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그림 1-1)에 제시된 바와 같이 총 5개의 장으로 구성되며, 각 장 에서 다루어질 내용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2장에서는 사회적 자본과 공공갈등, 정책의 강제성 간의 상관관계에 대하 여 논의한다. 우선 공공갈등의 개념과 특징 및 정책의 강제성에 대해 검토하고, 이와 더불어 공공갈등과 사회적 자본 간의 관계에 대한 고찰을 진행하고자 한다.

이 장에서 진행하는 이론적 연구 및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는 본 연구에서 연구 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심도있게 검토하고, 분석 모형 설정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함과 동시에, 앞서 진행된 연구와 차별화되는 본 연구의 영역을 도출하고자 함이다.

제 3장에서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한 모형을 설계한다.

본 연구는 크게 선거공보물 내용분석법을 활용한 정책 환경 분석과 사회적 자본 요소를 기준으로 한 정책 유형 분류 및 사례 연구라는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된 다. 이 장은 이론연구 및 선행연구 검토 과정에서 도출한 내용을 토대로 연구 목 표 달성을 위해 적합한 연구 모형을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4장에서는 앞서 설정된 분석 모형을 토대로 실증 분석을 실시한다. 우선 내용분석법을 활용하여 제주특별자치도 민선 기수 별 도지사의 선거 공보물을 분석함으로써 각 도정에서 제시한 도의 주요 정책방향 및 정책 환경에 대하여 검토한다. 또한 사회적 자본을 고려한 정책 유형 분류 모형을 토대로 제주특별자 치도 각 민선 기수별 주요 정책들을 분류하고, 사회적 자본 유형별 주요 사례 연 구를 통해 영역별로 드러나는 특징들을 일반화하여 제시한다.

제 5장에서는 실증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토 대로 제주지역 사회적 자본 강화 및 정책 순응 확보를 위한 대안을 제시한다. 또 한 정책 순응 및 갈등 해결과 사회적 자본 수준 간의 함의를 도출함으로써, 지역 사회의 긍정적인 발전 방향에 대한 내용을 고찰한다.

제 1 장 서 론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과정 및 방법

ò

제 2 장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공공정책과 정책의 강제성 공공갈등과 사회적 자본

ò

제 3 장 분석 모형의 설계

정책 환경 분석 정책 유형의 분류 정책 사례 분석

ò

제 4 장 실증 분석 선거 공보물 분석

(내용분석법)

사회적 자본 유형에 따른 도정 정책 분류

사회적 자본 유형별 정책 사례 분석

ò

제 5 장 정책제언 및 결론 지역 정책 추진 시

갈등 관리를 위한 제언

정책 순응 확보를 위한

사회적 자본 강화 방안 연구의 의의와 한계

(그림 1-1) 연구의 과정 및 흐름도

제 2 장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제 1 절 공공갈등과 정책의 강제성

정책은 특정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행되는 모든 정부 행동의 결과물이 며, 이 행동은 사회 내에 많은 개인 또는 집단에게 영향을 미친다(Stephenson et al, 1989). 그렇기에 정부의 정책은 때때로 갈등을 수반하고 나타나기도 한다. 현 대 사회 내에서 갈등은 불가피한 것처럼 여겨지기도 하며, 또한 실제로 갈등은 마치 예견된 것처럼 나타나기도 한다. 그러나 갈등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 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이는 매우 폭력적인 상황으로 악화되어 갈 것이 자명하기 때문에, 실제 문제는 갈등이 발생할 때가 아니라 갈등을 다루기 위해 아무런 일 도 하지 않을 때 발생한다(Carpenter, 2010). 그러나 갈등이 실제 우리 사회에 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만은 아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듯이 사회 내의 수많 은 갈등은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키는 부작용을 초래하기도 하지만, 사회에 속한 개인들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사회를 발전시키는 촉매제의 역할을 담당하기도 한 다(Lan, 1997; Stephenson et al, 1989). 이러한 관점에서 공공갈등이라는 개념에 접근한다면 갈등 자체를 마냥 사회악인 것처럼 단조롭게 접근할 수는 없을 것이 다. 따라서 우리는 공공갈등이라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공갈등이 가진 속성 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할 필요가 있다. 실제 이러한 관점 에서 다양한 학자들이 공공갈등의 공통적인 속성을 파악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 하여 왔으며, 우리는 선행연구들에서 이에 대한 심도 깊은 고찰을 통해 공공갈등 을 해결하기 위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