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가. 연차별 연구 내용

2)

본 연구는 5개년 연속과제의 마지막 5차년도 연구로, 연차별 연구 내용을 정리 하면 다음의 [그림 Ⅰ-2-1]과 같다.

1차년도 연구에서는 5년 동안 조사할 ‘KICCE 소비실태조사’에 대한 조사 설계 와 연구범위를 확정하였고, 양육비용연구에서 시의성 연구로 공유경제와 주거 관련 분석을 수행하였다(최효미‧강은진‧조미라‧조숙인‧김태우, 2018: 23).

2차년도 연구에서는 1차년도(2018년)에 구축한 패널에 대한 추적 및 대체와 신 규표본 조사 원칙을 확정하였으며, 조사대상이 초등1학년까지 확대됨에 따라 초등 아동설문을 개발하였다. 양육비용연구에서 시의성 연구로 아동수당 도입 및 세제

2) 연속과제 성격상 최효미 외(2021 : 28~29)의 내용과 유사 중복되는 부분이 많음에 주의.

개편에 따른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심층분석으로 1차년도(2018년) 자료를 활용한 가구소득 계층별 양육비용 지출 행태와 초등학령기 진입에 따른 양육비용 변화를 분석하였다(최효미 외, 2019: 18). 육아서비스연구에서는 초등입학기 가구의 육아 서비스 현황 및 요구를 분석하였다(이정림 외, 2019: 27).

3차년도 연구에서는 기존 1차년도(2018년)와 2차년도(2019년)에 분리하여 연 구한 ‘영유아 가구의 소비실태조사 및 양육비용 연구’와 ‘영유아 가구의 육아서비 스 수요 및 대응방안’ 연구를 하나의 연구로 통합해 진행하였고, 조사대상을 초등2 학년까지 확대하였다. 시의성 연구로는 2020년에 새롭게 도입된 어린이집 보육지 원체계 변화에 대한 육아가구들의 인지 및 선호를 보았으며, 코로나19로 인한 가 계경제의 변화와 육아서비스 이용 행태의 변화를 분석하였다(최효미 외, 2020:

26). 심층분석으로는 1~2차년도(2018~2019년) 자료를 활용하여 초등 전환기 자 녀의 양육비용과 육아서비스 이용 행태 변화를 살펴보았다(최효미 외, 2020: 26).

4차년도 연구는 3차년도(2020년)와 마찬가지로 양육비용 연구와 육아서비스 연 구를 통합하여 진행하였으며, 조사대상을 예산제약으로 인해 초등1학년(2014년 생) 이하인 가구로 한정하여 조사하였다(최효미 외, 2021: 29~30). 시의성 조사로 는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비대면 육아서비스 활용 실태와 가정 내 돌봄 지원 및 부모지원서비스를 보았으며, 심층분석으로 2~3차년도(2019~2020년) 자료를 활 용해 코로나19 확산 초기 양육비용 변화와 공적 지원금 효과를 분석하였다(최효미 외, 2021: 28~30).

5차년도 본 연구는 연속과제의 마지막임을 고려해 연도별 결과를 정리하는데 중 점을 두었으며, 관련 심층 분석으로 1~4차년도(2018~2021년) 시계열 자료를 활 용한 영유아 가구의 소비실태 추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한편 시의성 조사로는 2022년에 도입된 영아수당, 첫만남이용권 활용 등 2022년 변화하는 육아정책 관 련 문항, 코로나19로 인한 육아서비스 이용 변화 경험에 대한 문항을 추가하여 분 석하였다.

Ⅰ. 서론

23 [그림 Ⅰ-2-1] 연차별 연구 주제

연차 1차 2차 3차 4차 5차

공통항목

○ 양육비용 연구 : 가구 및 아동 특성, 육아 가구 생활비 등 지출 실태, 비목별 양육비용 지 출 현황, 육아 가구의 양육비용 관련 소비문화, 육아지원 정책 변화 및 인지, 정책 변화에 따른 소비행태 변화, 제도 개선 방안 모색 등

○ 육아서비스 연구 : 영유아기 육아서비스 이용(반일제 이상 기관, 사교육서비스) 실태, 초 등 육아서비스 이용(공공 기관 돌봄, 사교육서비스) 실태, 개별돌봄서비스 이용 행태, 육 아 지원에 대한 요구

* 3차년도부터 양육비용 연구와 육아서비스 연구 과제를 통합함

심층분석

- 소득 계층별 양육비용 격차 - 아동수당 도입 에 따른 변화

- 초등 전환기자녀 양육비용 및 돌봄서비스 이용

-코로나19 확산 초기 양육비용 변화와 공적 지원금 효과

- 육아가구 특성 별 소득 및 지출 시계열 분석 - 코로나의 확산

이 양육비용 지 출에 미친 효과

시의성조사

- 육아용품 및 공유 경제, - 주거 현황

- 아동수당 도입 및 세제 개편 - 초등 아동 설문

추가

-코로나19 영향 및 긴급돌봄 -보육지원체계 개편에 대한 인지 및 의견

-비대면 육아 서비스 활용 -가정내 돌봄 지원 및 부모 지원 서비스

- 영아수당/첫만 남 이용권 - 코로나19로 인

한 육아서 이용 변화

KICCE 소비 실태조사 표본의 특징

- 1차년도 표본 구축 (2012년생∼

2018년상반기 출생아)

