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스마트 도시재생의 유형화

[그림 5-6] 도시재생 뉴딜 유형별 스마트 적용 기술 예시(남광우, 2018) 환경 및 소상공인을 위한 스마트 도시 서비스 유형이 타당하다. 중심시가지형과 경제 기반형은 상권 활성화를 통한 지역 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스마트도시서비스 위주로 적용하면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목적에 부합한다.

[그림 5-6]은 도시재생 뉴딜사업의 5가지 유형중 경제기반형, 일반 근린형, 중심 시가지형에 적용가능한 스마트 기술, [그림 5-7]∼[그림 5-8]은 국토교통부가 제시한 우리동네살리기형, 일반근린형 유형으로 스마트 주차, 스마트 횡단보도, 스마트 쓰레기통등이 있으며 상호 중복인 서비스가 많다.

[그림 5-8] 일반근린형 도시재생 뉴딜사업 예시(국토교통부, 2018.1) [그림 5-7] 우리동네 살리기형 도시재생 뉴딜사업 예시(국토교통부, 2017.7)

일반근린형은 사업여건상 대규모 투자가 불가능하고 지역별 문제가 다양하므로 물리적 환경의 정비가 우선 되어야 스마트 도시재생이 가능하다. 따라서, 당면문제 해결을 위한 커뮤니티의 참여와 소통이 우선 필요하고 관련 스마트 도시재생 기술을 선택, 집중해야 한다.

기존 스마트 도시재생 유형은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먼저, 거주민 여건을 고려한 유형은 거주민의 생활비 절감, 생활편의 개선, 경제력 향상, 지역 커뮤니티 주도 지원등이 있다. 즉, 거주민의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통신, 방범·방재등의 인프라를

구축하고 고령층, 저소득층 비중을 고려하여 공공서비스를 개선하고 지역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기 위한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지원등이 필요하다.

거주민의 생활비 절감 도모를 위해 무료 공공 와이파이를 통한 사회 취약계층들의 통신비 경감, 빈집이나 폐교, 공터등 유휴공간을 활용한 태양광 발전이나 소형 수소 연료전지 발전소 등 소규모 제로 에너지 타운을 마을단위로 조성하여 전력비 절감, 가정 또는 마을 단위로 음용수를 처리하는 분산형 정수 시스템등을 도입등이 있다.

구분 세부 서비스 내용

거주민의 생활비 절감 도모

공공 와이파이(Pubic wifi) 제공을 통한 통신비 절감 소규모 제로 에너지 타운을 통한 전력비 절감 차세대 정수시스템을 통한 깨끗한 물을 저렴하게 공급 거주민의 생활 편의 개선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지능형 CCTV 안전 서비스 스마트 헬스케어 및 응급 서비스

거주민의 경제력 향상

수확행 상권 개발 소규모 도시 농업 다계층 쉐어하우스

창의적 창업 공간 지역 커뮤니티 주도 지원 자발적 지역 결사체에 대한 지원

스마트 주인 커뮤니티 센터

[표 5-4] 거주민 여건을 고려한 스마트 도시재생(http:/jsksoft.tistory.com/12339)

거주민의 생활 편의 개선를 위해 도로가 좁고 대중교통, 주차장이 부족한 낙후지역과 원도심으로의 노인, 장애인 등 사회 소외계층의 접근성 개선을 위해 공유 자전거, 퍼스널 모빌리티, 카풀서비스, 공유 택시, 자율주행 셔틀버스, 자율주행 셔틀 택시 등을 결합한 스마트 모빌리티 서비스, 스마트 가로등, 지능형 CCTV등이 결합된 통합 플랫폼에 의한 재난 안전 및 생활안전에 기여할 수 있다. 또, 의료복지가 열악한 거주민의 건강관리를 위해 개인 맞춤형 스마트케어 서비스 플랫폼이나 독거노인(1인 가구) 토털케어 플랫폼, 만성질환자 및 노약자의 임상, 유전자등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실시간 건강 맞춤 가이드 서비스 등이 필요하다.

거주민들의 경제력 향상을 위해 기존 전통을 보전하면서 새로운 트렌드에 부합하는

소확행 가페, 소확행 숙박, 소확행 거리 등 개발, 노인과 빈터 빈집을 활용한 스마트팜을 조성하고 유기농 채소 판매, 젊은 층 유입을 위해 청년주택, 쉐어하우스, 다세대 주택형 쉐어하우스 도입등을 고려할 수 있다.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를 위해 지역 대학과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커뮤니티 구성, 빈집, 폐교, 빈상가나 기존의 기능을 다한 동사무소 등을 활용할 수 있다.

