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데이터 기반 농업에 대한 농업인의 인식과 수용성 분석

문서에서 요 약 (페이지 107-125)

K O R E A R U R A L E C O N O M I C I N S T I T U T E

제4장

농업부문 데이터 경제의 인식과 중요성

82 |

를 통해 진행하였으며 전체 응답자는 732명으로 응답률은 13% 수준이다.

이 절은 데이터 기반 농업에 대한 농업경영체의 인지도를 비롯한 인식과 수용 성, 이를 활용하는 문제점 진단과 기대부문을 비롯하여 데이터 활용 서비스에 대 한 지불의사 및 영농기술 정보 수준에 따른 데이터 판매의사 분석을 수행한다.

1.1. 데이터 기반 농업에 농업인 인지도 및 필요성

데이터 기반 농업에 대해 전체 농가의 27.4%의 응답자가 알고 있다(‘잘 알고 있 음’과 ‘매우 잘 알고 있음’의 합)고 응답하였다. 스마트팜 도입 농가와 미도입 농가 의 ‘알고 있음’ 비율은 각각 45.7%, 21.3%로 나타나 스마트팜 도입 농가가 데이터 기반 농업에 대해 24.4%p 높게 조사되었으며, 이는 스마트팜 특성상 이를 도입·운 용하는 농가의 데이터 기반 농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4-1> 데이터 기반 농업에 대한 인지도

단위: %

5.2

32.7 34.7

23.6

5.8 3.8

17.9

30.5

36.8

8.9 5.1

37.6 36.1

19.2

2.1 0

5 10 15 20 25 30 35 40

전혀 모름 잘 모름 보통 잘 알고 있음 매우

잘 알고 있음 전체농가 스마트팜 도입 스마트팜 미도입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인 조사결과(2021. 8. 30.~9. 17.).

스마트팜 미도입 농가를 대상으로 데이터 기반 농업에 대한 인지도 응답을 품 목별로 정리한 결과, ‘알고 있음’ 선택률은 곡물류 18.7%, 채소류 29.1%, 과수류 20.3%, 특작류 20.3%로 나타나 채소 농가의 데이터 기반 농업의 인지도가 상대적 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기상에 따른 생산량 변화와 그에 따른 가격변동이 심한 품목 특성으로 채소 농가의 데이터 기반 농업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그림 4-2> (스마트팜 미도입 농가) 데이터 기반 농업에 대한 인지도

단위: %

43.9

37.6

46.2

37.8 37.4

33.3 33.6

41.9

18.7

29.1

20.3 20.3

10.0 20.0 30.0 40.0 50.0

곡물류 채소류 과수류 특작류

모름 보통 알고 있음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인 조사결과(2021. 8. 30.~9. 17.).

데이터 기반 농업의 필요성에 대해 전체 농가의 83.7%의 응답자가 필요하다(‘필 요함’과 ‘매우 필요함’의 합)를 선택하였다. 스마트팜 도입 유무를 구분하여 설문 한 경우 스마트팜 도입 농가와 미도입 농가의 ‘필요하다(‘필요함’과 ‘매우 필요함’

의 합) 비율은 각각 89.0%, 81.8%로 높게 나타나 농업의 디지털 전환을 통한 데이 터 기반의 첨단화 필요성을 농업인은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4 |

<그림 4-3> 농업의 디지털 전환을 통한 데이터 기반의 첨단화 필요성

단위: %

0.5 4.6

11.3

56.0

27.7

0.5 5.3 5.3

49.5

39.5

0.5 4.4

13.3

58.1

23.7

0 10 20 30 40 50 60 70

전혀 필요하지 않음

별로 필요하지 않음

잘 모름 필요함 매우 필요함

전체농가 스마트팜 도입 스마트팜 미도입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인 조사결과(2021. 8. 30.~9. 17.).

