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지금까지 사회통합을 구성하는 사회적 포용, 사회적 자본, 사회이동성 각각의 사회 통합 인식과의 관계를 규명하였다면, 제6장에서는 이들 구성요소들의 사회통합 인식 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규명해 보았다. 먼저, 사회통합 인식 영향 요인 분석에 앞서 주요 변인들을 탐색하기 위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통합 인식과 높은 상 관관계를 가지는 변수들을 구성요소의 영역별로 살펴보면, 사회적 포용 영역에서는 포 용사회에 대한 인식과 경제적 풍요가, 사회적 자본 영역에서는 믿고 살아가는 사회 인 식 정도와 서로 돕고 사는 것이, 사회이동성 영역에서는 경제적·미래 희망 인식 정도와

10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Ⅵ): 사회통합 상태 진단

노력에 맞는 대가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인들을 이용하여 제약하 회귀모형을 통해 사회통합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 석한 결과, 2016년의 경우 사회적 포용, 사회이동성, 사회적 자본 순으로 강한 영향력 을 보인 반면, 2019년에는 사회이동성, 사회적 포용, 사회이동성 순으로 강한 영향력 을 보이는 것으로 바뀌었다. 3년 사이에 사회통합 인식에 미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 사회적 포용에서 사회이동성으로 바뀐 것이다. 성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사회통합 상태 와 인식 변수를 이용한 분석 결과에서 2016년에 비해 2019년에는 남녀 모두 사회이 동성의 비중이 더욱 커졌지만 남성의 증가폭이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사회통합 조 건 변수의 경우는 2019년에 남녀 모두 사회이동성의 비중이 가장 컸지만 남성은 사회 적 자본이, 여성은 사회적 포용이 그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차이를 보였다.

소득불평등에 대한 인식과 사회통합 인식의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사회통합 인식 관 련 변수는 사회통합 정도에 대한 인식 그 자체뿐 아니라 사회통합 구성 요소별 대표적 인 변인들을 사용하였다. 먼저, 세대 간 소득탄력성에 대한 인식은 소득불평등에 대한 인식과 뚜렷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모든 연령대에서 동 일하게 확인되었다. 소득불평등 인식에서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대한 인식 사이에 는 정(+)의 관계가 나타났는데, 이는 국제적 차원에서 확인된 부(-)의 관계와는 상반된 결과다. 다른 연령대와 달리 청년층에서는 상관관계가 뚜렷하지 않은 것이 특징적이 다. 소득불평등에 대한 인식과 사회적 신뢰에 대한 인식 간에는 부(-)의 상관관계가 있 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불평등은 타인에 대한 신뢰를 떨어뜨림으로써 불행으로 이어 진다는 연구 결과에 착안하여 둘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것인데, 인식 차원에서의 소득불 평등이 사회적 신뢰와 부(-)의 관계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령대별로는 노인층에서는 유의한 관계가 보이지 않았고, 청년층의 경우 상관관계가 나타나기는 했 지만 통계적 유의성이 그리 크지 않았다. 소득불평등에 대한 인식과 사회통합 정도에 대한 인식 간에는 부(-)의 관계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득분배 상태(빈곤층 소득 대비 부유층 소득 비율)에 대한 우리 국민의 인식과 선호 를 살펴본 결과, 우리 국민들은 소득불평등 상태를 실제보다 양호한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고, 현재 자신의 소득과 무관하게 보다 평등한 분배 상태를 선호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평등한 분배 상태에 대한 선호는 성별, 연령대별, 소득 수준별, 이념 성향별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 약 11

이상과 같은 분석 결과가 함의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인식의 차원에서 소득불 평등이 사회적 자본과 사회이동성, 그리고 사회통합과 뚜렷한 상관관계를 가진다는 것 은 소득불평등 상태에 따라 사회통합 수준이 결정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그리고 이는 소득분배 정책이 사회통합 정책 차원에서 강구될 필요가 있다는 정책 함의를 제 공한다. 그리고 소득분배 상태에 대한 인식과 태도(선호)를 살펴본 결과는 우리 국민들 의 사회통합 인식이 과소평가되었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는 역시 사회 통합 증진 차원에서 소득재분배를 위한 정책들이 강구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주요 용어: 사회통합, 사회적 포용, 사회적 자본, 사회이동성

서 론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제2절 연구 내용과 방법

제3절 사회통합 개념의 이론적 검토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