(http:/jsksoft.tistory.com/12339)

지역 특성에 맞는 스마트 도시 재생은 공간 특성(농촌형, 산촌형, 어촌형, 광산형 등), 쇠퇴 특성(산업재 정착형, 상가회복형, 주거지원형 등), 수요자 특성(독거 노인, 다 문화 가족, 구직 청년 등)등이 있다. 또, 주민체감 및 편의 증진을 위한 스마트 도시 재생은 빈집관리시스템 구축, 의료시설, 가로등 등이 있다(김재곤외, 2018)

국토교통부가 2019년 2월 13일까지 전국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공모한 스마트 시티 ‘테마형 특화단지 마스터플랜’ 사업은 도시에 다양한 스마트 서비스를 적용해 교통·에너지·방범 등의 생활편의를 개선하고, 지역 고유의 산업·문화적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추진 중이다. 이 사업은 크게 4가지 유형으로 기성시가지의 공간적 특성 및 스마트서비스 도입 목적에 따라 ‘생활편의 특화형’, ‘산업육성 특화형’, ‘문화·

관광 특화형’, ‘재난안전·환경형’ 등으로 구분한다.

구분 대상 스마트 도시서비스

생활편의 특화형

상업지역, 역세권, 대학거리, 중심시가지등

무인자동차 운영시스템, CCTV를 이용한 노상주차장 관리시스템, 공공 및 민간 스마트파킹 앱, 교타로 디지털

표지판을 통한 주차가용정보 제공, 주차공간 쉐어링등

산업육성 특화형

산업단지, 지식산업센터, 산업클러스터등

비킨 기반 소상공인 마케팅 서비스. 귀금속 3D 프린터, 스마트 매장 에너지 관리, 스마트 직업 교육, 스마트

물류시스템, 청년창업지원등

문화·관광 특화형

재래시장, 관광지, 문화유적지, 도심지

해수욕장등

비킨 기반 소상공인 마케팅 서비스, 보행자 반응형 스마트방향 표지판, 대기환경 정보수집 시스템, 미세먼지등

기타 경보시스템, 외국인 대응 관광앱, 스마트 가로등등

복합형 상기 유형 복합화

-[표 5-5] 테마형 특화구역의 사업 유형 분류(LH, 2018)

5.2.2 수요를 고려한 유형화 및 적용가능 기술

스마트 도시재생 사업지구는 2017년 경기 남양주시, 포항 북구, 인천 부평구, 세종 조치원)(중심시가지형), 부산 사하구(우리동네살리기)등 5개 지구, 2018년 대구 북구, 경남 김해시(중심시가지형), 울산 동구(일반 근린형), 충북 제천시(우리동네살리기), 경북 포항(경제기반형)등 5개 지구가 선정되었다. 선정된 10개 지구와 탈락한 제안서를 분석하여 유형화를 복지, 산업경제, 안전교통, 환경, 주민역량강화등으로 분류하고 유비커터스 도시서비스 분류체계를 중심으로 적용가능한 기술을 분류하였다.

1) 복지

복지 관련 스마트 도시재생 서비스는 장애인, 치매노인, 독거노인등 노약자을 대상으로 한다. 보호자 신고에 의해 신고지점에서 노인위치와 가장 인접한 CCTV를 통해 파악, 경찰출동으로 이어지는 치매어른 배회감지 서비스와 독거 노인을 대상으로 통산 이력, 전력 및 수도량 사용량을 근거로 안부를 확인하는 서비스등이 있다. 이외에도 안심서비스는 안전 감지 센서형(문열림 감지),에너지 감지 센서형(조명제어), 복합형 (리본 실버케어)등을 이용한 경우도 있다. 고독사 예방을 위해 65세 이상 독거 노인 대상으로 모니터링 서비스를 실제 사회복지사등과 연계하여 구축한 사례도 있다(서울 서대문구).

[그림 5-9] 독거어르신 안심케어 솔루션(서대문구)

[그림 5-10] 치매어르신 배회감지 서비스(유현주, 2018)

[그림 5-11] 다양한 목적의 가로등

최근에는 외국인 사회적 약자 서비스를 위해 위급 상황시(범죄, 납치등) App의 긴급 호출 버튼 이용하여 보호자, 통합관제센터으로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도 활용중이다. 고령자를 위한 건강진단 및 관리를 위한 서비스는 지자체의 U-헬스케어 서비스 확대, 스마트 밴드를 활용한 건강 모니터링 강화 및 주요 거점 의료기관을 통한 원격진료 적용등이 있다.

