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쌀 수입보험 도입 방안

문서에서 쌀 수입보험 도입방안 연구 (페이지 122-129)

3.1. 전제조건과 국내 여건

○ 보험사고의 우연성의 전제가 필요함.

- 농업수입 변동의 요인인 생산량과 가격변동 중 가격변동은 정부의 가격 정책으로 인하여 우연성이 확보되어 있다고 보기 어려움.

- 당분간 가격변동성에 대한 우연성이 확보될 때까지 민영보험사는 최소 한의 위험만을 인수하고 나머지는 국가재보험을 통해 지원하는 방안을 고려함.

○ 농업수입이 확인 가능하여야 함.

- 농가별로 정확한 판매가격과 생산량 자료가 확보되어야 하나 쉽지 않은 상황임.

- 객관적 기준가격 확보를 위해서는 공신력 있는 도매시장 가격정보를 이 용해야 함.

- 모든 농가에 대한 생산량 조사가 쉽지 않으므로 재해보험 자료를 최대한 활용하고 효율적인 생산량 측정을 고려한 보험구조를 도입함.

○ 보험인수 심의 및 요율 산출을 위한 정보의 축적이 필요

- 현 상황에서 인수심의 및 요율 산출을 위해 과거 모든 연도에 대한 농가 단위 자료를 활용하기는 어려움.

- 당분간 표준생산량과 도매시장가격 자료 등 개별 자료가 아닌 전체 자료 를 활용하여 제한적으로 추정하는 것을 고려해야 함.

- 수입보험 도입 후 매년 실제생산량 자료가 축적됨에 따라 점차 개별 실 제생산량을 반영하는 운영 방식으로 개선이 가능

3.2. 도입 방안

가. 도입 방향

○ 보장방식은 수확량과 가격을 곱한 조수입을 보장하는 형태로 운영함.

○ 상품방식은 도입 초기에는 지역단위 수입보험 방식으로 운영하되, 시간이 지나 개인의 수확량 자료가 축적될 경우 농가단위 수입보험으로 전환함.

○ 도입 대상은 도입 초기에는 대규모 농가(농지면적 7ha 이상)를 대상으로 운 영하고 장기적으로 중소 농가에 확대하는 방향으로 진행함.

나. 부문별 도입 방안

➀ 법적·제도적 시행기반 구축

○ 국내에 안정적인 도입을 위해서는 수입보험의 법·제도를 시행할 수 있는 기 반이 필요함.

- 농가 단위 수확량, 가격정보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소득을 파악하기 위 한 시행기반의 검토와 준비작업이 필요함.

- 정부가 운영 중인 농업경영체등록정보와 연계하는 방안도 검토해볼 수 있음.

○ 현행 재해보험의 법, 제도를 검토하고 재해보험 운영경험과 구축된 기반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함.

113

➁ 보험통계 DB 구축

○ 현 시점에서 실현이 가능한 보험통계 DB 구축방안을 마련해야 함.

- 재해보험에서 축적해 놓은 과거 표준수확량, 농가별 평년수확량 자료 등 을 기반으로 적용함.

- 가격의 경우 객관적인 가격형성이 가능한 1개 도매시장의 다양한 시계열 자료를 품종, 품질별로 관리함.

- 각 지자체, 지역농협 등과의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통해 정확하고 체계적 인 보험DB를 구축해야 함.

➂ 상품 설계

○ 시범사업에서 검토하고 있는 다양한 구조의 농가단위 수입보험에 대한 보 험료, 보험금, 재정소요액 등을 면밀히 검토해야 함.

- 단기적으로 지역단위 수입보험을 설게 및 운영하면서 자료를 축적하고 이 후에 농가단위 수입보험으로 확대하는 것을 고려함.

➃ 기존 소득안정형 프로그램과의 관계를 정립

○ 현행 쌀 직불제 등 소득안정형 프로그램과 재해보험 등의 역할과 보장범위 를 검토 후 수입보험과 중복되는 문제를 해소할 필요가 있음.

○ 수입보험이 도입되더라도 현 상황에서 기존 쌀 직불제를 보조하는 방안이 바람직함.

➄ 손해평가체계 확립

○ 운영 가능한 수입보험의 손해평가체계 구축을 위해서 재해보험의 손해평가

수준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재해보험 인프라를 활용함.

➅ 위험분산체계 확립

○ 수입보험의 경우 가격 변동은 정부의 가격정책 등 인위적인 개입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우연성이 확보되기 어려움.

- 손해 발생 시 민영보험사와 정부 간 공정한 위험분산체계 확립이 중요함.

- 도입 초기에는 위험의 시간적 분산을 위해 농가(보험 가입자)가 장기적 으로 보험을 유지하도록 하는 방안을 규정에 포함함.

➆ 정부 재정소요액 추정

○ 정부 소요예산을 정확히 추정하여 운영 가능한 구조 및 보장 수준을 결정하 는 것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보험 운영에 필수임.

115

이용기. 2005. “한국의 쌀 산업 직접지불제와 디커플링.” 󰡔농업경제연구󰡕 46(4): 215-233.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88(2): 365-381.

Ana R. Rios and George F. Patrick. 2007. Evaluation of risk management alternatives for indiana grain producers. Agricultural Finance Review 67(1): 157-173.

Diao, X., T. Roe, and A. somwaru. 2002. Developing country interests in agricultural re-forms under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84(3): 782-790.

117

Goodwin, Barry K., and Vincent H. Smith. 1995. The economics of crop insurance and dis-aster aid. American Enterprise Institute.

Goodwin, B and Mishra, A.K.. 2006. Are “Decoupled” Farm Program Payments Really Decoupled? An Empirical Evaluation.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88(1): 73-89.

Hennessy, D.A.. 1998. “The Production Effects of Agricultural Income Support Policies Under Uncertainty.”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80(1): 46-57.

Hennessy, D.A., Babcock, B.A., and Hayes, D.J.. 1997. “Budgetary and Producer Welfare Effects of Revenue Insurance.”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79(3):

1024-1034.

Jerry R. Skees, Michael R. Reed. 1986. “Rate Making for Farm-Level Crop Insurance:

Implications for Adverse Selection”,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68(3): 653-659.

Makki, Shiva S. and Agapi Somwaru. 2001. “Farmers' participation in crop insurance mar-kets: creating the right incentive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83(3): 662-667.

N.R. St-Pierre, B. Cobanov, G. Schnitkey. 2003. Economic Losses from Heat Stress by US Livestock Industries, Journal of Dairy Science 86:(E. Suppl.): 52–77.

Ray, P.K.. 1974. A manuel on crop insurace for developing countries. FAO.

Young, E. and P. Westcott. 2000. “How Decoupled is US Agricultural Support for Major Crops?”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82(3): 762-767.

문서에서 쌀 수입보험 도입방안 연구 (페이지 122-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