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농촌 중심지를 도농교류 거점으로 육성

진안군 마을만들기팀과 마을간사제도

2.3.4. 농촌 중심지를 도농교류 거점으로 육성

농촌 소재지를 외부 방문객들도 찾을 수 있는 매력적인 장소로 육성하는 일도 필요하다. 장흥 토요풍물시장, 정선 오일장 등과 같이 전국적인 지명 도를 얻은 사례도 있지만, 작은 면 소재지 단위에서도 이러한 명소 만들기 프로그램을 시도해봄직하다. 예를 들어 진안군 백운면의 경우 주민들의 참 여를 바탕으로 면 소재지를 개성 있는 공간으로 가꾸고자 유도하는 일련의 구상을 진행한 바 있다. 소재지의 상점 간판들을 특색 있고 조화롭게 바꾸 는 작업을 한 결과 농촌다운 소박함을 간직하면서도 문화적인 정취를 느낄 수 있도록 면 소재지가 변모하기도 했다(성주인‧송미령, 2007)83.

무질서하고 어지러운 간판을 통일되게 조성하는 활동, 소재지의 담장을 허물고 정원을 가꾸는 활동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해 중심지 육성 프로그램 의 일환으로 지원 가능할 것이다84. 특히 이러한 활동은 이미 도시화가 상 당히 진전되어 주민이나 상인들 사이에 복합적인 이해관계가 존재하는 읍 보다는 면 소재지를 대상으로 우선 추진할 수 있다. 이러한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주민 조직 구성이 중요하다. 기존 시가지를 대상으로 한 재개발 이나 신규 시설 조성 등 물리적인 정비사업이 투입되는 경우 관련 주체들 의 입장 조율이 필수적이며, 사업의 성공적인 운영을 위해서도 추진 및 운 영 조직 구축이 핵심인 것이다. 이해관계자의 조직 구성을 통해 소재지를 정비하고 활력을 높이는 활동을 유도한다. 면 소재지 단위에서 이러한 사

83 거리 간판을 꾸미는 작업은 2007년 문화관광부의 “일상장소 문화생활 공간화 기획‧ 컨설팅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는데, 관광 목적을 노리고 시작 한 일이 아니었으나 독특하면서 흥미 있는 디자인으로 탈바꿈한 소재지 모습 이 화제가 되어 방문객이 찾아오는 명소가 되기도 하였다.

84 일본에서는 농촌의 소재지를 대상으로 한 경관관리 활동이 이전부터 매우 활 발하게 이루어진 바 있다. 예를 들어 일본 나가노현의 오부세정에서는 상점가 의 정원이 아름다운 집과 가게에 대해 ‘open garden ○○번’이라는 번호를 부 착하여 방문객들이 돌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현재 이곳에는 이와 같이 조성 한 open garden이 총 76개 분포하고 있다(그림 6-4 참조).

업을 추진하면 소도읍 육성사업의 경우보다 배후 농촌과 연계한 프로그램 의 추진도 상대적으로 용이할 것이다.

도농교류 프로그램 및 관광 개발과 연계하여 소재지를 명소로 가꾸는 프 로그램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진안군 마을 직거래 금요장터 운영 사례와 같이 농촌 마을과 소재지 연계 프로그램을 활용할 수도 있다.

그림 6-3. 특색 있는 간판 정비를 벌인 진안군 백운면 소재지

<참고> 진안군 마을직거래 금요장터

○ 진안군에서는 매주 금요일 오후 4시부터 7시까지 각 으뜸마을에서 가져온 마을의 특산품을 진안군청 앞마당에서 판매하는 마을직거래 금요장터를 개설함.

- 금요장터를 주최하는 진안군마을만들기위원장협의회는 2008년 5월 9일 군 청 앞 주차장에서 첫 장을 열고 마을 특산품과 친환경 상품, 가공품 등을 판매하기 시작함.

○ 금요장터는 공무원 및 지역 주민들에게 지역에서 생산된 농·특산물의 정기 구입 통로를 제공하고, 마을만들기지구 농·특산물의 통합적 유통채널을 확 보하여 주민소득 향상을 도모함.

○ 주로 군청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하되, 진안군에 거주하는 주민들 및 외지 인들에게 마을의 생산물을 판매하는 통로를 마련함.

- 금요장터가 열리는 군청 주차장 인근에는 군청 근무자 300여 명, 진안농협과 경찰서 근무자 50여 명, 기타 학교와 세무서 등 기관 근무자 100여 명, 일반 주민 100여 명 등 대략 550여 명의 예비 소비자가 있는 것으로 분석함.

- 기차여행과도 연계하여 체험행사를 중심으로 결합하는 방법으로 관광객들 에게도 지역 특산품을 알려 외지인 수요도 확보하겠다는 방침임.

○ 진안군 금요장터는 군청 소재지라는 상위의 농촌 중심지와 각 농촌마을간 네트워킹의 한 사례임.

- 상시적으로 기능하는 물리적 공간(시설)을 조성하지 않고 하드웨어보다는 소프트웨어적 프로그램 기획‧운영을 통해 농촌 중심지와 배후마을들을 연 계하여 줌으로써 상호 전달 체계를 모색하는 프로그램의 운영 사례임.

자료: 진안신문(http://www.janews.co.kr/news).

그림 6-4. 일본 오부세정의 가로변 개방정원(open garden) 가꾸기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