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연구대상 가. 선정과정

문서에서 우울증 환자의 의료이용 및 질 수준 (페이지 128-135)

건강결과의 연관성

1) 연구대상 가. 선정과정

연구대상의 모집단은 건강보험자료에서 2002년 외래진료 환자 중 주상병과 제 1부상병이 우울증으로 청구된 환자는 약 68만3천9백여 명이었다. 연구모집단에서 정신분열증, 조증이 동반된 환자, 86세 이상 환자, 서면청구 및 보건기관에서 진 료받은 환자를 제외하였다. 남은 539,036명 중에서 2002년에 항우울제를 1회 이 상 처방받았으면서 지난 1년간 우울증으로 인한 입원 및 항우울제 투약을 받지 않은 환자는 203,336명이었다. 이 중에서 항우울제를 처음 처방받은 시점부터 2 년 동안 우울증으로 재방문하지 않은 환자, 처음 6개월 동안 치료과정에서 입원 하거나 전기경련치료를 받은 환자를 제외하였다. 또한 우울삽화 시작 후 2년간 사망한 환자, 우울증에서 정신분열증 및 조증으로 진단이 변경된 환자를 제외하 고 남은 117,08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그림 4-1).

<그림 4-1> 연구대상 선정과정

나. 일반적 특성

(1) 전체 환자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표 4-8). 우울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여성이 70.9%였으며, 남성보다 2.4배 이상 많았다. 연구대상의 평균 연령은 47.4±14.7세이고, 41-50세군이 25.0%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31-40세군 20.8%, 51-60세군 18.8%, 61-70세군 15.2%, 18-30세군 13.8%, 71-85세군 6.5% 순이었다.

의료기관 소재지를 기준으로 하여 거주지를 분류한 결과, 대도시 69.0%, 중소 도시 23.9%, 군 7.1%로, 우울증 환자의 대부분은 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진료기관은 의원이 73.0%로 가장 많았으며, 종합병원 이상 24.1%, 병 원 2.9% 순으로 나타났다. 주 진료의사는 정신과의사가 70.9%, 신경과 6.2%, 내 과 11.3%, 기타 11.5%로 나타나, 우울증 환자의 대부분은 정신과의사에게 치료받 고 있었다.

우울증 환자의 상병분포를 보면 초발성 우울증이 66.8%로 가장 많았으며, 재 발성 우울증 9.2%, 기분부전증 13.9%, 혼합형불안우울장애 9.5%, 우울증과 기분 부전증이 동반된 경우는 0.6%로 나타났다. 우울증 에피소드 시작 전 1년간 정신 질환으로 인한 입원경험도 0.4%로 매우 적었다.

전체적으로 우울증환자에게 가장 많이 동반된 신체질환은 소화성궤양(44.4%) 이었으며, 다음은 경도 간질환(20.7%), 당뇨병 8.4%, 결합조직질환 7.8% 뇌혈관질 환 7.6%, 비전이성고형암 3.9%, 말초혈관질환 3.7%, 울혈성심부전 3.5%, 치매 1.1%, 심장질환 1.0%, 심방세동 1.0% 순으로 나타났다. Charlson 동반질환지수가 1인 경우가 41.0%로 가장 많았으며, 0인 경우 36.1%, 2인 경우 17.0% 순으로 나타났 고 3이상인 경우는 5.9%로 가장 낮은 빈도를 보였다. 정신질환 중에서는 불안장 애의 유병률이 42.2%로 가장 높았으며, 알코올남용이 동반된 경우가 2.3%였고, 약물남용이나 성격장애는 극히 드물었다(표 4-10).

(2) 의료기관 종별

환자의 주진료기관에 따른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표 4-9). 병 원이상에서 우울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여성은 66.2%였으며, 의원에서는 72.6%

로 의료기관 종별에 따른 성별의 차이가 있었다. 병원이상과 의원에서 41-50세군이 각각 24.9%, 25.0%로 가장 많았으며, 의료기관 종별에 따른 일정한 양상은 보이지 않았다.

의료기관 소재지를 기준으로 하여 거주지를 분류한 결과, 병원이상에서는 대도 시 80.3%, 중소도시 16.3%, 군 3.4%, 의원에서는 대도시 64.8%, 중소도시 26.7%, 군 8.5%로 대부분이 도시지역에 거주하였다. 의원에서 주 진료의사는 정신과 의 사가 77.0%로 병원이상 54.6%보다 높았다.

