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1. 농산물 교역구조의 변화

WTO 가입 이후 2001~2012년 동안 농산물(HS 03류 제외)23 수출액은 136 억 달러에서 527억 달러로 3.9배 증가하였다. 수출 농산물 품목구조는 농업 생산구조의 변화가 반영되어 원예농산물과 일부 축산물이 주요 수출 품목군 으로 부상하였다. 2010/11년 기준 수출액 점유율 비중은 HS 07류(채소) 16.0% > HS 16류(육 어류조제품) 15.7% > HS 20류(채소 과실조제품) 13.9%

> HS 08류(과실 견과류) 6.7% 순이다. 중국이 WTO에 가입한 이후 HS 16류 는 최대의 수출 품목군이었으나 최근 HS 07류에게 그 자리를 양보하였다.

HS 07류, HS 16류, HS 20류, HS 08류 등 4개 품목군의 수출액 점유율은 1999/01년 39.5%에서 2010/12년 52.3%로 증가하여 농산물 수출의 품목집중 도가 점차 심화되는 추세이다.

중국의 주요 수출 품목군이었던 HS 10류(곡물)와 HS 02류(육과 식용설육) 는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감소하였다. HS 10류는 1999/01년 기준 농산물 수출액 점유율이 9.8%로 주요 수출 품목군이었으나 2010/12년에는 그 비율이 1.0%로 크게 감소하였다. 중국의 곡물 수출이 감소한 것은 중국이 세계 식량 위기를 겪으면서 곡물 수출을 비교적 엄격하게 관리하는 데다 사 료용 및 가공용 수요도 크게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HS 02류의 수출액 점유율은 같은 기간 5.9%에서 2.1%로 감소하였다. 이는 소득 수준 향상으로 소득탄력성이 높은 육류의 국내 수요가 증가하여 수출 여력이 감소한 것이 주요 원인이었다.

23 중국의 수출입상품 HS코드 분류상 농산물의 범위는 해관수출입세칙2013 상 HS 01~24류에 속하는 모든 품목과 HS 2801, HS 2905, HS 3301, HS 3501~3505, HS 3809, HS 3823, HS 3913, HS 4101~4103, HS 4301, HS 5001~5003, HS 5101~5103, HS 5201~5203, HS 5301~5305, HS 7101이며 2013 년 기준 총 세목은 HS-10단위 1,971개임. HS 03류를 제외한 총 세목은 HS-10 단위 1,640개, 종가세 부과 총 세목은 1,632개(8개 세목은 종량세 부과 대상).

표 5-1. 중국의 농산물 품목군별 수출입액 비중 변화 추이

표 5-1. 중국의 농산물 품목군별 수출입액 비중 변화 추이(계속) 합 계 12,963 100.0 48,191 100.0 10,883 100.0 101,864 100.0 자료: 한국무역협회 중국비지니스포탈(http://china.kita.net).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12/13 양곡연도 중국의 대두 자급률은 17.4%에 불과하다. 중국이 2012년에 수입한 대두는 6,000만 톤으로 국내 생산량 1,280 만 톤의 4.7배에 달하는 양이다.

중국이 HS 12류 다음으로 많이 수입하는 품목군은 HS 15류(동식물성 유 지)이다. 농산물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1999/01년 9.7%에서 2010/12년 11.0%로 증가했다. 구체적인 수입 품목은 HS 1511(팜유), HS 1507(대두유) 등 식물성유지 위주이다.

HS 52류(면화)는 중국이 WTO에 가입한 이후 수입액이 눈에 띄게 증가한 대표적인 품목이다. 이 품목군이 농산물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999/01년 0.8%에 불과했으나 2010/12년 8.9%로 대폭 증가하여 제4위의 수입 품목군으로 부상하였다. 이외에 HS 23(조제사료), HS 02(육과 식용설육), HS 08(과실, 견과류), HS 41류(원피와 가죽), HS 51류(양모, 섬수모 조수모, 마모 사 및 직물), HS 04류(낙농품 조란 천연꿀)도 중국의 주요 수입 품목군이다.

농산물 수입액에서 이들 품목군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3~5% 정도이다. 주 로 축산물과 관련된 품목으로 최근 중국의 축산물 수요가 증가한 상황을 반 영하고 있다.

2.2. 원예농산물 교역구조의 특징

2000~2012년 동안 중국의 원예농산물 수출은 38.3억 달러에서 216.5억 달 러로 연평균 15.5% 증가하였다. 수입은 6.7억 달러에서 93.4억 달러로 연평균 24.6% 증가하였다. 무역수지 흑자는 같은 기간 31.6억 달러에서 123.1억 달러 로 3.9배 증가하였다.

