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국내외 데이터 관련 산업의 현황

문서에서 요 약 (페이지 58-64)

2.1. 데이터 산업의 정의

데이터 산업은 ‘데이터의 생산, 수집, 처리, 분석, 유통, 활용 등을 통해 가치를 창출하는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제공하는 산업’으로 정의할 수 있다. 데이터로부 터 가치가 창출되는 일련의 모든 과정 및 활동을 포함한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10) 이 부분은 하연 편집부(2021) 󰡔데이터 경제 시대, 데이터 거래 활용방안 및 전망󰡕 내용을 참고하여 정리하였다.

산업은 다음과 같이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데이터 기반한 상품을 제작, 상품화하여 판매하거나 관련 기술 서비스업인 데이터 처리 및 관리 솔루션 개발·공급업, 둘째, 데이터 자체를 구축하거나 컨설팅하는 서비스업, 셋째, 유용한 데이터를 수집하 여 판매하거나 이를 기반으로 정보제공 및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이터 판매 및 제공 서비스업, 넷째, 데이터 기반 AI 등 전문 솔루션 모델을 제공하여 서비스 하는 시스템에서 반드시 필요한 관련 인프라인 서버, 스토리지와 네트워크 등을 제공하는 데이터 인프라 서비스 산업 등이다.

이와 관련 데이터 관련 산업과 경제에서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관련 기술과 데이터가 서로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분석하기 위한 데 이터 저장·보관, 데이터 인프라 구축이 중요하다. 따라서 데이터 클라우드, 서버, 네트워크 등의 데이터 인프라를 비롯한 관련 솔루션과 플랫폼 등은 데이터 관련 산업의 핵심 영역이라 할 수 있다.

<표 2-7> 데이터 산업 정의 및 매출 발생 구조

구분 비즈니스 정의 및 매출 발생 구조

데이터 처리 및 관리솔루션 개발·공급업

∙ DBMS, DBMS관리, 데이터 모델링, 분석·시각화, 검색엔진, 품질 등 관련 솔루션 제품을 판매하는 등의 비즈니스를 의미하며, 주로 라이선스, 개발·커스터마이징, 유지보수를 통해 매출이 발생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서비스업

∙ DB설계, 데이터 이행 등을 포함한 DB시스템 구축, 문서·음성·영상 등의 데이터를 DB로 변환, 정비, 가공, DW, Data Lake 구축 등의 데이터·DB 구축·가공하거나 데이터 관련 컨 설팅 비즈니스를 의미(데이터·DB 관련 SI·IT아웃소싱 포함)

∙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은 구축·개발, 유지보수·운영관리, 컨설팅을 통해 매출이 발생(DB·

데이터 구축 과정에서의 컨설팅 매출은 구축 부문에 포함, SI 매출 중 HW·SW 공급 비용 을 제외한 용역 매출만 포함)

데이터 판매 및 제공 서비스업

∙ 데이터·DB를 원천데이터 형태나 분석 및 활용이 가능한 상태로 판매하거나 중개, 데이터 신디케이션 및 큐레이션 등을 통한 수요 맞춤형 데이터·DB 판매, 데이터를 가공·활용·분석 한 주제분야별 정보서비스, 분석 결과 정보 등을 온·오프라인(모바일, 앱 등 포함)으로 제공 하는 비즈니스를 의미함

∙ 데이터 이용료·수수료 등의 직접매출과 광고료 등의 간접매출로 수익이 발생 데이터 인프라

서비스

∙ 데이터 기반 솔루션 구축과 서비스를 위해 반드시 필요한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데이터 인프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비즈니스를 의미

∙ 데이터 클라우드, 서버, 네트워크 인프라 이용료 등의 매출이 발생 자료: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2020: 5). 󰡔2020 데이터산업 현황조사󰡕.

34 |

2.2. 국내외 데이터 관련 산업의 현황

2.2.1. 국내 시장11)

2019년 국내 데이터 산업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8.3% 성장한 16조 8,582억 원 이며, 2020년에는 19조 2,736억 원 규모로 추정된다. 데이터 산업 규모를 부문별 로 나누어 살펴보면, ‘데이터 판매 및 제공 서비스업’ 시장 규모가 9조 3,752억 원 으로 가장 크고, ‘데이터 구축 및 컨설팅 서비스업’이 7조 4,361억 원이며, ‘데이터 처리 및 관리솔루션 개발·공급업’이 2조 4,623억 원 규모이다(한국데이터산업진 흥원 2020).

