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여성친화도시의 개념과 도시계획 구성요소

문서에서 여성친화도시 (페이지 31-43)

여성친화도시의 개념과 도시계획 구성요소

박태원|광운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부교수 천현숙|국토연구원 연구위원

여성친화도시의 개념

여성친화도시(women friendly city)의 개념은 여성의 관점에서 안전성을 바탕으 로 접근성, 편리성, 쾌적성을 갖춘 도시를 의미하는 것으로 1970년대에 북미(北 美)에서 등장하였다. 1980년대 초 캐나다에서 시작된 밤길 안전하게 다니기 캠 페인을 효시로 하여, 1990년대에는 여성들이 도시공간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활동하도록 하는 도시적 차원의 새로운 접근으로 발전하였다.

이후 1994년 OECD에서 여성과 도시문제에 관한 논의가 시론적으로 다루어 지고, 1996년 제2차 유엔인간정주회의에서는 해비타트 어젠다(Habitat Agenda) 차원에서 여성과 남성 간의 평등성 실현에 관한 논의로 본격화되면서 여성친화 도시에 대한 관심도 현실화

되어갔다.

여성친화도시는 기존 남 성 위주의 도시계획, 도시 정책에 성인지적(性認知的) 관점을 통합하기 위한 안티 테제(anti-thesis)로서의 속 성을 내재하고 있다. 남성 은 주류로서 공적영역에 포

<표 1> 젠더화된 이원적 구분

남성적 여성적

공적 사적

바깥

직장 가정

여가/즐거움

생산 소비

독립 의존

권력 권력의 부재

출처: 린다 맥도웰. 2010. p40.

4

(gender and development) 성 주류화 (gender mainstreaming)

독일 연방도시계획법(Landesplanungsgesetz:

LPIG) Rheinland-Pfalz 제1조 공간계획의 비 전 제1항에서는 토지 이용 및 지역개발을 성평 for Gender Mainstreaming within the ESF)은 2000년에 설립되었으며 예산은 EU의 사회기금

출처: Land Salzburg(2006: 22), 김양희 외(2007)에서 재인용.

4

(Einsiedlerpark, st,

Johann-Park)

2. 국내의 여성친화도시조성 사례

Donaueschingenstrasse 거리조성 프로젝트 참여 공간 디자인

‘성 주류화 모델 자치구(gender mainstreaming model districts)’ 프로젝트 - 지역주민과 여성의 교통 요구를 체계적으로 측정하는 지도 개발

4

이 프로젝트는 돌보는 서울, 일 있는 서울, 넉넉한 서울, 안전한 서울, 편리 한 서울의 5개 핵심 정책 영역으로 구성되며 여성의 관점을 통합해서 도시 여성 의 일상적 삶과 전반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여성의 사회 참 여 확대 및 경제력 향상, 보육지원, 한부모 가족 지원, 여성복지 증진 등의 기존 정책을 지속하면서 여성 친화적인 도시환경 건설 부문을 포함해서 여성정책의 지 평을 확대하는 접근을 택하였다.

■ 김포 신도시 사례

경기도 김포 신도시는 도시와 생태·농촌 환경이 조화되는 생태환경도시, 세대 간·계층 간·지역 간 문화소통이 중심이 되는 문화교류도시, 지역산업의 고부 가가치화 및 신산업을 창조하는 감성산업도시라는 개발목표를 설정하였다. 더 불어 양성 평등한 신도시개발을 위해 2006년도 심층 성별영향평가를 통해 도출 한 결과를 실제 계획안에 반영하도록 하였다.

■ 세종시 사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이미 무장애(barrier - free) 도시 건설을 세종시 기본 방향의 하나로 하고, 어린이·노인·장애인·임산부 등의 약자를 위한 편의시설 설치를 중요하게 고려하였다. 세종시에 이주하게 될 공무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성별 요구를 파악한 바 있고, 이주 예정 가족 중 여성의 복지 요구 도 부분적으로 검토하였다.

여성친화도시를 위한 계획요소

1. 여성친화성의 개념 탐색

■ 여성의 역할과 여성친화성

여성친화도시를 위한 계획요소를 도출하기 위해서는 여성친화성(women friendliness)에 대한 탐색이 기본바탕을 이룬다. 여성친화성은 여성이 주체라는 관점에서 도시공간의 주체로서 체감되는 친근성, 행복감과 관련되는 구성요소가 핵심이다. 도시에서의 여성친화성을 탐색하기 위한 기초적 접근은 먼저, 여성의 성역할(gender role)에서 찾을 수 있다. 여성은 인생 라이프사이클(life cycle)에 따라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그 역할에 따라 다양한 친화성을 필요로 한다.

