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실화와 전문성을 계속적으로 강화해 나감.

․ 실업자재취직훈련 중 여성의 참여비율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로써, 1998년 9 월 36.9%에서 11월 39.3%, 99년 1월 42%, 11월 45.8%, 12월 46%로 나타남.

․ 실업자재취직훈련을 직종별로 나누어 볼 때, 남성이 정보통신(28.6%), 사무관리 (22.0%), 기계장비(17.7%)를 선호하는데 반해, 여성은 서비스(39.2%), 정보통신 (25.0%), 사무관리(19.3%)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남.

․ 실업자재취직훈련기관의 지속적인 내실화와 함께 산업 수요전망에 따른 적합한 교육과정 개설을 적극적으로 유도해 나가야 함.

○ 지식기반경제화 및 유망산업의 발전전망에 기초하여 고졸, 대졸 여성인력에 대 한 직업교육훈련을 정비함.

․ 여성취업을 촉진하고 일자리를 창출함에 있어서 정보통신, 문화, 관광 및 보건서비스 등 유망산업에 대한 전망을 세우고, 이에 대한 인력수급을 여성인력의 직업교육훈련을 통하여 원활히 하는 것이 바람직함.

․ 특히 고졸, 대졸 미취업 여성들을 위한 직업교육훈련은 구인처와 직접적 인 사전 연계를 통하여 수요에 따른 구체적인 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할 필요가 있음.

․ 대학, 전문대학, 고등학교 등에서 여학생을 위한 직업교육을 강화하여 유 망직종 소개, 직업선택 및 진로지도 등을 통하여 필요한 능력, 지식, 경 력 등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함.

․ 여학생을 위한 직업교육을 강화하기 위하여 대학, 전문대학, 고등학교 등 에 직업선택 및 진로지도에 관한 과목이나 학점을 설치하여 미래의 직업 에 요구되는 능력요건을 갖추어 가는것이 바람직함.

․ 고졸 여성인력을 위한 직업교육훈련은 현행 교과과정을 실제 산업의 요 구에 적합하도록 양과 내용을 현실적으로 수정하여야 함. 또한 학교의 취업정보센터의 기능을 강화하여 인력은행 등과의 통신망을 연결하고 구인처를 적극으로 교섭하여 실제 수요에 입각한 구체적인 직업훈련을 실시하여야 함. 개인의 적성과 희망 등에 대한 깊은 상담을 통하여 직업

진로를 구체적으로 실시해야함.

․ 대졸 여성인력을 위해서는 미래의 지식기반경제 추세나 직종변화 추이를 고려하여 보다 현실적이고 전문적인 직종에 대한 훈련과정들을 개설하 고, 이에 여성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됨. 유 망직업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결과 등을 바탕으로 하여 여성인력에 대한 전문직종 훈련을 강화하고 미래의 성장산업 및 직종에 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함.

○ 직업훈련기관의 내실화 및 확대를 통하여 여성직업훈련의 기회를 제고함.

․ 각 직업훈련기관들은 여성을 위해서 직업수요를 바탕으로 하여 과정개설 및 구직 개척 및 알선을 위하여 노력할 필요가 있음. 현재 여성직업교육 관련 기관들은 직업교육과 사회교육을 각각 절반 정도 운영하고 있으며, 직업 훈련도 주로 단순직종 중심으로 교육훈련이 실시되고 있어 보다 전 문적인 직종에 대한 훈련과정을 개발하여야 함.

․ 여성 직업훈련기관의 교육과정 설계, 교육운영 등을 내실화하고 ‘일하는 여성의 집’을 적극 육성하고 각 지자체에 소속된 ‘여성회관’도 훈련기관 으로 적극 활용함. 나아가 중장기적으로는 ‘여성기능대학’을 신설하는 방 안을 검토함.

․ 전문직종은 주로 일반 직업훈련기관에서 이루어지나, 여성들이 쉽게 접근 할 수 있는 ‘일하는 여성의 집’에 조리사, 가사종사자, 텔레마케터 등 단 순직종이외에도 전문직종에 대한 훈련과정을 개발하도록 유도함. 이를 위 해서 유능한 강사 확보와 최소한의 시설투자 등을 통하여 경쟁력을 갖추 도록 하여야 함.

․ 과거 취미․교양교육에 치중해 왔던 ‘여성회관’을 훈련기관으로 적극 활 용하기 위하여 노동부, 보건복지부, 각 지방자치단체 등이 협의하여 운영 개선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음. 노동시장의 수요를 파악하고 교육생들을 취업으로 연결시키는 노하우와 마인드를 제고하는 것이 우선 시급함. 이 러한 선결과제를 해결하고 지자체 예산 등을 적극 활용하여 시설 및 장 비를 확충함으로써 여성 직업훈련기관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판단됨.