우울증 환자의 상병분포를 보면 병원이상에서 초발성 우울증이 77.3%로 가장 많았으며, 재발성 우울증 6.7%, 기분부전증 6.7%, 혼합형불안우울장애 8.1%, 우울 증과 기분부전증이 동반된 경우는 0.6%로 나타났다. 병원에서는 초발성 우울증 이 63.0%로 가장 많았으며, 재발성 우울증 10.2%, 기분부전증 16.6%, 혼합형불안 우울장애 10.0%, 우울증과 기분부전증이 동반된 경우는 0.4%로 병원이상 환자에 비해 재발성 우울증, 기분부전증의 유병률이 높았다.

병원이상과 의원에 방문한 우울증환자에게 가장 많이 동반된 신체질환은 소화 성궤양(44.8%, 44.3%) 이었다. 병원이상에서 뇌혈관질환은 12.4%로 의원(5.8%)에 비해 약 2배정도 유병률이 높았다. 또한 병원이상에서 심근경색, 울혈성심부전 등을 비롯한 Charlson 동반질환 유병률은 의원에 비해 높았다. 병원이상에서 불 안장애 유병률은 50.6%, 의원에서는 39.1%를 보였고, 약물남용, 성격장애는 유병 률이 낮아 의료기관 종별에 따른 차이가 작았다(표 4-11).

구 분 빈도(%)

구 분 병원이상 의원 P-value

<표 4-10> 전체 환자의 동반질환 분포

질환 구분 빈도(%)

신체질환

심근경색 1,157(1.0)

울혈성심부전 4,081(3.5)

심방세동 1,158(1.0)

말초혈관질환 4,280(3.7)

뇌혈관질환 8,902(7.6)

치매 1,332(1.1)

만성폐질환 5,234(4.5)

결합조직질환 9,179(7.8)

소화궤양 52,029(44.4)

경도의 간질환 24,258(20.7)

합병증이 없는 당뇨 5,332(4.6)

망막증, 신경증, 신장질환동반 당뇨 4,492(3.8)

반신마비 836(0.7)

중증도이상 신장질환 739(0.6)

비전이성 고형암, 백혈병, 림프종, 다발성 골수증 4,605(3.9)

중증도 이상 간질환 404(0.4)

전이성 고형암 610(0.5)

AIDS 19(0.0)

정신질환

약물남용 100(0.1)

성격장애 884(0.8)

알코올남용 2,652(2.3)

불안장애 49,393(42.2)

Charlson 동반질환 지수

0 42,260(36.1)

1 47,980(41.0)

2 19,964(17.0)

≥3 6,883(5.9)

<표 4-11> 의료기관 종별에 따른 의원환자의 동반질환 분포

질환 구분 병원이상 의원 P-value*

심근경색 490(1.6) 667(0.8) <.0001

울혈성심부전 1,335(4.2) 2,746(3.2) <.0001

심방세동 501(1.6) 657(0.8) <.0001

말초혈관질환 1,230(3.9) 3,050(3.6) 0.0083

뇌혈관질환 3,910(12.4) 4,992(5.8) <.0001

치매 757(2.4) 575(0.7) <.0001

만성폐질환 1,506(4.8) 3,728(4.4) <.0001

결합조직질환 3,005(9.5) 6,174(7.2) <.0001

소화궤양 14,143(44.8) 37,886(44.3) 0.1635

경도의 간질환 6,633(21.0) 17,625(20.6) 0.1528

합병증이 없는 당뇨 1,920(6.1) 3,412(4.0) <.0001 망막증, 신경증, 신장질환동반 당뇨 1,623(5.1) 2,869(3.4) <.0001

반신마비 418(1.3) 418(0.5) <.0001

중증도이상 신장질환 274(0.9) 465(0.5) <.0001

비전이성고형암, 백혈병, 림프종, 다발성 골수종 1,692(5.4) 2,913(3.4) <.0001

중증도 이상 간질환 156(0.5) 248(0.3) <.0001

전이성 고형암 259(0.8) 351(0.4) <.0001

AIDS 8(0.0) 11(0.0) 0.1374

약물남용 45(0.1) 55(0.1) 0.0002

성격장애 278(0.9) 606(0.7) 0.0027

알코올남용 831(2.6) 1,821(2.1) <.0001

불안장애 15,995(50.6) 33,398(39.1) <.0001

Charlson 동반질환 지수

0 10,302(32.6) 31,958(37.4) <.0001 1 12,733(40.3) 35,247(41.2) <.0001 2 6,124(19.4) 13,840(16.2) <.0001 ≥3 2,432(7.7) 4,451(5.2) <.0001 * P값은 Chi-squared test로 산출된 값임

문서에서 우울증 환자의 의료이용 및 질 수준 (페이지 128-1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