복지관련 스마트 도시재생 서비스는 안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드론, CCTV, 가로등, 통합관제 플랫폼등과 연동된다. 즉, 사회적 약자을 위한 복지서비스 기능이 외에 모바일 융합 능동형 CCTV등을 이용하여 방범 및 방재등 범죄예방, 안심귀가, 실종자 추척등이 포함된 복합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유비커터스 도시서비스 분류체계에 의한 복지관련 주요 서비스는 치매노인/미아 방지서비스, 노약자안전 생활모니터링 서비스, 노약자이동 지원서비스, U-실버도우미 서비스, 장애인보행 지원서비스, 장애인시설 안내서비스, 다문화가정 도우미서비스, 출산 및 보육지원 서비스 등으로 나눌 수 있다(표 5-6).

분야 통합

서비스 단위 서비스 서비스 정의

복지

가족안심 서비스

치매노인/미아 방지서비스

치매노인, 어린이, 장애인 등이 착용한 RFID나 전용단말기를 인식 하여 위치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지정된 지역을 이탈시 보호자에 게 통보하고 위치추적을 통해 구조하여 실종을 방지하는 서비스 - LBS와 CCTV기반의 위치추적

- RFID팔찌나 목걸이 등의 전용단말기에 노약자의 주소, 보호자 연락처, 사진, 지문 등 신원확인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하여 시민/

공공기관에서 보호가 필요한 노약자 발견 시 긴급상황에 신속대처 - 어린이, 장애인,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서비스 제공

노약자안전 생활모니터링

서비스

노약자가 착용한 활동센서와 생활공간의 동작감지센서, 응급호출장 비를 통해 노약자의 낙상, 무동작을 비롯한 각종 응급상황발생시 응급상황정보가원격지에서 실시간모니터링되어 신속한 구급구조서 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 이상상황 발생 시 보호자, 구급구조기관, 가장 근접한 자원봉사 자 등에 자동 통보

노약자이동 지원서비스

노약자의 이동성을 지원하는 전동휠체어/스쿠터에 부착된 단말을 통해 주행경로안내, 응급호출 등의 지원서비스를 제공하고 대중교 통과 연계된 대여소, 보관소 운영을 통해 편리한 대여와 반납, 보 관을 지원하는 서비스

- 시설 및 인접지역 곳곳에 설치된 대여소중 인접한 곳에서 대여 하고 도착지에 인접한 대여소에서 반납이 가능하도록 함

U-실버도우미 서비스

정보통신서비스와 디지털기기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독거노인 세 대를 대상으로 생활지원 매니저가 원격에서 화상 상담과 원격제어 를 통해 지원함으로써 독거노인 세대의 생활편리를 증진시키고 자 립을 지원하는 서비스

장애인 지원 서비스

장애인보행 지원서비스

시각장애인을 위한 유도용 보도블록(점자보도블록)에 RFID을 넣 어서 시각장애인의 지팡이나 전용단말기에서 인식하게 함으로써 지팡이를 짚고 유비쿼터스칩이 내장된 점자블록을 따라 걸어가 면 보행에 필요한 정보를 알려주는 서비스

- 공원 등의 주요시설에 RFID인프라를 구축하여 장애인들이 안전 하게 산책하고 편리하게 찾아갈 수 있는 환경 제공

- 장애인 경로안내 또는 교차로상의 도로횡단, 신호등 알람 등 장 애인교통시설 이용 시 안전서비스를 제공

- 장애인의 횡단이 종료될 때까지 횡단보도 신호등의 신호를 자동 으로 연기되도록 함

장애인시설안내 서비스

장애인에게 전용단말기나 u-Tag를 지급하여 장애인시설 이용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장애인의 장애유형별로 습득가능한 형태로 제 공하는 서비스

- 시설에 설치되어 있는 RFID리더에서 카드를 소지한 장애인이 접근 시 이용가능토록 조치

다문화 가정지원

다문화가정 도우미서비스

국제결혼으로 늘어나는 결혼이주인구와 다문화가정을 위하여, 한국 생활정착에 필요한 상담, 의료, 복지의 통합서비스를 전용홈/모바 일기기를 통해 제공하는 서비스

- 문화콘텐츠 제공 및 국가별 커뮤니티 운영 등을 지원 출산 및

보육지원

출산 및 보육지원서비스

임신부터 출산 및 보육 전과정에 걸쳐 효과적인 모자 보건서비스, 사회 인프라 이용에 따른 편의지원 서비스, 보육지원 서비스 등을 유비쿼터스 기술을 기반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표 5-6] 스마트 도시재생 서비스(복지 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