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시사점

문서에서 요 약 (페이지 133-137)

농업부문 데이터 경제의 시작과 출발지(데이터 생산자)이며 관련 서비스의 최종 수요자인 농업인의 데이터 기반 농업에 대한 인지도와 수용성은 매우 중요한 의미 를 갖는다. 농업인 전체의 데이터 기반 농업에 대한 인지도는 27% 수준이나, 스마 트팜 도입 농가는 상대적으로 높은 46%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스마트농업과 정 밀농업에 대한 미도입 농가의 인지도인 79%(김연중 외 2020)와 55%(서대석 외 2020)보다 상대적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농업의 디지털 전환을 통한 데 이터 기반 첨단화 필요성에 대해 전체 농가의 84%가 필요성을 크게 인식하였다.

또한 이러한 데이터 기반 응용 서비스인 솔루션과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상용화 시 활용 및 이용 여부에 대해서도 전체 농가의 78%가 이용할 것으로 응답하였다.

데이터 기반 상용화 서비스 이용 시 지불할 의사가격(WTP)은 서비스 제공 정 보에 따라 기본적인 생육관리 및 유통 정보를 제공하는 기본정보에 대해서는 평균 4천~6천 원 수준이고, 기본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한 중급정보 서비스에 대해서는 7.5천~10.7천 원 수준, 정밀농업 기반 전문 솔루션인 고급정보에 대해서는 12천

~18천 원 수준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일반농가에 비해 스마트팜 도입 농가의 지불 의향이 20% 내외 높았고, 전문가들이 진단한 WTP은 농업인에 비해 최대 3배가 량 높았다. 이와 같은 농업인들의 지불의사는 미국의 Onfarm 서비스 이용료인 5 만 원보다는 매우 낮으나, 이스라엘 솔루션 CropX 보다는 약 30% 내외 낮은 수준 이다. 아울러 자신의 영농기술과 관련된 정보를 판매 시 판매의향가격은 기본정 보는 12.8천~15.3천 원, 중급정보는 17.4천~22.9천 원, 고급정보는 24.7천 ~36.3 천 원 수준이고 스마트팜 도입 여부에 관계없이 비슷한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그 러나 전문가들의 판매의향가격은 15% 이상 높게 나타났다.

전문가의 우리나라 데이터 경제 체계 구축을 위한 추진과제와 관련 정책방향에 대한 IPA 분석결과 중요성과 경제성(효율성) 및 시급성 모두 매우 높은 평가를 도 출하였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농업부문 데이터 경제 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농

108 |

업부문 디지털 전환을 통한 양질의 데이터 생산 및 관리 체계화를 가장 중요한 추 진 전략으로 설정하고, 공공정보와 공공서비스 및 데이터 부문에서 민간부문에 대한 접근과 활용을 확대하고 높일 수 있도록 규제를 완화하는 것이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아울러 농업부문 생산을 비롯한 전후방산업 전방위에 걸 쳐 데이터 표준화를 마련해야 하며, 이를 위한 관련 교육 및 인력 육성이 시급한 것 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이와 관련된 정부 정책방향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농업 전방위에 걸친 ‘스 마트 및 디지털화 확산’이며, 전문가들의 의견을 모아 농업부문 데이터 경제를 구 축하고 운영할 ‘거버넌스 체계 구축과 지원’ 사업인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세부 정책목표에서도 ‘정밀농업에 기반한 스마트·디지털 농업으로의 확산’과 이를 통 한 농업부문 ‘양질의 데이터 생산 수집기반 구축’이 가장 중요하며 경제성이 높은 정책목표로 평가되었다. 이와 더불어 시급히 시행해야 할 세부 정책으로 거버넌 스 체계를 구체화할 수 있는 스마트·디지털 농업과 데이터 센터 등 전체를 총괄할

‘전문 운영기관과 기구를 설치하고 지원하는 정책사업’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이 를 구체화할 ‘법과 제도’의 마련 역시 시급히 실행해야 할 목표이다.

다만, 이러한 데이터 기반 농업과 데이터 경제 활성화 시 가장 우려되는 것은 농 업인과 전문가 모두 ‘최신 기술 접근에 대한 불평등과 지역 간 격차’를 지적하였 고, 또한 ‘비농업 부문 자본과 기술에 대한 저항’도 어려운 점으로 지적하였다. 따 라서 이러한 우려와 어려운 점 해소를 위한 노력 역시 정책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전체적으로 농업부문 데이터 경제의 시작인 데이터의 생산과 최종 수요자인 농 업인들은 데이터 기반 농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인지도는 낮으나 이를 통한 미래 농 업의 새로운 혁신 동력원으로서의 필요성을 절감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이 와 관련된 농업인 교육과 홍보 노력은 물론 관련 기반 구축과 지원 정책이 요구된다.

제5장

농업부문 디지털 전환 및

K O R E A R U R A L E C O N O M I C I N S T I T U T E

제5장

농업부문 디지털 전환 및 플랫폼 구축 방향 28)

문서에서 요 약 (페이지 133-1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