첫째, 미혼여성으로서의 여성친화성이다. 미

4

2. 여성친화도시의 계획요소

4

로 그 구체성을 확장하여 외부공간과 내부공간을 아우르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다양한 계층의 여성친화성에 대한 구성요소를 폭넓게 발굴하고 도시 계획의 공간위계와 정합성을 가질 때 여성친화적 도시의 구체성과 실현성은 높 아질 것이다.

즉, 여성친화도시의 이념과 철학은 도시계획적 틀을 갖추고 계획요소의 도출 은 추상적 여성친화도시의 개념을 구체적 틀을 갖춘 개념모델로 발전될 수 있다.

실현성 제고야말로 여성친화도시가 당면한 현실적 문제라 할 수 있다.

3. 여성친화도시조성을 위한 개념모델

여성친화도시의 계획요소는 일반적 기준으로서의 보편성을 가진다는 점에서 중요하 다. 그러나 일반적 기준의 보편성을 넘어서는 특수성에 대한 유연성 또한 필요하다.

도시기본계획 차원과 도시계획 차원, 지구단위계획과 단위건축 차원이라는 도 시공간위계는 그 고유한 특성에 따라 여성친화성을 기반으로 한 계획요소를 동일하 게 적용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공간위계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물 리공간적 특성과 토지이용에 의해 파생적 실행모델 및 사업모델의 설정이 필요하다.

<표 8>5)과 같이, 여성친화도시를 지향하는 하위 수단으로서 여성친화형 주택단지 조성을 위한 세부실행모델을 설정할 수 있다.

맺음말

여성친화도시는 이제 필요성의 차원에서 실행의 차원으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 며, 고도의 개념화와 함께 실행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여성친화성이라는 도 시공간에 대한 투영이라는 도시계획적 이념을 실현할 수 있는 마이크로한 관점 에서의 도시계획, 즉 지구단위 차원에서의 계획적 접근이 보다 큰 의미를 가지 게 된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여성친화도시와 지구단위계획 그리고 단위건축과 단위시설로 이어지는 유기적 계획시스템의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공간위계별 연계시스템 이 유연성을 갖지 못하게 되면 여성친화도시의 이념은 실현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5) <표 8>은 앞의 <표 7>의 Level 1에서 Level 3까지의 계층구조에 지구차원에서의 개발주체, 단지규모, 특화요 소 등을 추가하여 기초적 개념모델을 제안한 것이다. 따라서 향후 사업화 및 실행을 위한 추가적 연구가 필 요하다.

또한 도시공간의 이용자이자 소비주체인 여

4

차원에서 벗어나 대도시에서 소도시로, 도시에서 농촌으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여성을 배려하는 도시계획에서, 등등한 주체로서의 여성참여형 도 시계획으로 빠르게 변화하여야 한다. 여성은 이제 사회참여의 주체이자 주류이기 때문이다. 여성이 편안한 사회는 모두가 편안한 사회가 될 수 있다. 특히나 저출산 에 따른 사회적 위기감에 휩싸인 현실에서 여성친화도시의 실행력 강화는 사회문 제를 완화하고 치유하는 데 긍정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환경결정론 (environmental determinism)적 관점에서 여성친화도시의 조성은 생명력 넘치는 도시로의 전환에 있어 필수불가결한 시대적 과정이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양희 외. 2008. 여성이 행복한 도시 만들기. 충북 : 행복중심복합도시건설청.

김엘림·김혜영. 2001. 남녀평등도시 모델개발 연구. 서울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린다 맥도웰. 2010. 젠더, 정체성, 장소. 여성과 공간연구회 역. 서울 : 한울아카데미.

박태원·천현숙. 2012. 여성친화도시조성을 위한 개념모델 연구. 경기 : 국토연구원.

송향숙·박태원. 2011. “여성정책과 공간이용 불평등에 관한 관계성 연구”. 도시정책연구 제2권 1호. pp53-65.

이상문·전영옥. 2009. “성별영향평가를 통한 김포한강신도시의 여성친화도시 계획수립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제60권.

pp215-231.

Herzog, S., Hinterleitner, V. and Oedl-wieser, T. 2005. “Gender SenSitive Regional Development: A Necessary Strategy for Rural Areas in Austria”

Land Salzberg. 2006. Requirement-oriented Spatial Planning: Gender Practice and Criteria in Spatial Planning. Final Report.

5

문서에서 여성친화도시 (페이지 3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