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1. 연구 내용

이상과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제1장 서 론 19

제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밝히고 연구 내용과 연구 방법을 소개한다. 주요 분석 내용을 다룬 제2장에서 제6장까지의 연구 내용과 각각의 연구 방법을 소개한다.

그리고 핵심적 방법인 사회통합 실태조사의 방법, 내용, 응답자 분포를 소개한다. 표본 설계 과정, 표본 규모 결정 방법, 추정 방법 등은 보고서 구성의 집중도를 높이기 위해 부록으로 제시한다.

제2장에서는 사회통합 정책영향평가 주요 내용 및 사회통합 인식 변화를 다룬다. 제 1절에서는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로 최근 5년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수행해 왔던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의 주요 결과를 소개한다. 사회통합 정책영향평 가 사업의 일환으로 총 5년 동안 수행했던 일련의 연구사업의 결과를 일괄함으로써 주 요 영역별로 우리나라의 사회통합 수준과 사회통합 인식 현황을 종합적으로 확인한다.

제2절에서는 기술통계를 중심으로 사회통합 인식과 관련한 주요 문항군들에 대해 살 펴본다. 여기에는 사회통합 인식을 비롯해서 주관적 행복, 삶의 만족도, 우울감 등 사 회통합의 지향점으로 꼽히는 주요 변수들의 연도별 현황 그리고 성별, 연령집단별, 객 관적·주관적 소득 수준별 비교가 포함된다. 그리고 사회통합과 관련되는 다양한 사회 상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국민들이 생각하는 사회통합 조건의 변화도 포함된다.

제3장부터 제5장까지는 사회통합의 주요 구성요소로 곱히는 사회적 포용, 사회적 자본, 사회이동성에 대한 인식 현황을 분석, 소개하고 각각의 결정요인에 대한 심층적 인 분석 결과를 소개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사회통합의 구성요소로 꼽고 있는 상기 세 가지 요소들을 구성하고 있는 세부 지표들을 선정하여 이들이 각각의 요 소에 가지는 인과적 관계를 심층분석을 통해 규명한다. 이를 통해 사회통합의 주요 구 성요소별로 인식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오늘날 사회통합 인식을 구성하는 중요 영역을 점검한다. 먼저 제3장에서는 사회적 포용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구성하여 그 상태 를 진단하고 사회적 포용이 사회통합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다. 이를 위하여 제 2절에서는 선행연구를 검토해 사회적 포용의 개념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측정을 위 한 지표를 구성한다. 제3절에서는 개인의 포용 상태, 구조적 포용 과정에 대한 인식, 사회적 포용 차원의 중첩도 및 연관성으로 구분하여 사회적 포용 상태를 진단한다. 제 4절에서는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포용 상태가 사회적 포용성과 사회통합 인식에 미치 는 영향을 각각 분석한다.

제4장에서는 사회적 자본의 상태와 그것이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제

20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Ⅵ): 사회통합 상태 진단

2절에서 이론적 배경을 검토해 사회적 자본의 개념을 살펴본다. 그리고 사회적 자본의 사회통합에 대한 영향과는 별도로 지금까지 선행연구에서 크게 주목하지 않았던 이민 자의 사회통합 문제를 제기하기 위하여 사회적 자본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도 더불어 살펴볼 것이다. 제3절에서는 사회통합 상태 진단을 위한 실태조사 연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4절에서는 이 실태조사에 응답한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및 경제활동 특성별로 사회적 자본 및 다문화수용성의 차이를 살펴본다. 제5절에서는 사회적 자본 이 사회통합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회귀모형을 통해 분석한다. 이와 더불어 사 회적 자본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같은 방법을 통해 분석한다. 마 지막으로 제7절에서는 연구 결과를 요약하고, 논의 및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한다.

제5장에서는 사회이동의 상태 진단과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제2절에 서는 비교적 최근 시점에서 발표된 한국의 사회이동성에 대한 자료를 간략히 소개한 다. 한국의 이동성이 낮은가 높은가의 문제와 더불어 현세대로 오면서 이동성이 낮아 졌는가, 그렇지 않은가에 대한 경험적 근거자료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또한 한국 사회 의 사회이동성에 대한 인식 조사 결과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이 보고서가 한국인의 사회통합 상태를 진단하면서 인식적 측면에 주목하고자 했기 때문에 특히 중요하고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절에서는 「사회통합 상태 진단을 위한 실태조사」에서 한국인의 사회이동성과 관련된 주요 질문의 설계를 제시하고, 제4절에서 주요 분석 결과를 정리 한다. 마지막으로 제5절에서는 분석 결과를 요약하고 정책적 함의를 논하도록 한다.

제6장에서는 제3~5장에서 살펴본 이들 세 가지 구성요소들이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그 밖에 향후 우리나라 사회통합 정책에서 다루어야 할 중요한 이슈들을 탐색한다. 사회통합을 구성하는 세 요소인 사회적 포용, 사회적 자본, 사회이동성을 대표하는 각각의 변수들이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회귀모형을 통해 확인함으로써 사회통합의 종합적인 상태 진단을 시도한다. OECD에서 정의한 세 가지 요소들은 OECD 국가의 공통적인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개별 국가들의 사회통합 과 관련된 특정한 요소들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나 라의 맥락에서 사회통합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변수들을 발굴하여 그 영향요인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에 마지막 절에서는 소득불평등과 관련한 인식들을 비롯한 몇 몇 변수들의 영향력을 탐색적으로 검토해 볼 것이다.

그리고 제7장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고, 정책적 함의를 제시한다.

제1장 서 론 21

2. 연구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