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영국 주거지 도시재생 사례

문서에서 영국 도시재생 (페이지 137-144)

41) London

05.2 영국 주거지 도시재생 사례

영국은 산업혁명과 함께 도시화와 도시문제를 가장 먼저 경험한 나라이다. 특히, 19세기 영국의 도시는(특히, 런던) 인구 과밀로 인한 열악한 주택문제·보건위생문제·슬럼화는 심각한 수준이었다. 영국 최초의 도시 관련 법령인 1884년 공공보건법(The Public Health Act), 비위생적인 도시주거지 개선을 위한 1868년 토렌스법(The Torrens Act), 열악한 주택 지를 철거하여 재입주시키기 위한 1890년 크로스법(The Cross Act),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인본주의 산업자본가들의 모델타운(Model Town)은

46)

과밀한 산업도시의 심각한 주거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들이었다. 그리고 에버너즈 하워드(Ebenezer Howard)에 의해 제안되고 건축가 레이몬드 언윈(Raymond Unwin)과 베리 파커(Barry Parker)에 의해 현실화된 레치 워스(Letchworh) 가든시티는 산업도시가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이상적 주거지를 제시하였다. 이후 가든시티 개념은 1946년부터 1970년 까지 1기, 2기, 3기 영국 신 도시 건설의 이념적 바탕이 되었다. 신도시 사업은 밀턴키인즈를 제외하고는 긍정적인 평 가를 얻지 못하였으며 1970년을 정점으로 막을 내렸다. 이 후 대처 정권의 집권 기간 동안 (1979-1997) 영국의 도시정책은 침체된 도심 지역에 대한 도시재생 사업이 중심이 되었다.

1997년 집권한 노동당 정부는 성장하는 영국 남동부의 서민주택 공급(affordable housing), 중부 지역의 주택공동화 문제, 노후화된 임대주택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개 념의 21세기형 지속가능한 공동체 계획(Sustainable Communities Plan)을 2003년 발표하 였다. 이는 침체된 커뮤니티를 회복하기 위한 도시재생 사업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1970년 대 이후 인간정주 환경 조성과 기존 도시 주거환경 재생사업에 다양한 접근들이 시도되었 다. 영국 주거지 도시재생 사업은 20세기 초 낙후된 슬럼제거 방식 → 2차 대전 이후 1960 년대의 부족한 주택건설(housing provision) → 1970년대 낙후된 주거의 개보수(upgrading of dewellings) → 1980년대 근린재생(neighbourhood regeneration)

47)

→ 1990년대의 커 뮤니티 재생(community regeneration)사업으로 변천했다(Edgar & Taylor, 2004). 그리고 1997년 집권한 노동당 정부의 도시재생 사업은 장소에 기반을 둔 커뮤니티 단위의 주거재 생사업에 중점을 두었다.

이 장에서 다루는 맨체스터의 노스무어 사례는 낙후된 기존 주거지를 커뮤니티가 중 심이 되어 도시재생 사업을 실행한 예이다. 그리고 그리니치 밀레니엄 빌리지 사례는 버려 진 대규모의 산업유휴지(brownfield)를 공공교통시설과 연계한 주거지 재생사업이다. 동시 에, 장기 집권한 노동당 정부(1997-2010)가 추구하고자 했던 21세기형 정주환경 조성을 위

46)

예, William Lever의 Port Sunligt

47)

근린재생(neighbourhood re-generation)과 커뮤니티재생 (community regeneration)의 개념적 차이는 다음과 같다. 근 린재생은 물리적 양상의 주거 지 재생사업을 의미한다면, 커 뮤니티 재생은 근린주구 안에 생활하는 여러 사회적·경제적 계층의 커뮤니티에 초점을 둔 도시재생 개념이다.

한 주택 정책의 상징적 사례이다. 그리고 지속가능한 공동체 실현을 위한 상징적 모 델(flagship project)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48)

노스무어 사례는 연구된 자료접근 의 한계로 인해 맨체스터 시가 작성한 Northmore Now와 버밍험 홈페이지에 서 제공하는 내용을 직간접 인용하여 요 약하였음을 밝힘.

