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원예농산물 교역의 경쟁·분업관계 분석

3.1. 경쟁관계 분석

한 중 농산물교역의 경쟁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국가 간 교역에서 양국의 경쟁력을 비교분석하는 데 많이 이용되는 무역특화지수(Trade Specification Index: TSI)를 사용하였다. 무역특화지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







식에서 는 교역품목, 는 무역상대국,

는 해당국의 수출액,

은 해당국의 수입액이다.

TSI 지수는 특정한 교역품목이 수출특화되었는지 아니면 수입특화되었는 지를 가늠하는데 활용된다. 특정 품목의 수출액과 수입액의 차를 해당 품목 의 교역액으로 나눈 값으로 산출한다. 특정 품목의 TSI 지수 값이 1이면 완 전한 수출특화, -1이면 완전한 수입특화 그리고 0이면 수출액과 수입액 규모 가 같다는 것을 나타낸다.

TSI 지수는 특정 품목의 경쟁력을 평가하는 지표로 활용된다. 지수 값이

표 6-3. 한·중 채소류 교역의 TSI 지수 계측 결과(계속)

표 6-4. 한·중 과실류 교역의 TSI 지수 계측 결과

<표 6-3>과 <표 6-4>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수산물무역정보에서 분 류하여 제시한 AG코드 채소류 49개 품목, 과실류 39개 품목을 대상으로 각 각 1996/98년(3년 평균)과 2010/12년(3년 평균)의 한 중 채소류 및 과실류 교 역의 수출특화지수를 계측한 결과이다.

채소류 계측 결과 한국 시장에 대해 수출특화된 중국산 품목 수는 1996/98 년 30개(강 26개, 중강 4개)에서 2010/12년 35개(강 32개, 중강 3개)로 증가하 였고 특화 정도도 더욱 강화되었다. 중국 시장에 대해 수출특화된 한국산 품 목 수는 동기간 0개에서 2개(수박 중강, 후추 강)로 증가했다.

과실류 계측 결과 한국 시장에 대해 수출특화된 중국산 품목 수는 1996/98 년 10개(강 5개, 중강 5개)에서 2010/12년 18개(강 14개, 중강 4개)로 증가하 였고 특화 정도도 더욱 강화되었다. 중국 시장에 대해 수출특화된 한국산 품 목 수는 동기간 2개(감, 단일과실조제품)에서 7개(프룬, 키위, 오렌지, 만다린 류, 유자, 과실혼합물, 단일과실조제품)로 증가하였다. 과실류는 채소류에 비 해 대 중국 수출경쟁력이 다소 높아지는 추세임을 알 수 있다.

3.2. 분업관계 분석

한·중 농산물 교역의 분업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한 국가의 품목의 산업 내무역(intra-industry trade) 여부를 측정하는 데 자주 활용되는 Grubel-Lloyd 지수(G-L 지수)를 활용하였다. 여기서 G-L 지수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 

   

위 식에서

는 각각 한 국가의 개별품목 의 수출액과 수입액 규모 를 나태내고 있다. G-L 지수 값이 1에 가까워질수록 산업내무역이 활발하다 는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해당 국가와 무역상대국의 산업이 보완관계를 형

성하고 있다고 진단한다. G-L지수 값이 0에 가까우면 양국 간 무역은 산업

2) 0.75≤GL≤1은 산업내무역(강), 0.5≤GL≤0.75는 산업내무역(중강), 0.25≤GL≤

0.5은 산업간무역(중강), 0≤GL≤0.25는 산업간무역(강).

자료: 농수산식품유통공사(http://www.kati.net).

표 6-5. 한·중 채소류 교역의 G-L 지수 계측 결과(계속)

2) 0.75≤GL≤1은 산업내무역(강), 0.5≤GL≤0.75는 산업내무역(중강), 0.25≤GL≤

0.5은 산업간무역(중강), 0≤GL≤0.25는 산업간무역(강).

자료: 농수산식품유통공사(http://www.kati.net).

표 6-6. 한·중 과실류 교역의 G-L 지수 계측 결과

2) 0.75≤GL≤1은 산업내무역(강), 0.5≤GL≤0.75는 산업내무역(중강), 0.25≤GL≤

0.5은 산업간무역(중강), 0≤GL≤0.25는 산업간무역(강).

자료: 농수산식품유통공사(http://www.kati.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