스마트팜 미도입 농가를 대상으로 데이터 기반 농업의 필요성에 대한 응답을 품목별로 정리한 결과, ‘필요함’을 선택한 농가는 식량작물이 77.6%, 채소류 86.3%, 과수류 80.4%, 특작류 79.7%로 나타나 채소 재배 농가가 인식하는 데이터 기반 농업의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높게 파악되었다. 이는 앞서 설문한 데이터 기 반 농업에 대한 인지도 응답결과와 유사한 결과이며, 품목 특성으로 채소 재배 농 가의 데이터 기반 농업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파악된다.

데이터 기반 영농관리(축사관리) 애플리케이션(앱, 프로그램)이 상용화 시 이 용 의향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이용함(‘이용함’과 ‘많이 이용함’의 합)을 선택한 농가는 78.3%로 조사되었다. 스마트팜 도입 유무에 따라 구분한 경우, 스마트팜 도입 농가는 87.9%, 스마트팜 미도입 농가는 75.2%가 이용함(‘이용함’과 ‘많이 이용함’의 합)을 선택하여 전반적으로 높은 이용 의향을 보였다. 이는 데이터 기반 영농관리 애플리케이션(앱, 프로그램)을 통해 영농편의 서비스, 의사결정 서비스,

영농해법제시(솔루션) 등의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므로 스마트팜 도입여부에 상 관없이 이용 의향이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이에 따라 데이터 기반 영농관리(축사 관리) 애플리케이션(앱, 프로그램)의 상용화 필요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림 4-4> (스마트팜 미도입 농가) 농업의 디지털 전환을 통한 데이터 기반의 첨단화 필요성

단위: %

6.5 15.9 2.6 11.1 4.2 15.4 6.8 13.5

77.6 86.3 80.4 79.7

0.0 30.0 60.0 90.0

식량작물 채소류 과수류 특작류

필요하지 않음 보통 필요함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인 조사결과(2021. 8. 30.~9. 17.).

<그림 4-5> 데이터 기반 영농관리 애플리케이션 상용화 시 이용 여부

단위: %

0.9 4.9

16.0

52.4

25.9

1.6 2.1

8.4

54.7

33.2

0.7 5.8

18.6

51.7

23.5

0 10 20 30 40 50 60

전혀 이용하지 않음

이용하지 않음 보통 이용함 많이

이용함 전체 농가 스마트팜 도입 스마트팜 미도입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인 조사결과(2021. 8. 30.~9. 17.).

86 |

현재 데이터 경제 구축 및 활용이 필요한 분야에 대한 설문 결과, 농가는 ‘생산관 리’를 32.9%로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유통(24.8%)’, ‘농가경영(14.1%)’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조사 결과도 ‘생산관리’가 36.3%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통 (24.7%)’, ‘농기자재·축산자재(16.0%)’ 순으로 나타나 농가 및 전문가 모두 생산관 리 분야의 데이터 경제 구축 및 활용이 시급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4-1> 데이터 경제 구축 및 활용이 필요한 분야(현재)

단위: %

구분 농기자재·

축산자재 생산관리 불확실성

관리 유통 소비 농가경영

전체 농가 11.5 32.9 8.6 24.8 8.1 14.1

스마트팜 도입 11.0 32.5 8.3 25.6 7.6 15.1

미도입 11.6 33.1 8.7 24.6 8.3 13.8

전문가 조사 16.0 36.3 7.0 24.7 6.3 9.7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인 조사결과(2021. 8. 30.~9. 17.).

미래 농산업분야에서 데이터 경제 구축 및 활용이 필요하고 이용빈도가 높아질 분야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전체 농가는 ‘생산관리(31.3%)’분야가 높게 나타났 으며 ‘유통(24.9%)’, ‘농기자재·축산자재(12.3%)’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조사 결과 역시 ‘생산관리(33.7%)’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통(23.3%)’, ‘농기자재·축산 자재(14.3%)’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선 설문 결과와 유사한 결과이며, 농가 및 전문가 모두 현재와 미래 모두 생산관리 분야의 데이터 경제 구축 및 활용이 시급 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4-2> 데이터 경제 구축 및 활용이 필요하고 이용빈도가 높아질 분야(미래)

단위: %

구분 농기자재·

축산자재 생산관리 불확실성

관리 유통 소비 농가경영

전체 농가 12.3 31.3 9.8 24.9 9.8 12.0

스마트팜 도입 12.3 32.0 9.6 24.3 8.1 13.8

미도입 12.3 31.1 9.9 25.1 10.3 11.4

전문가 조사 14.3 33.7 11.7 23.3 7.3 9.7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인 조사결과(2021. 8. 30.~ 9. 17.).