05.2.1

맨체스터 노스무어 주거지 48)

맨체스터 노스무어 도시재생의 배경

노스무어(Northmoor)는 맨체스터 남부 롱사이트(Longsight)에 위치해 있으며 스톡 포트 통합 도시재생 예산(Stockport Road Corridor Single Regeneration Budget) 대상 지역이었다. 이 지역은 전형적인 테라스 주거지역으로 지난 20년 동안 ① 계 속된 인구감소 ② 높은 실업률과 빈곤 ③ 지속적인 범죄의 위협 ④ 개인 임대주택 과 빈집의 증가 ⑤ 낙후된 물리적 건축환경 ⑥ 지역상점의 폐업과 비즈니스 쇠퇴 ⑦ 자동차 중심적인 도로체계로 인해 물리적·경제적·사회적·환경적으로 쇠퇴하였 다 (Manchester City Council, 2002).

노스무어 커뮤니티 도시재생 사업은 컨설팅을 바탕으로, 열악하고 부적합한 주 택상태, 제한된 주택 유형, 효율적인 커뮤니티 차원의 관리 부족, 주택 임대와 관리 의 문제, 소매상과 경제 쇠퇴, 커뮤니티 시설의 부족, 열악한 주변 환경, 자동차 중 심의 가로환경, 범죄 위협을 해결하기 위한 마스트플랜을 작성하였다(Manchester City Council, 2002). 이 마스트플랜에 따라 2000년 5월 시작된 도시재생 사업은 2002년 7월 완료되었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 맨체스터 시는 공공, 민간, 커뮤니티 와의 파트너십을 구성하였다.

49)

도시재생 사업의 재원은 중앙정부, 지방정부, 주택협회의 공동 출자를 통해 마 련되었다.

50)

이 파트너십은 마스트플랜에 따라 ① 주택 ② 공공공간 ③ 비즈니스 ④ 커뮤니티 안전·참여·활동 ⑤ 교통관리 ⑥ 커뮤니티 아트 6분야를 골자로 하는 도 시재생 사업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주거 가로의 사회적 회복 프로그램인 홈존 (Home Zone) 을

51)

영국 최초로 적용하였다.

주택관련 재생사업

노스무어의 기존 주택은 대부분이 노후화된 2베드룸 테라스 하우스로서 오랜 시간 동안 공동화를 겪었다. 이 공동화는 기존의 커뮤니티 안전에 위협이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베드룸에 집중된 주택타입을 4베드룸과 가족형 주택으로 개량하였 으며 쇠퇴하는 커뮤니티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주택의 외관과 가로의 물리적 환

49)

Manchester Methodist Housing Association

Stockport Road Corridor SRB Partnership

Northmoor Community Association, Urban Solutions(Manchester Engineering Design Consultancy) Northmoore Ruban Arts Project 지역 학교

치안 기관

50)

재원은 Stockport Road Corridor 통 합도시재생예산(Single Regenera-tion Budget), Housing Investment Programme, Local Transport Plan, Manchester Methodist Housing As-sociation으로부터 출자되었다. 1단계 에서는 795,000파운드, 2단계에서는 369.000파운드, 3단계에서는 927,000 파운드 총 2백10만 파운드 소요되었다 (Bridgestock, 2000).

51)

홈존(Home zone) 프로그램은 주거지 의 가로 공간을 재정립하고 자동차 중 심의 가로에서 다양한 사회적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프램이었다. 주요 내용은 가로의 안전성, 가로의 다양하 사회적 기능 향상, 자동차의 속도는 시 속 20 mile 이하, 커뮤니티가 중심이 되 어 조성하는 가로만들기를 주요 내용으 로 하였다.