<표 2-8> 데이터 산업 시장 규모

단위: 억 원

구분 전체 데이터 처리/관리솔루션

개발·공급업

데이터 구축/컨설팅 서비스업

데이터 판매/제공 서비스업

2010년 86,374 6,725 37,407 42,242

2011년 95,115 8,717 43,180 43,218

2012년 105,519 10,487 47,715 47,317

2013년 113,032 10,789 49,985 52,258

2014년 124,678 13,619 53,730 57,329

2015년 133,555 14,124 55,280 64,151

2016년 137,547 15,720 55,850 65,977

2017년 143,530 16,457 58,894 68,179

2018년 155,684 18,617 61,290 75,778

2019년 168,582 20,805 65,412 82,364

2020년 192,736 24,623 74,361 93,752

주: 2014년 이전 통계는 통계작성승인(2016년) 이전에 도출된 시범조사 결과임.

자료: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2020). 󰡔2020데이터산업현황조사󰡕.

11) 이 부분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2020) 󰡔2020데이터산업현황조사󰡕 중 제2장 내용을 참고하여 정리하였다.

데이터 관련산업의 미래발전을 위한 주요 활동인 관련 산업의 예산 비중을 검 토할 필요가 있다. 2019년 일반산업 IT 예산은 1조 5,148억 원이며, 2020년 일반산 업의 IT 예산은 전년 대비 10.3% 감소한 1조 3,595억 원으로, 그중 물류, 금융, 공공 부문은 소폭 증가했으며, 유틸리티, 농축산·광업, 건설업 등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2019년 일반산업 매출액 대비 IT 예산 규모는 전체 매출액 대비 0.4% 수준 으로, 업종별로는 교육이 1.31%로 가장 크고, 다음으로 유틸리티 0.86%, 통신·미 디어 0.46%, 공공 0.45%이며, 제조업, 농축산·광업이 각 0.31% 순으로 나타났다.

<표 2-9> 일반산업의 전체 매출액 대비 IT 예산 투자 비중

단위: 억 원

구분 2019 2020

전체매출 IT 예산 비중 전체매출 IT 예산 비중

공공 570,257 2,588 0.45% 568,729 2,648 0.47%

금융 859,994 2,227 0.26% 861,189 2,282 0.26%

제조업 812,817 2,548 0.31% 819,474 2,496 0.30%

유통·서비스 253,305 351 0.14% 246,858 352 0.14%

의료 11,248 21 0.19% 9,229 21 0.23%

통신·미디어 114,907 534 0.46% 104,700 542 0.52%

물류 63,486 28 0.04% 60,880 29 0.05%

교육 17,814 234 1.31% 15,897 228 1.43%

유틸리티 733,243 6,296 0.86% 827,975 4,689 0.57%

농축산/광업 48,140 147 0.31% 45,327 140 0.31%

건설업 115,876 81 0.07% 112,642 74 0.07%

숙박/음식업 229,272 93 0.04% 201,348 94 0.05%

일반산업전체 3,830,360 15,148 0.40% 3,874,250 13,595 0.35%

자료: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2020). 󰡔2020데이터산업현황조사󰡕.

2020년 국내 기업의 빅데이터 도입률을 업종별로 분석하였다. 업종별로 공공 부문의 빅데이터 도입률이 가장 높은 52.3%로 나타났고, 민간부문에서는 금융이 32.2%, 통신·미디어가 21.7%, 유통·서비스업이 16.9%, 제조업은 16.7% 등의 순 으로 나타났다. 농축산/광업 분야는 빅데이터 도입률이 7.4%로 의료(8.1%), 교육 (7.8%), 숙박/음식업(6.8%), 물류(5.8%) 등과 같이 상대적으로 낮은 업종에 속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6 |

<표 2-10> 데이터 산업 부문별 빅데이터 도입률

구분 사례 수 도입 도입추진·진행 중 도입 고려 중 미도입

전체 1,248 193(15.5) 50(4.0) 111(8.9) 894(71.6)

공공 65 34(52.3) 7(10.8) 3(4.6) 21(32.3)

금융 90 29(32.2) 4(4.4) 15(16.7) 42(46.7)

제조업 221 37(16.7) 12(5.4) 29(13.1) 143(64.7) 유통·서비스 249 42(16.9) 9(3.6) 20(8.0) 178(71.5)

의료 99 8(8.1) 0(0.0) 1(1.0) 90(90.9)

통신·미디어 92 20(21.7) 3(3.3) 1(1.1) 68(73.9)

물류 121 7(5.8) 4(3.3) 8(6.6) 102(84.3)

교육 51 4(7.8) 3(5.9) 0(0.0) 44(86.3)

유틸리티 37 1(2.7) 3(8.1) 10(27.0) 23(62.2)

농축산/광업 27 2(7.4) 0(0.0) 1(3.7) 24(88.9)

건설업 152 6(3.9) 4(2.6) 17(11.2) 125(82.2) 숙박/음식업 44 3(6.8) 1(2.3) 6(13.6) 34(77.3) 단위: 개(%)

자료: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2020). 󰡔2020데이터산업현황조사󰡕.