데이터 기반 농업 등 농업부문의 디지털 전환을 통한 첨단화 진행 시 우려되는 부문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농가는 ‘최신기술 접근에 대한 불평등 및 지역 간 격 차 발생’을 25.9%로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비농업 부문 자본과 기술에 대한 저 항(19.3%)’, ‘농업인(농업단체)의 신기술에 대한 저항(13.8%)’ 순으로 나타났다.

전문가 조사 결과, 역시 ‘최신기술 접근에 대한 불평등 및 지역 간 격차 발생’을 34.4%로 가장 많이 선택하였으며, 이후, ‘비농업 부문 자본과 기술에 대한 저항 (25.2%)’, ‘개인정보 보안 문제(15.6%)’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앙정부 및 지 방정부와 관계 공공기관은 농업의 디지털 전환과 데이터 기반 농업의 확산을 위해 지역 간 격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균형지원과 균형발전을 도모하여야 하며, 농가 들에 대한 적극적인 관련 교육과 홍보 역시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표 4-3> 농업부문 디지털 전환(데이터 기반 농업)을 통한 첨단화 진행에 대한 의견(우려되는 부문)

단위: %

구분

우리나라의 전통적 문화,

지식 상실

농업인(농업단체) 의 신기술에 대한

저항

비농업 부문 자본과 기술에

대한 저항

최신기술 접근에 대한 불평등 및 지역 간 격차 발생

기술에 대한 높은 의존성

개인정보 보안 문제

단순 노동 일자리

감소

전체 농가 11.3 13.8 19.3 25.9 12.4 12.3 5.0

스마 트팜

도입 7.2 15.1 21.7 25.1 13.0 13.3 4.4

미도입 11.9 9.9 14.3 21.1 9.4 9.3 4.0

전문가 조사 1.1 14.9 25.2 34.4 5.3 15.6 3.5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인 조사결과(2021. 8. 30.~ 9. 17.).

농업부문에서 데이터 활용·분석 시 만약 민간기업에 의뢰한다면 생산, 유통, 소비 각 분야별로 원하는 정보가 무엇인지를 조사한 결과, 농가는 생산 분야 중

‘생육 및 사양 관리 정보’가 24.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병충해(질병), 가축 전염병 징후 정보’(24.4%), ‘품목별 관측정보’(20.2%) 순으로 나타났다.

88 |

<표 4-4> 민간기업에 데이터 활용·분석 의뢰한다면 생산 분야에서 원하는 정보 종류

단위: %

구분 생육 및 사양 관리 정보

병충해(질병), 가축 전염병

징후 정보

생산량(출하량) 예측 정보

기상 정보

품목별 관측정보 (출하, 가격 전망)

소비 트렌드

정보

전체 농가 24.8 24.4 15.0 11.6 20.2 4.0

스마 트팜

도입 26.0 24.2 12.8 8.7 22.8 5.5

미도입 24.4 24.4 15.6 12.4 19.5 3.6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인 조사결과(2021. 8. 30.~9. 17.).

유통 분야의 경우 전체 농가 기준으로 ‘농축산업 도소매 가격정보’, ‘지역별 물량, 가격, 소비 특성 정보’가 각각 28.0%, 27.7%로 높게 나타났으며 ‘국내외 유통실태 (유통비용, 경로)(19.8%)’, ‘국내 농축산물 거래 동향(17.5%)’ 순으로 나타났다.