139

ROAD PROPOSALS Traffic calming and circulation Main feeder roads Pedestrian streets Pedestrian crossing Road narrows Create Home Zones

STANLEY GROVE PRIMARY SCHOOL

CROWCROFT PARK COUNTY PRIMARY SCHOOL

LONGSIGHT CRICKET CLUB EAST ROAD

STANLEY GROVE

STANLEY GROVE

EAST ROAD NO

RTHMOO R ROAD RUSH

FORD STR EET

PINK B ANK LANE

NORTHMOO

R RO AD STOC

KPOR T ROAD

Crowcroft Park Cottage

New Multi-Purpose Play Area

Cedar Grove (Nursing Home)

Northmoor MethodistRoad Church

Bowling Green

New D irect Pathway

s Proposed

New Direct Pathways Proposed PURCELL STREET

HOLLINS GROVE BARNBY STREET

PROUT STREET STAINER STREET

ELGAR STREET GILES STREET

QUEEN’S GROVE

PARRY ROAD

FARRANT ROAD ALBERT GRO

VE

BLAKEY STREET

MELLING STREET

PARKIN STREET

MACKENZIE STREET

SANTLEY STREET TALU

S STREET PATE

Y STREET SHER

RINGTON STR EET FENCO

T DRIVE

GRAINGER AVENUE

GRAINGER AVENUE

GAYTON STREET ATTWOOD STREET SMART STREET HATTON STREET

HOPKINS STREET

MACFARREN STREET

New Childrens Playground

Play Area GATEWAYS

Define major access points Notify entrance to Urban Village Provide boundary markers Improve lighting, signage, building facades, paving and planting ENVIRONMENT

‘Green streets’ & ‘courtyard’ proposals Selective demolition to provide more open space Reduce gable end exposure Provide defensible space Control car parking Plant trees and shrubs Form local sitting and play spaces SECURITY

Restrict vehicle movement Encourage pedestrian movement Close alleyways Improve street lighting Implement ‘safe as houses’ project

VILLAGE CORE Define a focal point and encourage economic investment Improve building facades High lighting village centre Speed ramps Tree planting Provide meeting space Control vehicles Concentrate community activities

공동화로 쇠퇴된 주거지역의 철거작업 출처: Northmoor Now(Manchester City Council, 2000)

경을 향상시켰다. 또한 마을의 공공공간 조성을 위해 일부 주택은 과감하게 철거 되었다. 그리고 자동차 주차장으로 전락한 거리를 보행자 친화적인 환경으로 바꾸 기 위해 그린가로(Green Streets) 프로젝트가 노스무어아트프로젝트(Northmoore Urban Arts Project)의 일환으로 의해 실시되었다.

일부 철거작업과 동시에 낙후된 주택 재정비, 지역의 정체성을 가진 건물에 대한 수리와 복원이 동시에 진행되었다. 특히, 당시 노스무어 주택의 37퍼센트가 개인임대주택이었으며(맨체스터 시 평균은 13%)(Manchester City Council, 2002), 이들 주택의 거주환경은 열악한 상태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민간주택소유자포럼 (Private Landlords Forum)을 통해 주택소유자로 하여금 자발적인 보수작업을 하도록 권면하였다. 외관의 페인팅, 창틀, 담, 건물의 장식, 공공건물의 출입구, 커뮤니티센터의 외관, 주택정비 작업이 진행되었다. 주택과 건물의 작은 부분에서 전체 외관에 이르는 보수와 복원 작업이 블럭 단위로 진행되었다.

공동화로 쇠퇴된 주거지역의 철거작업 출처:Northmoor Now (Manchester City Council, 2000)

Green Project 스케치

출처: Northmoor Now (Manchester City Council, 2000)

도시재생 사업후 형성된 마을의 중심 상업 공간

출처:Northmoor Now (Manchester City Council, 2000)

