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제4절 사회이동성 인식과 사회통합 인식의 관계 분석

이제 사회이동성 인식이 사회통합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로 한다. 이 장의 서론과 선행연구 검토에서 밝힌 바와 같이 사회이동성은 객관적인 차원에서뿐만 아니 라 주관적으로 인식되는 차원에서도 사회통합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 므로 사회통합의 수준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사회이동성의 실질적 수준 확보와 더불어 사회이동성에 대한 믿음도 확보할 필요가 있다.

<표 5-13>은 한국 사회의 사회통합 수준에 대한 평가 정도를 설명하는 데 사회이동

166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Ⅵ): 사회통합 상태 진단

성별(남성=0) 0.065* 0.061 0.074* 0.069* 0.056 0.064*

연령층 (20대=0)

30대 -0.062 -0.042 -0.060 -0.044 -0.068 -0.067 40대 -0.113* -0.088 -0.100 -0.082 -0.124* -0.111*

50대 -0.141** -0.131* -0.143** -0.135** -0.149** -0.152**

60대 이상 -0.230*** -0.226*** -0.223*** -0.221*** -0.232*** -0.228***

교육 수준 (중졸 이하=0)

고졸 -0.206*** -0.214*** -0.217*** -0.221*** -0.196*** -0.208***

대졸 이상 -0.160* -0.189** -0.194** -0.209** -0.156* -0.188**

N 3889 3889 3889 3889 3889 3889

Adj R-Sq 0.0063 0.0252 0.0178 0.0319 0.0199 0.0294

주: *p<0.05, **p<0.01, ***p<0.001

자료: 한국보건사회연구원(2019). ‘사회통합 상태 진단을 위한 실태조사’ 자료 분석.

사회통합 인식의 종합 진단

제1절 서론

제2절 사회통합 인식 결정요인의 다차원성 진단 제3절 불평등 인식과 사회통합 인식

6

제1절 서론

제3장부터 제5장까지는 사회통합의 구성요소별 실태를 진단하고, 각 요소들이 사회 통합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이 장에서는 이들 구성요소의 사회통합 인식 에 대한 종합적 영향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번 조사에서 생산된 다양한 변 수들을 사회적 포용, 사회적 자본, 사회이동성의 영역으로 분류하고 영역별 변수들의 사회통합 인식과의 상관관계를 밝히고, 여기서 상관성이 높은 변수들을 중심으로 사회 통합 인식에 대한 영향력을 회귀모형을 통해서 규명해 보고자 한다. 또한 사회통합 정 책영향평가 사업의 두 번째 회귀를 앞두고, 이론적으로나 시대적 조건상 사회통합의 중요한 요소임에도 첫 번째 회귀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지 않았던 변수들을 탐색해 보 기로 한다.

선행연구들 중에서 이와 가장 유사한 접근을 한 연구는 정해식 외(2016)로, 이 연구 는 ‘한국인의 사회통합 인식 구성’ 부분에서 사회적 포용, 사회적 자본, 사회이동성, 사 회갈등의 네 가지 영역에 해당하는 각 변수들이 사회통합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 하였다. 두 가지의 변수군을 활용하였는데, 하나는 우리 사회가 가장 가깝다고 생각하 는 사회상(배려와 포용의 사회, 서로 믿고 살아가는 사회, 활력 있고 희망찬 사회, 경제 적 희망·미래에 대한 희망이 있는 사회, 서로의 의견을 경청하고 이해하려 노력하는 사 회)이고 다른 하나는 앞서 제2장의 말미에서 소개한 사회통합이 잘 되기 위한 19가지 조건이다. 전자의 변수들의 사회통합 인식에 대한 영향력을 회귀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포용사회 인식, 협조사회 인식, 희망사회 인식, 신뢰사회 인식의 순으로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정해식 외, 2016. p. 51). 사회갈등을 제외하고 세 가지의 구성요소 별로 보자면 사회적 포용, 사회이동, 사회적 자본의 순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두 번째 변수군을 이용한 영향력 분석은 회귀분석, 구조모형 분석 등 의 방법을 활용하였는데 여기서는 사회이동, 사회적 포용의 순으로 큰 영향력을 미치 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자본과 갈등관리는 유의한 설명력을 보이지 않았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