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진안군 마을만들기팀과 마을간사제도

2. 연구의 시사점과 과제

이 연구가 갖는 의의를 크게 네 가지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농촌 중심 지 육성 문제를 보다 큰 농촌 공간정책의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한 점이다.

그동안 농촌 중심지의 기능 저하에 대한 진단은 이전부터 많이 이루어졌 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그러한 농촌 중심지 침체의 요인들을 찾아보고자 국토 전반적인 공간구조 현황을 진단하는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주민의 중 심지 이용 실태 분석과 사례 조사 등 다각도의 작업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여러 가지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농촌 중심지의 쇠퇴 요인을 국토 공간구 조 광역화보다는 배후 농촌 자체의 활력 저하와 고령화 등 내부적인 데서 문제의 원인을 찾아야 함을 지적하였다. 즉 농촌 인구가 줄어들고 고령화 가 진행되면서 중심지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수요 기반 자체가 위축

되는 것이 농촌 중심지가 안고 있는 가장 큰 문제인 것이다.

이런 점에서 배후 마을에 거주하는 인구가 중심지와 적극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중심지 육성이라는 과제는 소 재지만의 문제가 아니며, 배후 마을과 연계 속에서 해법을 모색할 사항이 라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하는 것이다. 특히 장기적인 농촌 공간구조 재편 방향에 대한 검토와 함께 중심지 관련 시책 추진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겠다.

둘째, 다양한 데이터 분석 및 주민 조사 결과 등을 바탕으로 중심지 실 태를 실증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데이터 분석 및 유형화 작업 결 과를 토대로 사례지역 고찰을 함으로써 농촌의 정주 여건이 지역 유형별로 상이하며, 그에 따라 중심지 여건도 매우 다양하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생 활권 특성이나 중심지의 구심력이 작용하는 범위 등에서 지역마다 상이한 양상이 나타나므로, 중심지 육성 시책의 추진 방향도 일률적으로 제시하기 는 어려움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향후 지역정책 추진 환경 변화에 초점을 두어 중심지 육성에 있어 서도 지자체 차원의 역점적인 시책 추진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다양한 실증 분석 결과에 바탕을 두어 향후 농촌 중심지 육성 시책의 세부적인 추 진 과정의 성패가 상당 부분 지역의 자율적인 역량에 좌우될 것임을 살펴 본 것이다. 특히 포괄보조 방식의 지역개발제도 개편 등에 따라 지자체의 역할이 이전보다 더욱 커질 것임은 분명하므로 향후 농촌 중심지 육성을 위해 지방 단위에서 추진할 과제들에 초점을 두어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넷째, 이와 관련하여 중심지 활성화 및 배후 주민의 이용도 제고를 목적 으로 지역 차원에서 시도되는 다양한 사례들을 살펴볼 수 있었던 점도 이 연구의 의의 중 하나이다. 이러한 사례들에서는 공통적인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창의적인 방식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등 시설 설 치 못지 않게 운영 방식에 대한 대안 모색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를 위해 중심지 관련 사업에 참여할 주체들을 지원하는 등 전반적인 지역 역량을 높이는 활동이 중시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교훈들은 향

후 농촌 중심지 관련 시책을 추진하는 데 참고할 만한 사항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에 이어 향후 이루어질 연구 과제를 간략히 언급하기 로 한다. 우선 중심지뿐만 아니라 마을 변화 등 농촌의 정주 여건 실태에 대한 광범위한 분석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중심지 문제 에 초점을 둔 까닭에 농촌의 전반적인 정주 여건 변화 경향에 관해 보다 종합적인 그림을 제시하는 논의는 진행하지 못한 까닭이다. 앞으로 실증적 인 조사 작업을 통해, 중심지뿐 아니라 마을 실태에 대한 보다 폭넓은 연 구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특히 향후에는 현재의 실태 진단에 그치 지 않고 장기적 전망을 제시할 수 있는 풍부한 사례 조사가 진행될 필요가 있다.

또한 중심지 여건 변화를 꾸준히 모니터링하도록 앞으로도 유사한 실태 조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주민의 서비스 이용 여건이나 중심지의 서비스 기능 변화 추이 등을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정책 적으로 반영할 만한 시사점들을 찾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이 축적되 어야만, 농촌의 기초적 서비스 기준 마련과 같은 과학적인 정책 추진 기반 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