건축환경 개선 사업

노스무어 커뮤니티 공원인 크라우크로프트 공원(Crowcroft Park)은 낙후된 시설로 인해 버려진 상 태였다. 이에 대한 개선사업이 2년 동안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테니스, 농구, 스케이트 보딩과 같 은 스포츠 시설이 조성되었으며, 공원 전체에 대한 정화작업도 함께 실시되었다.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크라우크로프트 공원 그룹(Friends of Crowcroft Park Group)이 결성하여 공원관리 인(Park Warden)을 통해 공원 이용과 관리를 체계적으로 실행하였다. 노스무어는 재생 사업 당시 지역 주민들을 위한 광장과 물리적 중심 공간이 없었다. 이로 인해, 노스무어 주민은 이웃 마을로 가 서 쇼핑과 업무를 보는 불편함이 겪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지역 주민이 모이고, 이야기하고, 일 하고, 만나는 마을의 중심공간을 조성하였다. 기존의 가게와 소매상에 대한 정비작업, 커뮤니티 센 터 조성, 새로운 아파트, 옥외 카페, 공공서비스 시설을 조성하여 마을의 중심 공간을 형성하였다.

노스무어 도시재생 사업 지역은 범죄율이 높아 커뮤니티의 큰 문제점 중 하나였다. 재생사업 과정에서 주택치안 프로그램 (Safe as Houses), 밤거리 조명향상, 커뮤니티 순찰프로그램(Neigh-bourhood Warden Scheme), 주택 후면보행로(alley)통제, CCTV를 설치하였다. 지자체의 재쟁적인 도움을 받은 주택치안 프로그램은 주택의 현관과 창문에 보안잠금장치 설치를 지원하여 범죄 예방 에 많은 효과를 보았다. 동시에 주택 후면로의 통제(예, 게이트설치)는 도둑을 80퍼센트 줄이는 역할 을 하였다. 거리에 설치된 CCTV와 야간조명은 안전한 커뮤니티 가로를 만드는데 도움을 주었다. 특 히, 커뮤니티 순찰 프로그램을 위한 순찰사무소를 커뮤니티 센터에 설치하여 지속적인 치안 활동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노력은 노스무어 지역의 이미지를 변화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커뮤니티의 참여와 커뮤니티가 중심이 된 활동

노스무어 도시재생 사업의 가장 큰 특징 중에 하나는 사업 과정에서 커뮤니티가 중심이 된 ‘참여’

와 기존의 침체된 커뮤니티 이미지를 벗기 위한 커뮤니티의 ‘자발적인 활동’이었다. 특히, 노스무어 재생사업의 파트너인 맨체스터 시와 맨체스터메소디스트주택협회(Manchester Methodist Housing Association)는 재생사업과정에서 주민참여를 위한 많은 노력을 시도하였다. ① 월별 지역주민, 지 자체·주택협회·디자인 팀과의 정기적 모임 ② 현지 커뮤니티 센터의 포럼 개최 ③ 지역주민의 참 여를 위한 도시재생 사업 과정에 대한 상세한 그래픽적 설명과 모델 전시를 통한 적극적 참여 유도

④ 공공미팅이 그 예이다. 도시재생 사업을 주관하는 파트너십의 이러한 노력은 도시재생 과정에 서 주민 참여를 적극적으로 유도하였다.

커뮤니티 중심의 활동과 이벤트는 노스무어 도시재생 사업의 성공요인이었다. 이를 통해 주민 들이 소속감과 정체성을 갖게 되었고 연합해서 쇠퇴하는 커뮤니티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자신감을 주었다. 특히, 홈존 프로그램의 시범사업과 연계된 거리전시회와 뮤직공연, 거리게임, 페이스페인팅, 바베큐, 거리 영화 상영 등의 이벤트로 구성된 즐거운 날(Fun Day) 행사는 교류가 소원했던 주민들 이 함께하는 중요한 계기를 마련하였다. 동시에, 십대들이 주관이 된 포럼을 통해 개진된 생각들을

141

재생사업 과정에 적극 반영하였다.

노스무어는 커뮤니티 아트를 통해 지역의 정체성, 공동체의식, 장소성을 고취하였다. 이 커뮤니티 아트는 주민의 작품과 의견이 함께 반영되어 친근감을 유도하였다. 기존의 비어있는 주택을 개조하여 갤러리를 조성하여 주민 작품 전시의 장을 마련하여 커뮤니티 아트를 장려하였다. 이러한 성공적인 커뮤니티 중심의 공공아트 프로젝트는 영국 도시재생협회로부터 상을 받았다.