2.2.2. 세계시장

EU 집행위원회(European Commission)는 ‘유럽 데이터 시장 모니터링 툴(The European Data Market Monitoring Tool)’을 발간하고 있으며, 데이터 시장을 ‘디지 털 제품 및 서비스를 디지털 데이터로 교환하는 시장’으로 정의하였다. 이에 데이터 기업들의 제품과 서비스를 통한 매출 전체 총합을 추정하여 ‘데이터 기업의 매출액 (data companies revenues)’을 기준으로 주요국의 관련 산업 규모를 비료 분석하였 다. IDC & The Lishon Council(2020)에 의하면 미국의 데이터 산업 규모는 2019년 1,849억 유로로 2018년 대비 12.7% 증가하였고, 2020년은 2,113억 유로에 이를 것 으로 추정된다. 관련 보고서는 영국을 포함한 유럽연합(EU27+영국)은 2019년 835 억 유로로 전년 대비 8.1% 성장하였고, 2020년에는 2019년 대비 9.3% 증가한 913억 유로가 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연평균 성장률(2016~2020)은 미국이 가장 높은 13.1%이고, 유럽연합이 10.2%로 매우 빠른 성장추세에 있으며, 우리나라의 연평균

성장률 8.8%에 비해서도 매우 빠른 성장속도를 보이고 있다. 한편 2019년 기준 한국 의 데이터 산업 규모(16조 8,582억 원)는 미국의 데이터 산업 규모(239조 7,433억 원) 대비 약 7.0%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림 2-2> 2016~2020(E) 주요국 데이터 산업 시장 규모

단위: Billion €

자료: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2020: 64). 󰡔2020데이터산업현황조사󰡕 재구성.

<표 2-11> 2016~2020(E) 주요국 데이터 산업 시장 규모

단위: Billion €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E)

CAGR (’16~’20(E)) 시장

규모 증감률 시장

규모 증감률 시장

규모 증감률 시장

규모 증감률 시장 규모 증감률

미국 129.2 - 147.0 13.8 164.0 11.6 184.9 12.7 211.3 14.3 13.1%

유럽

연합 61.8 - 68.8 11.4 77.3 12.3 83.5 8.1 91.3 9.3 10.2%

일본 25.5 - 26.7 4.7 29.8 11.5 32.9 10.5 37.0 12.4 9.8%

브라질 6.0 - 7.0 10.6 7.4 5.7 7.9 6.7 8.4 6.3 8.5%

전체 222.5 - 249.5 12.1 278.5 11.6 309.2 11.1 348.0 12.5 11.8%

자료: IDC & The Lisbon Council(2020). “The European Data Market Monitoring Tool.”

38 |

2.2.3. 국내 및 세계 관련 산업의 현황 비교

데이터 관련 산업의 규모를 2020년 추정치로 분석하면, 세계 주요국의 데이터 관련산업 시장 규모는 3,480억 유로(469조 7,300억 원) 규모이고, 국내 시장은 약 19조 3천억 원 규모로 전체 시장의 4% 규모로 추정된다. 가장 규모가 큰 미국(285 조 1,700억 원) 산업 규모의 약 6.7%, 일본(49조 9,400억 원) 규모에 비해 38.7% 수 준으로 추정된다.

관건은 관련산업 시장의 성장속도이다. EU의 분석에 따르면 주요국 데이터 관 련 산업의 최근 5년(2016~2020) 성장률은 11.8%로 빠른 성장세를 보이는 반면, 국내 관련 산업의 동기간 성장률은 8.8%로 주요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성장 세다. 특히, 가장 규모가 큰 미국(13.1%), 유럽연합(10.2%)과 일본(9.8%)과 비교 하여 상대적으로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정부와 관련 기업의 보다 적 극적인 투자와 집중적인 노력이 요구된다.

문서에서 요 약 (페이지 5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