품목별로 보면 채소류 수출액은 같은 기간 25.6억 달러에서 124.8억 달러 로 연평균 14.4% 증가하였다. 수입액은 같은 기간 2.0억 달러에서 27.9억 달 러로 연평균 24.7% 증가하였다. 과실류 수출액은 같은 기간 12.7억 달러에서 91.8억 달러로 연평균 17.9% 증가하였다. 수입액은 같은 기간 4.7억 달러에서

그림 5-1. 중국의 원예농산물 수출입액과 비중 변화(2000∼2012년)

자료: 한국무역협회 중국비지니스포탈(http://china.kita.net).

65.5억 달러로 연평균 24.5% 증가하였다.

2000~2012년 동안 농산물 수출액에서 원예농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은 28.3%에서 41.1%로 크게 증가하여 수출기여도가 증가하였다. 채소 수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 18.9%에서 2009년 29.0%까지 증가했으나 2012년에 는 23.7%로 감소하였다. 과실 수출액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 9.4%에서 2012년 17.4%로 크게 증가하였다.

2.2.1. 채소류

24

교역

중국 농업부 통계25에 따르면 중국이 2012년에 수출한 채소는 수출액 기준

24 채소에 포함되는 HS-4단위 세번 품목은 HS 0701~0712, HS 0714, HS 0904, HS 0910, HS 1209, HS 1212, HS 2001~2005, HS 2009, HS 2103(農業部. 中國農 產品貿易發展報告2012 ).

25 农业部. 中国农产品贸易发展报告2012 .

으로 신선 및 냉동 채소가 41.4%로 가장 많고, 가공 및 조제저장처리 채소 38.0%, 건조 채소 18.7% 순이다. 채소 수입의 경우 가공 및 조제저장처리 채 소가 45.2%로 가장 많고, 건조 채소 14.3%, 신선 및 냉동 채소 7.1% 순이다.

2012년도 중국의 채소 수출액 상위 10개 품목은 신선 냉장 통마늘(12.7%), 토마토 통조림(9.1%), 건표고버섯(5.3%), 양송이 통조림(3.9%), 건조 탈수 마 늘(3.2%), 신선 냉장 당근 및 무(2.7%), 신선 냉장 양파(2.7%), 생강(2.6%), 죽 순제품(1.5%), 건조 목이버섯(1.5%) 순이다.

중국의 최대 채소 수출시장은 일본으로 2012년도 수출액 기준 시장 점유 율은 23.8%를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한국 8.2%, 미국 7.6%, 말레이시아 5.1%, 태국 4.5%, 베트남 4.5%, 홍콩 4.4%, 인도네시아 4.2%, 러시아 4.1%, 독일 2.4% 순이다. 한국은 2010년에는 일본, 미국에 이어 제3위의 수출시장이었으 나 2012년에 미국을 제치고 제2위의 채소 수출시장으로 부상하였다.

가. 고추

고추는 물량이나 금액 모두 수출이 수입을 초과하는 품목이다. WTO 가입 이후 2002~2010년 동안 수출과 수입 모두 대폭 증가하였다. 고추 수출액이 농산물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2년 0.51%에서 2012년 0.56%로 다소 증가하였다. 그러나 동기간 채소류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45%에서 2.07%로 소폭 감소하였다.

고추의 HS-8단위 세변별 수출입 실적을 보면 건고추(HS 0904.2100, 분쇄하 지 않은 것; HS 0904.2200, 분쇄한 것)가 최대 수출입 품목이다. 2012년 기준 고추 수출액의 89.6%, 수입액의 89.5%를 차지하였다.

한국은 분쇄하지 않은 건고추의 최대 수출국이다. 2012년 기준 수출액의 22.8%를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미국(16.9%), 말레이시아(15.8%), 북한 (10.8%), 태국(10.2%), 일본(9.3%), 인도네시아(4.0%), 멕시코(3.9%), 스페인 (1.2%) 순이다.