커뮤니티 주거지 가로의 사회성 회복을 도운 홈존 프로그램

주거지의 가로회복을 위한 홈존(Home Zone) 프로그램의 실시는 노스무어 도시재생 사업의 가장 큰 특징 중에 하나이다. 커뮤니티 가로를 자동차보다는 걷기, 자전거 타기, 담소를 나누는 곳, 앉고 여유를 누리는 곳, 어린이들의 놀이공간으로 만들기 위한 홈존(Home Zone) 프로그램의 실시는 쇠 퇴한 커뮤니티의 이미지를 바꾸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노스무어 홈존 프로그램은 영국 정부 의 주거지 가로회복을 위한 9개 시범 사업의 일환이었다. 주거지 가로를 지역주민을 위한 사회적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자동차 속도제한, 차로의 폭 축소, 특정지역의 자동차 진입금지 등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 노스무어의 성공적인 이 프로그램은 영국도시재생협회(British Urban Regeneration Association)로부터 2001년 최고의 모델 사례로 선정되었다. 이 홈존 프로그램은 자동차 중심의 주 거지 가로를 커뮤니티와 아이들의 중심공간으로 바꾸었다. 이와 함께 연계된 공공아트와 녹지는 지 역 주민의 중심 공간으로 가로를 바꾸어 놓았다. 특히, 도로의 경계석, 과속 방지턱을 없애 어린이 중심의 공간으로 만들어 주목을 받았다.

노스무어에 처음으로 적용된 홈존 프로그램이 적용된 주거지 가로

05.2.2

런던 그린니치 밀레니엄 빌리지

그린니치 밀레니엄 빌리지와 지속가능한 공동체의 실현

그린니치 밀레니엄 빌리지(Greenwich Millennium Village:GMV) 주거지 재생사 업은 1997년 집권한 영국 노동당 정부가 추진하는 지속가능한 공동체(sustainable communities)

52)

개념을 구체화한 사례이다. 이 상징적인 주거지는 산업유휴지의 재 생사업을 통해 조성하였다. 런던 그린니치 밀레니엄 빌리지는 노동당 정부(1997-2010)의 21세기 정주환경과 지속가능한 공동체 계획과 이상을 구체화 한 상징적 프

런던 그린니치 밀레니엄 빌리지의 자연과 조화를 이루면서 양질의 건축디자인이 적용된 모습

143

52)

영국 노동당 정부는 21세기 정주환경 조성을 위한 지속가능한 공동체(Sustainable Communities) 계 획을 2003년 2월 5일 발표하였다. 영국 정부는 지 속가능한 공동체 개념을 “사람들이 현재와 미래 에도 살고 일하고 싶어 하는 곳”으로 정의하였다.

이 배경에는 1960년대 말까지 3기에 걸친 신도시 건설의 실패와 인간 정주환경이 안고 있는 문제 와 현안을 통합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제시되었다.

지속가능한 공동체의 핵심 내용 1. 안전하고 활력있는 유대적 공동체 2. 참여와 리더십의 공동체 3. 친환경적인 공동체 4. 양질의 디자인이 적용된 공동체 5. 주위 인프라와 잘 연결된 공동체 6. 번성하는 공동체

7. 양질의 서비스가 제공되는 공동체 8. 평등한 환경을 제공하는 공동체 지속가능한 공동체의 재정계획

지속가능한 공동체 프로그램이 발표된 후 영국정 부는 처음 3년간 220억 파운드 재정을 투자하였 다. ① 3억5,000만 파운드는 지속가능한 공동체 계획을 실행을 위한 도시계획시스템의 현대화와 신속화, ② 50억 파운드는 침체된 지역의 재개발,