<표 4-5> 민간기업에 데이터 활용·분석 의뢰한다면 유통 분야에서 원하는 정보 종류

단위: %

구분

농축산업 도소매 가격정보

농축산물 수출입정보

국내외 유통실태 (유통비용, 경로)

국내 농축산물 거래 동향

지역별 물량, 가격, 소비

특성 정보

전체 농가 28.0 7.0 19.8 17.5 27.7

스마 트팜

도입 28.9 5.5 20.9 16.4 28.4

미도입 27.8 7.4 19.5 17.7 27.5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인 조사결과(2021. 8. 30.~9. 17.).

소비 분야의 경우 전체 농가 기준으로 ‘국내 소비동향 정보’가 32.5%로 가장 높 게 나타났으며 ‘국내 농축산식품 안전품질정보(25.1%)’, ‘소비 트렌드정보(19.0%)’

순으로 나타났다.

<표 4-6> 민간기업에 데이터 활용·분석 의뢰한다면 소비 분야에서 원하는 정보 종류

단위: %

구분 국내

소비동향 정보

해외 소비동향 정보

국내 농축산식품 안전품질정보

수입 농축산식품 안전품질정보

소비 트렌드 정보

전체 농가 32.5 9.5 25.1 14.0 19.0

스마 트팜

도입 31.3 11.8 24.1 12.3 20.5

미도입 32.8 8.8 25.3 14.4 18.6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인 조사결과(2021. 8. 30.~9. 17.).

1.2. 농산업분야 민간부문 데이터 활용 실태

농산업분야 공공데이터 이외의 국내외 민간부문에서 데이터를 수집·분석 활용 하는 실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 농가의 93.5%가 ‘공공데이터 이외의 국내외 민간 부문에서 데이터를 수집·분석 활용한 적이 없다’라고 응답한 점에서 민간부문의 농산업분야 데이터 활용 실태는 낮은 수준으로 판단된다.

<표 4-7> 민간부문에서 데이터 활용을 한 사례 유무

단위: % 구분 공공데이터 이외의 국내외 민간부문에서

데이터를 수집·분석 활용한 적이 있다

공공데이터 이외의 국내외 민간부문에서 데이터를 수집·분석 활용한 적이 없다

전체 농가 6.5 93.5

스마 트팜

도입 14.3 85.7

미도입 4.1 95.9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인 조사결과(2021. 8. 30.~9. 17.).

농산업분야 공공데이터 이외의 국내외 민간부문에서 데이터를 수집·분석 활용 한 적이 있다면 생산 분야 중 어떤 데이터를 이용하고자 했는지를 조사한 결과, 스 마트팜 도입 농가는 ‘작황(사양) 정보(37.5%)’와 ‘농가별 경영관리 정보(25.0%)’

가 높게 나타났다. 스마트팜 미도입 농가는 ‘농가별 경영관리 정보(42.1%)’, ‘작황 (사양)정보’와 ‘기상정보’가 각각 15.8%로 조사되었다.

<표 4-8> 민간기업에 데이터 활용·분석한 적이 있다면 생산 분야에서 이용한 정보 종류

단위: %

구분

작황 (사양)

정보

병충해, 가축 전염병

징후 정보 생산량 (출하량)

예측 정보

기상 정보

농축산업 공급 관련

정보 (저장동향,

공급동향)

농기자재 (축산자재) 유통, 구매

정보

농가경영 에 필요한 금융자산

정보

농가별 경영 관리 정보

농작업 대행, 농작물 공동 출하, 공동

정산 등 전체 농가 25.8 17.1 2.9 11.4 0.0 5.7 2.9 34.3 0.0 스마

트팜

도입 37.5 18.8 6.3 6.3 0.0 0.0 6.3 25.0 0.0 미도입 15.8 15.8 0.0 15.8 0.0 10.5 0.0 42.1 0.0 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인 조사결과(2021. 8. 30.~9. 17.).

문서에서 요 약 (페이지 107-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