 2012년

재배업 축산업 임업 어업 재배업 축산업 임업 어업 농림어업 서비스 75.0 18.4 4.7 1.8 52.5 30.4 3.9 9.7 3.5 동북3성 77.8 16.8 4.1 1.3 47.8 39.0 3.4 6.9 2.9 황하중하류 81.0 14.3 3.6 1.2 56.5 30.6 2.1 6.7 4.1 장강중하류 73.4 18.9 5.3 2.5 50.4 26.6 4.3 14.7 4.0 남부연해 72.0 16.1 8.1 3.7 46.4 23.7 7.0 19.5 3.3 서남내륙 72.4 23.4 3.9 0.4 53.6 37.1 4.3 2.7 2.3 서북 청장고원 70.5 26.3 3.0 0.2 61.9 31.2 2.6 0.8 3.4

자료: 國家統計局. 新中國六十年統計資料匯編 , 中國統計年鑒2013 .

<표 2-1>은 1980년과 2012년의 6개 농업지역 간 농업총생산액 구성비 변 화를 비교한 것이다.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모든 지역에서 재배업이 차지하 는 비중은 감소한 반면, 축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증가하는 추세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난 지역은 동북3성과 황하중하류 지역이다. 장강중하류지역이 다른 지역과 비교해볼 때 축산업의 비중 증가 추세가 상대적으로 미약하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개혁개방 이후 중국 농업생산액의 품목별 구성비는 곡물 비중이 감소하고, 원예작물과 축산물의 비중이 대폭 증가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곡물의 비중은 1995년 31.6%에서 2011년에 17.8%로 큰 폭으로 감소했다. 원예작물 중 채소류는 1985~2011년 동안 8.0%에서 18.4%, 과실류(견과류 포함)는 같은 기간 3.3%에서 8.9%로 증가했다. 돼지와 가금류 비중도 동기간 각각 13.6%, 2.7%에서 18.0%, 9.7%로 증가했다. 특히 돼지는 중국의 농업총생산액에서 차 지하는 비중이 가장 큰 품목이 되었다(표 2-2 참조).

표 2-2. 중국 농업총생산액의 품목별 구성비(2011년)

원예작물 생산액의 지역별 비중은 품목류별로 커다란 차이가 있다.2 먼저 채소류의 경우 황하중하류와 장강중하류지역의 비중이 높다. 2011년 기준 두 지역의 채소류 생산액 점유율은 각각 33.4%와 30.4%에 달한다. 다음으로 과실류는 황하중하류지역의 비중이 38.7%로 가장 높다. 다음으로 장강중하 류지역과 남부연해지역이 각각 18.9%와 17.4%를 차지한다. 한편 화훼류는 장강중하류지역의 비중이 40.6%로 가장 높다. 다음으로 남부연해지역 24.7%, 황하중하류지역 15.9%, 서남내륙지역 13.9% 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