○ 직업훈련프로그램의 운영을 여성에게 친화적인 방식으로 설계하여 여성들의 접

근성을 제고함.

․ 여성인력개발에 있어서 보다 여성에게 친화적인 방향으로 사업을 전개해 나감으로써 효과를 높일 수 있음. 육아에 대한 부담을 가진 여성들을 위 하여 보육시설 등의 지원 제공이 필요함. 생계를 위하여 시간제 노동이 나 구직활동 등 시간이 필요한 여성 실업자를 위하여 전일제가 아닌 파 트타임 교육 등 적정한 교육시간대를 설계할 필요가 있음.

○ 기업과 사회가 여성인력의 능력개발을 위하여 지원하여야 함.

․ 환경의 변화와 요구되는 기능의 변화에 대하여 주지시키고 충분히 이해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 뿐만 아니라 환경변화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고 스스로의 시장가치를 높일 수 있도록 유도하며, 자기 주도적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야 함.

․ 고숙련 기능 습득을 위한 훈련의 지원이 필요함. 과거 사무보조적 업무 는 전산화와 사무자동화에 의해 점차 사라질 것으로 전망됨. 따라서 기 존의 재직자들에게는 직무전환 및 향상훈련을 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기업에게 ‘인적자원개발인증제’ 도입 등을 통한 인 센티브 제공 등을 고려할 수 있음.

․ 교육 기회와 함께 승진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함. 여성들의 승진이 제도적으로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눈에 보이지 않는 장치에 의해 배제 되고 있다는 설득력이 있는 주장 가운데, 여성의 경력개발과 승진을 위 한 지원이 필요함. 자신의 능력개발과 상위 직무로의 이동이 제도적 공 정성에 의하여 합리적으로 차별이 해소되고 승진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을 때, 여성은 일과 조직에 몰입하고 최선을 다할 수 있을 것임.

․ 여성개발을 위한 사회적 지원이 필요함. 중요한 요소로써 모성 보호를 위한 육아지원제도를 확충하여야 함. 노동시장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가 정내의 역할이 여성에게 불리하게 되어 있는 것이 한국적 현실을 고려 할 때, 이러한 구조적 문제가 해결되어야 함. 이를 위한 하나의 방법은 결국 가정 친화적인 직장으로 일터를 만들어 가는 것임. 나아가 이를 지 원하기 위하여 출산휴가의 연장 등과 함께 모성 보호비용을 사회가 분 담하는 방안을 실시하여야 함.

參 考 文 獻

김재구․김소영(1999). 여성인력에 대한 직업수요 연구 . 한국노동연구원.

김재구(1998). 21세기의 화이트칼라 유망직종 50선. 한국노동연구원.

김태홍(1997). 『기업의 여성인력관리제도 현황과 개선방안』. 한국여성개발원.

노동부(1999). 『여성유망직종 70선』.

노동부(1999). 『실업대책직업훈련 실시현황 분석 1999년 12월』.

산업연구원(1998). 『21세기를 대비한 산업구조 개편: 지식기반 산업을 중심으로』.

이원덕 외(1999). 한국경제 중장기비전 -인구․노동부문-. 한국노동연구원.

유길상․강순희․홍성호(1998). 구조조정기의 신직업훈련체제 구축방안. 한 국노동연구원.

이원덕․김재구 외(1998). 사무직 실직자 재취업 교육훈련과정 및 직업교육훈 련 관리 매뉴얼 개발. 한국노동연구원.

정인수(1998). 여성실업 현황과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최강식․정진화(1997). 여성 잠재인력의 활용방안. 한국노동연구원.

Canada Human Resources Department(1996), “Job Futures,” Occupational Outlooks, Vol 1, Canada Communication Group.

Fiske, S. T., Taylor, S. E., Social Cognition,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Inc., 1984.

George T. S.(1997), “Employment Outlook 1996-2006, Occupational Employment Projections to 2006”, Monthly Labor Review, Nov.

Greenhaus, J. H., & Callanan, G. A., Carrer Management, The Dryden Press Orlando, FL :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1994.

Morrison, A. M., White, R. P., Velsor, E. V., & The Center for Creative Leadership, Breaking the Glass Ceiling, Beverly, MA : Addison-Wesley, 1987.

OECD(1996), Knowledge-based economy.

OECD(1996), Employment and Growth in the Knowledge-based Economy.

OECD(1998), Technology, Productivity and Job Creation: Best Policy Practices US Department of Labor Women's Bureau(1998), Facts on Working women

제2주제 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