표 5-2. 중국의 고추 수출입 실적(2002년, 2012년)

HS코드 수입 세율

2002년 2012년

수출 수입 수출 수입

톤 천 달러 톤 천 달러 톤 천 달러 톤 천 달러 0709.6000 13 23,419 4,197 40 80 64,397 34,206 - -0904.2010(구)

0904.2100(신) 20 70,881 48,630 407 421 51,959 133,568 17,433 25,961 0904.2020(구)

0904.2200(신) 20 20,737 25,747 250 687 41,684 126,432 1,598 3,053 합 계 115,037 78,574 697 1,188 158,040 294,206 19,031 29,014 주: HS 0709.6000 신선·냉장, HS 0904.2100 분쇄하지 않은 말린 고추, HS 0904.2200

분쇄한 말린 고추.

자료: 中國海關統計年鑒(2002年, 2012年).

분쇄한 건고추의 최대 수출대상국은 일본으로 수출액의 21.7%를 차지하였 다. 다음으로 미국(15.5%), 스페인(8.2%), 대만(6.7%), 한국(5.9%), 독일(5.4%), 남아공(5.0%), 말레이시아(3.8%), 베트남(3.7%) 순이다.

신선·냉장고추(HS 0709.6000)는 수입 실적은 없고 수출만 이루어지고 있 다. 건고추에 비해 금액은 매우 적다. 러시아(43.8%)가 최대 수출국이며, 카 자흐스탄(11.7%), 홍콩(10.4%), 대만(9.5%), 태국(5.8%), 몽골(5.5%), 말레이시 아(5.2%), 싱가포르(2.6%), 북한(2.3%) 등지로 수출되고 있다.

나. 마늘

마늘은 물량이나 금액 모두 수출이 수입을 초과하는 품목이다. WTO 가입 이후 2002~2010년 동안 수출이 증가한 반면 수입은 감소하였다. 마늘 수출액 이 농산물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2년 2.6%에서 2012년 3.3%로 다 소 증가하였다. 동기간 채소류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2 5%에서 13.9%로 증가하였다.

마늘의 세번별 수출입 실적을 보면 최대 수출 품목은 신선·냉장 통마늘

(HS 0703.2010)이다. 2012년 기준 마늘 수출액의 73.3%를 차지하였다. 다음으 로 건조 마늘(HS 0712.9050) 18.2%, 신선·냉장 기타 마늘(HS 0703.2090) 5.1%, 신선·냉장 마늘대 및 마늘싹(HS 0703.2020) 1.7% 순이다. 마늘 수입은 건조 마늘이 일부 수입되고 있으나 물량이나 금액 모두 미미한 수준이다.

표 5-3. 중국의 마늘 수출입 실적(2002년, 2012년)

단위: 톤, 천 달러

HS코드 수입 세율

2002년 2012년

수출 수입 수출 수입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0703.2010 13 1,016,240 328,359 34 13 1,341,914 1,270,093 - -0703.2020 13 19,239 11,000 - - 18,575 29,979 - -0703.2090 13 13,942 5,308 0.2 3 53,214 87,593 - -0710.8020 13 2,862 2,274 - - 5,526 9,688 -

-0710.8030 13 - - - - 250 530 -

-0711.9034 13 12,743 5,602 - - 7,281 10,494 0.3 1 0712.9050 13 75,496 46,654 1,065 206 138,285 315,900 19 116 2001.9010 25 3,711 2,550 1 1 5,348 9,284 1 4 합 계 1,144,233 401,747 1,100 223 1,570,393 1,733,561 20 121 주: HS 0703.2010 통마늘(신선·냉장), HS 0703.2020 마늘대 및 마늘싹(신선·냉장), HS

0703.2090 기타 마늘(신선·냉장), HS 0710.8020 마늘대 및 마늘싹(냉동), HS 0710.8030 통마늘(냉동), HS 0711.9034 마늘(일시저장), HS 0712.9050 마늘(건조), HS 2001.9010 마늘(식초, 초산 조제).

자료: 中國海關統計年鑒(2002年, 2012年).

최대 수출 품목인 신선·냉장 통마늘(HS 0703.2010)의 최대 수출국은 인도 네시아로 2012년 기준 수출액의 26.2%를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브라질 (8.9%), 베트남(7.9%), 말레이시아(6.5%), 태국(4.5%), 필리핀(4.4%), 네덜란드 (3.4%), 아랍 에미리트 연합국(3.0%), 미국(2.8%) 순이다.

미국, 일본, 캐나다는 중국산 건조 마늘(HS 0712.9050)과 신선·냉장 기타마

늘(HS 0703.2090)의 주요 수출대상국이다. 한편 신선·냉장 마늘대 및 마늘싹 (HS 0703.2020)의 최대 수출국은 한국(43.8%)과 일본(31.4%)이다.

