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이 연구는 3년에 걸쳐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 보고서는 그중 1년 차에 해당하는 연구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3년간 연구 계획은 다음 과 같다.

1년 차(2019년): 행복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위계적, 결합적 특성을 집단(연령집단, 지역)별로 파악하여, 대상별 행복 증진을 위한 정책 대안을 모색함.

2년 차(2020년): 생애주기별 위험 경험과 이에 대한 개인 및 제도의 대응 방식에 따 른 행복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복지제도의 체계적 대응 필요를 확인함.

3년 차(2021년): 객관적 삶의 질(미시적, 거시적)과 행복의 관계를 파악하여, 비교 국가 차원에서 정책 방향을 논의함.

이 연구는 3년 동안 수행될 과제로 1년 차에는 행복, 특히 주관적 안녕에 주목하여 살펴볼 계획이다. 그리고 2년 차에는 생애주기별 경험과 이에 대응하는 개인 및 제도 의 대응 방식을 고려하는데, 이는 ‘삶의 질’에 대한 연구에 가깝다고 할 것이다. 한편 1 년 차의 연구와 차별성을 가지고자 하므로 2년 차 연구는 보다 객관적인 조건으로서 삶의 질에 주목할 예정이다. 마지막으로 3년 차는 주관적 인식과 객관적 상태의 관계 를 국제 비교의 관점에서 보다 면밀히 살펴보고자 한다.

1. 연구 내용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을 살펴보는 이 보고서는 모두 7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서론에서는 연구 필요성과 목적, 연구의 주요 내용과 연구 설계 및 조사 방법을 소개한다. 이 연구에서 실시한 「2019년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 실태조사」(한국보건 사회연구원, 2019a)의 개략적인 소개와 국내외 질적 연구의 개요를 소개한다.

2장은 행복과 삶의 질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서 이 연구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문제의식을 도출한다. 먼저 한국 사회에서 행복 연구의 방법론적 특징을 살펴본다. 한 개인이 가지고 있는 행복한 상태와 행복한 감정을 구분할 필요를 제시한다. 이어서 선 행연구 검토를 통해 주관적 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각종 변수를 탐색한다. 행복에 영향 을 미치는 이러한 변인은 조사 설계에 반영하였다.

3장은 「2019년 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 실태조사」(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a) 에서 확인할 수 있는 한국인의 행복에 대한 탐색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먼저 행복을 인구집단 특성별로, 지역별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있다. 이 외에도 조사 설계에서 계획 된 응답 요일별 행복의 특성, 생활영역별 만족, 성격과 행복의 관계도 포함하고 있다.

또 행복의 조건,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의 행복에 대한 평가, 행복을 떠올리는 단어, 과거 의 본인 행복에 대한 평가와 미래의 기대치와 같이 한국인이 생각하는 행복에 대해 종 합적으로 조망하고 있다.

4장은 한국인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으로서 생활여건의 영향과 이 영향에 대한 심리적 역량의 조절효과를 확인하고 있다. 이는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적 조건 외에 도 개인의 행복한 삶을 위한 심리적 역량에 대해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5장은 한국인이 경험하는 행복의 맥락을 생태체계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 고 있다. 행복에 대한 인식이 그 자체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또 수많은 요인이나 조 건들과 연결되어 있는 구성체이면서,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각 개인과 가족, 집단, 지역 사회, 국가의 개념과 수준, 의미 등이 변화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연령과 성별을 기준 으로 10개 집단으로 구분하여 질적 연구 참여자를 모집하고, 초점집단면접과 심층면 접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질적 연구를 통해 한국인의 행복의 ‘맥락’을 파악하고 있다.

6장은 삶의 질 수준이 높은 북유럽 국가의 사회제도적 특징과 국민의 일상적 삶의 영위 방식, 그리고 그 속에서 행복의 의미를 살펴본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북유럽 2개 국가-덴마크와 노르웨이-에서 청년 세대와 노인 세대에 집중하여 19명에 대한 면접조 사를 실시하고, 이들의 행복 인식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이를 통해서 행복은 다차원적 으로 구성되며 개인 수준의 행복 결정 요인과 국가-사회문화적 수준의 행복 결정 요인

의 상호 작용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질적 연구이다. 질적 연구는 크게 두 집단을 대상으로 하는데, 첫째는 우리

Helliwell, Layard, &

Sachs(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