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2.1. 농촌 중심지의 개념과 범위

먼저 중심지의 개념을 살펴봄으로써 이 연구에서 초점을 두어 다루려는 농촌 중심지의 범위를 명확히 하고자 한다. 중심지이론은 1933년 독일의 크리스탈러(Christaller)가 정교화하였는데, ‘중심지’(central place)란 “배후 지역에 대해 각종 재화(goods)와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역간 교환의 편의를 도모해주는 장소”를 의미한다(김인 1986). 다시 말해 중심지란 상업적 인

자에 의해 형성된 도시를 의미하며, 그 중심지를 이용하는 주변 지역이 ‘배 후지(hinterland)’이다(김형국 1997). 중심지란 저차 중심지에서 고차 중심 지로 계층화되는 위계구조를 지니는데, 고차 중심지로 갈수록 포괄하는 기 능이 다양하고 복합화되며 넓은 배후 시장을 포함하게 된다.

이러한 위계구조에서 차지하는 위치로 보면, 농촌 중심지는 저차 중심지 에 해당한다. 즉, 농촌 정주생활권에서 배후 지역에 대해 중심 역할을 하는 소도읍을 ‘농촌 중심지’라 일컫는다(이동훈 2000:12). 이는 농어촌 행정‧경 제의 중심지이며, 지리적으로는 도시와 농촌을 연결하는 중간지대로 인식 된다(홍영기 1977:7). 즉, 농촌 중심지는 상위 도시와의 결절기능을 담당하 는 한편, 배후 농촌지역에 사회‧경제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심기능을 수 행한다. 그런 점에서 농촌 중심지는 국토 공간구조 상에서 도시적 정주체 계의 최하단에 위치함과 동시에 농촌적 정주체계의 최상에 위치한다고 볼 수 있다(이정환 1989:6)3.

이런 점을 고려하여, 이 연구에서는 읍‧면부의 배후 마을들에 대한 서비 스 역할을 담당하는 거점을 농촌 중심지로 규정한다. 일차적으로 읍‧면 소 재지가 이에 해당한다. 그보다 상위 계층의 중심지로서, 시‧군청 및 공공기 관, 각종 상업시설이 분포하는 시‧군청 소재지 역시 농촌 중심지의 범주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도농복합시의 소재지인 경우 동(洞)으로 이루어진 도시지역이기는 하나 이 연구의 대상에 포함된다. 배후에 농촌지역인 읍‧

면이 분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읍‧면이 없이 동(洞)으로만 이루어진 일 반시의 소재지인 경우 연구 대상에서 제외한다.

농촌에는 이와 같이 읍‧면사무소나 시‧군청 같은 행정기관이 소재하는 중심지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관공서가 위치하지 않더라도 주민들의 일 상생활에서 구심 역할을 하는 거점이 농촌지역에 분포하기도 한다. 예를

3 한 국가의 정주체계는 크게 상위의 도시적 정주체계(urban settlement system)와 하위의 농촌적 정주체계(rural settlement system)로 구분되기도 한다. 하위 정주체계 란 국토의 최소 단위인 취락들로 이루어진 체계를 의미하며, 여기에서는 농 촌 중심도시가 최상위 계층 중심지가 된다. 동시에 이러한 농촌 중심 도시는 도시적 정주체계에서는 최하위계층의 중심지라 할 수 있다(신대균 1984:14).

들어 소재지는 아니지만 인근 주민들이 자주 이용하는 거점마을이 그것이 다. 이러한 중심지 역시 연구의 내용적 범위에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2차 자료 분석 시에는 이처럼 읍·면 행정구역 내에 존재하는 제2의 중심지를 별도로 가려내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우며, 불가피하게 읍‧면 및 시‧군 행정구역별로 대표적인 중심지가 하나씩 존재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분석 작업을 할 수밖에 없다. 다만,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일부 자료에 대해서는 소재지와 배후 마을을 구분하여 분석할 것이며, 사례 분석 과정 에서도 행정구역 내에 분포하는 복수의 중심지를 가려내는 작업을 진행할 것이다.

2.2. 본 연구에서 살펴볼 농촌 중심지의 기능

이 연구는 배후 농촌에 대한 중심지의 지원 기능을 살펴보는 데 초점을 둔다. 따라서 도시정책 대상으로서 지방 중소도시 육성 문제는 직접적인 연구 주제에 해당하지 않는다. 그것은 하위의 농촌 정주체계보다는 국토 수준의 도시체계 문제로 접근할 대상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 연구에서 초점을 두는 농촌 중심지의 기능이 무엇인지 명확 히 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중심지 기능(central place function)’이란 도‧소매업, 교통‧통신업, 행정‧교육, 기타 서비스업과 같은 3차산업 부문에 초점을 둔다. ‘중심성(centrality)’이라 지칭하기도 하며, 중심지가 보유하고 있는 3차산업의 기능 정도를 뜻한다(김인 1986; 1991). 저차 중심지인 농 촌 중심지 수준에서는 대체로 일상적 물품‧서비스 구매를 위한 도‧소매업, 숙박 및 음식점업, 그 외 수리업, 미용‧목욕탕 등 각종 개인서비스업이 그 러한 기능에 포함된다. 또한 생활 지원 서비스와 관련한 우편 및 통신 서 비스, 금융 서비스, 공공행정 및 치안 서비스, 사회보장(복지) 서비스, 의료‧

보건 서비스, 교육 서비스 등이 해당된다4. 이 연구에서는 이 같은 기초적

4 구체적으로 어떠한 업종이 이에 해당하는지는 제3장에서 다시 언급할 것이다.

서비스 제공 역할에 일차적으로 초점을 두어 자료 분석과 실태조사를 진행 한다.

이와 같이 이론적인 의미의 중심지 기능은 상업적 기능에 초점을 두지 만, 실제 농촌 중심지가 수행하는 역할은 그것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물품 구입과 서비스 이용 장소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주민들의 일 터이자 경제활동 상의 거점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는 농촌 중심지의 배후 마을 지원 기능에 초점을 두되, 경제활동 부문까지 포함한 복합적인 측면도 함께 다룰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