다. 양파

양파는 물량이나 금액 모두 수출이 수입을 초과하는 품목이다. WTO 가입 이후 2002~2010년 동안 수출이 대폭 증가한 반면 수입은 감소하였다. 양파 수출액이 농산물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2년 0.25%에서 2012년 0.58%로 증가하였다. 동기간 채소류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2%에서 2.2%로 증가하였다.

표 5-4. 중국의 양파 수출입 실적(2002년, 2012년)

HS코드 수입 세율

2002년 2012년

수출 수입 수출 수입

천 달러 톤 천 달러 천 달러 톤 천 달러 0703.1010 13 229,306 34,493 1,821 210 602,330 272,338 141 33 0712.2000 13 3,395 3,792 576 878 12,582 33,952 159 528 합 계 232,701 38,285 2,397 1,088 614,912 306,290 300 561 주: HS 0703.1010 양파(신선·냉장), HS 0712.2000 양파(건조).

자료: 中國海關統計年鑒(2002年, 2012年).

양파의 세번별 수출 실적을 보면 신선·냉장 양파(HS 0703.1010)와 건조 양 파(HS 0712.2000) 두 가지 형태로 이루어지며 2012년 기준 양파 수출액의 88.9%와 11.1%를 차지하였다. 신선·냉장 양파의 수출대상국은 인도네시아 (26.2%), 브라질(8.9%), 베트남(7.9%), 말레이시아(6.5%), 태국(4.5%), 필리핀 (4.4%), 네덜란드(3.4%), 아랍 에미리트 연합국 (3.0%), 미국(2.8%)순이다.

건조 양파의 최대 수출대상국은 일본으로 18.1%를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독일(14.5%), 미국(12.4%), 영국(7.3%), 호주(5.6%), 필리핀(5.4%), 브라질 (4.8%), 한국(4.5%), 벨기에(3.3%), 태국(2.7%) 순이다.

라. 김치

김치는 물량이나 금액 모두 수출이 수입을 초과하는 품목이다. 2012년 기 준 김치 수출액이 농산물 수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98%, 채소류 수출액 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1% 수준이다.

중국산 김치의 최대 수출대상국은 한국과 일본이다. 2012년 기준 김치 수 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각각 33.6%와 31.5%이다. 한국과 일본에 태국 (12.8%), 미국(5.6%), 러시아(2.6%), 독일(2.1%)도 중국산 김치의 주요 수입국 이다.

표 5-5. 중국의 김치 수출입 실적(2002년, 2012년)

단위: 톤, 천 달러

HS코드 수입세율

2002년 2012년

수출 수입 수출 수입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물량 금액

2005.9999 25 - - - - 373,149 516,770 5,149 5,621 합 계 - - - - 373,149 516,770 5,149 5,621 주: HS 2005.9999 기타 채소(식초, 초산 조제 외 저장처리).

자료: 中國海關統計年鑒(2002年, 2012年).

2.2.2. 과실류

26

교역

중국 농업부 통계27에 따르면 중국이 2012년에 수출한 과실은 수출액 기준 으로 신선 냉동 과실이 41.7%로 가장 많고, 과일즙 18.6%, 과일통조림 10.7%, 단순가공 과일 2.1% 순이다. 대표적인 수출 품목은 사과주스(18.4%), 신선 감귤류(15.7%), 신선 사과(15.5%), 감귤통조림(7.1%), 신선 배(5.3%), 포

26 과일에 포함되는 HS-4단위 세번 품목은 HS 0801~0814, HS 1203, HS 1212, HS 2006~2009, HS 2106, HS 2204(農業部, 中國農產品貿易發展報告2012 ).

27 农业部, 中国农产品贸易发展报告2012 .

도(4.2%), 복숭아통조림(2.7%), 건포도(1.1%), 신선 복숭아(0.8%), 배통조림 (0.8%) 등이다. 과종별로 보면 사과가 33.9%, 감귤류가 22.8%, 배가 6.1%로 3 대 과실이 약 63%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의 수입 과일은 열대·아열대 과일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2012년도 기 준 중국의 대표적인 수입 과일은 용안(10.6%), 두리안(10.6%), 포도(10.1%), 바나나(9.8%), 화룡과(8.8%), 신선 감귤류(4.0%), 감귤주스(4.0%), 키위(3.7%), 신선 사과(2.4%) 순이다.

중국 농업부의 농산물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2012년도 수출액 기준 중국

중국 농업부의 농산물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2012년도 수출액 기준 중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