③ 6억1,000만 파운드는 런던을 중심으로 한 영 국 남동부지역의 4개 성장지역에 대한 투자, ④ 5 억 파운드는 주택수요 감소지역과 공동화지역 재 활성화, ⑤ 28억 파운드는 낙후된 영구임대주택의 개보수, ⑥ 2억100만 파운드는 공원과 공공공간 개선(220억 파운드에 포함되지 않음)에 투자하였 다. 영국 정부는 지속가능한 공동체 계획을 현실 화시키기 위해 천문학적인 투자계획과 함께 잉글 랜드 전 지역에 걸쳐 지속가능한 공동체계획을 수 립하였다. 각 지역의 계획안은 광역지역이 처해있 는 현재의 상황과 다루어야할 주요현안과 실행계 획으로 구성되었다.

53)

7곳의 밀레니엄 프로젝트 지역 1. Greenwich Millennium Village, 2. Allerton Bywater,

3. New Islington(Manchester), 4. South Lynn(Kings Lynn), 5. East Ketley(Telford), 6. Oakgrove(Milton Keynes), 7. Hastings

로젝트이다. 동시에 1997년부터 시작된 정부의 밀레니엄 빌리지 프로젝트 (Millennium Village Project)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이 프로그램은 잉글리시 파트너십(English Partnerships)의 관할 하에 새로운 방법의 도시계획, 설계, 건설방법으로 지속가능한 주거지 조성을 목적으로 잉글랜드 전역 7 곳에 조 성되었다.

53)

이들 프로젝트는 영국 정부의 지속가능한 공동체 계획과 맥락 을 같이 하고 있다.

그린니치 밀레니엄 빌리지의 개발과정과 마스터플랜

GMV는 그린니치 반도(Greenwich Peninsular) 재개발 지역의 남쪽에 위치 해 있다. 이 지역은 대규모의 가스저장과 처리가 이루어졌던 곳이다. 하지만 산업의 쇠퇴와 함께 약 190 에이커에 해당 되는 지역이 산업유휴지로 남게 되었다. 잉글리시 파트너십은 이 산업유휴지 재생사업을 위한 20년 마스터 플랜을 작성하였다. 이 GMV는 그린니치 반도 재생 사업의 상징적 프로젝 트였으며 이 지역은 유럽에서 가장 큰 도시재생 사업 중 하나였다(English Partnerships, 2004).

마스트플랜은 랄프 어스킨(Ralph Erskine)에 의해 직상되었다. 그는 마 스터플랜을 통해서 디자인과 기술적인 요소만을 강조하지 않고 인간 중심 적이고, 평등과 자유를 존중하는 자유민주의의 정신을 정주공간에 담고자 했다. 이 점이 랄프 어스킨의 마스터플랜 선정의 배경이 되었다. 재생사업 은 잉글리시 파트너십, 컨트리사이드 부동산(Countryside Properties), 테일 러윔피(Taylor Wimpey). 모트주택협회(Moat Housing Group)로 구성된 그 린니치 밀레니엄 빌리지 회사(Greenwich Millennium Village Ltd) 조인트 벤 처에 의해 재생 사업이 진행되었다. 이 마스터플랜은 7년에 동안 2,950호의 주택, 공원, 커뮤니티 시설을 조성하는 계획을 담았다. 이에 따라 1999년 공 사를 시작하여 1, 2 단계 공사가 완료되었으며 그 당시 없었던 커뮤니티가 1, 2단계 통해 형성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1,850호의 주택을 조성하는 3, 4, 5 단계에 대한 컨설팅 이 2003년 이루어졌다. 그리고 2004년 3, 4, 5 단계 건설공사에 대한 도시 계획허가 신청서를 그리니치 자치구에 제출하였다. 이 신청서에는 3-15층 으로 이루어진 1,850호의 주택, 커뮤니티 건물, 주차장을 건설하는 내용이 었다. 그리고 21세기형 도시주거 환경 건설과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개 발의 모델을 제시하고자하는 정부의 의도에 따라 에너지 효율성, 건설 폐기 물 관리, 친환경적인 정주 공간 만들기에 대한 전략적 목표도 함께 세웠다.

문서에서 영국 도시재생 (페이지 137-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