- 패널 조사 및 대체표본 구축 (초등1학년 까지 조사) - 신규표본 추가

(2018하반기, 2019상반기 출생아)

- 패널 조사 및 대체표본 구축 (초등2학년 까지 조사) - 신규표본 추가

(2019하반기, 2020상반기 출생아)

- 패널 조사 및 대체표본 구축 (초등1학년 까지 조사) - 신규표본 추가

(2020하반기, 2021상반기 출생아)

-패널 조사 및 대 체표본 구축(영 유아만 조사) - 신규표본 추가

(2021하반기, 2022상반기 출생아) 주: 1) 5차년도 조사 기준 추적 대상 표본은 막내자녀의 연령이 영유아(2016년생) 이하인 가구로 제한되며, 이는 조

사 예산의 한계로 인한 조치임.

2) 매해 출생아 신규 표본은 지속적으로 추가 표집하여 조사함.

자료: 최효미 외(2021). KICCE 소비실태조사: 양육비용 및 육아서비스 수요 연구(Ⅳ). p.29. [그림 Ⅰ-2-1]을 수정 보완함.

나. 5차년도(2022년도) 연구 내용

‘KICCE 소비실태조사’는 2018년부터 육아 가구를 대상으로 연동 패널조사 방식 을 접목하여, 지속적인 표본 추적(패널 조사) 및 신규표본 추가를 통해, 육아 가구의 양육비용 및 육아서비스 이용 행태를 조사해왔다(최효미 외, 2018: 77). 이에 매해 새롭게 변화된 정책 현황을 고려하여 설문을 시의 적절하게 수정, 추가함으로써 정 책적 변화에 대응하는 육아 가구의 행동 양태 및 수요 변화를 고찰할 수 있었다.

「KICCE 소비실태조사 : 양육비용 및 육아서비스 수요 연구(V)」에서는 4차년도

까지 구축된 표본과 신규 추가될 신생아 표본에 대한 5차년도(2022년) 조사를 실 시하여 5차년도 육아가구의 양육비용, 육아서비스 수요 및 정책 요구에 대한 기초 분석을 수행함과 더불어 1~4차년도에 축적된 자료를 활용한 심층 분석에 더욱 비 중을 두어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5차년도 조사에는 5년간에 걸친 패널조사의 최종 차수인 만큼 기존 설문의 문항 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새로 도입되는 양육비용과 육아서비스 수요 관련 정책 등 시의성 주제를 설문 조사에 새롭게 포함하여 수행하기 위해, 2022년에 도입되는 영아수당, 첫만남 이용권 등과 관련된 설문을 추가하고, 표본에서 제외되는 초등학 생 이상의 아동에 대한 설문은 삭제하였다.

심층분석은 1~4차년도까지 자료를 활용하여, 크게 2가지 주제로 분석하였다.

첫째, 육아 가구의 가구소득과 소비에서 가구 특성을 고려한 양육비용의 크기와 비중에 대한 시계열적 흐름을 파악하였다.

둘째, 본 KICCE 소비실태조사 3차년도 조사가 실시된 2020년 이후 이른바 ‘코 로나 시대’가 지속되면서 육아 가구의 양육비용의 지출과 관련된 크고 작은 영향이 가해졌을 것으로 예상되었는 바, 코로나19 확산 시점인 2020년 이전과(1, 2차 조 사) 이후의(3, 4차 조사)의 데이터를 활용해 코로나19의 확산이 자녀 양육 가구의 양육비용 지출에 미친 효과를 심층 분석하고자 하였다.

<표 Ⅰ-2-1> 5차년도(2022년) 주요 연구 내용

구분 연구 내용

연속성 주제

조사개요 5차년도 ‘KICCE 소비실태조사’

- 패널 추적 조사, 대체 표본, 신생아 신규 표본 구축

양육비용

육아 가구 양육비용

- 가구 단위: 총 양육비용, 영유아 양육비용 - 아동 단위: 영유아 일인당 양육비용 - 양육부담 및 공적 지원금 수혜 현황

육아서비스 이용

영유아기 육아서비스 이용 행태

- 반일 이상 기관(어린이집, 유치원, 반일제 학원) 이용 - 시간제 사교육서비스(학원, 기타 사교육) 이용 - 시간제 일시보육서비스 이용

- 문화센터, 키즈카페, 비정기체험활동 이용 개별돌봄서비스 이용 행태

육아 지원에 대한 요구

- 희망하는 육아서비스 유형 및 개선사항 - 긴급돌봄, 시간지원 정책 활용 의향

- 육아지원이 부족한 시기 및 부족한 육아지원 범주

Ⅰ. 서론

25 주: 심층 분석은 5차년도 자료가 아닌 기 구축 자료(1~4차)를 활용한 분석이므로 주의를 요함.

자료: 최효미 외(2021). KICCE 소비실태조사: 양육비용 및 육아서비스 수요 연구(Ⅳ), p.31, <표 Ⅰ-2-1>과 ‘KICCE 소비실태조사’ 5차년도 설문지 내용을 참조하여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