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본 연구는 Price(2001)의 사회학적 이직인과 모형에 입각하여 민간 기관과 시 설, 상담서비스센터에 종사하는 사회복지사들이 직무를 수행하면서 겪는 이직의도 결정요인들에 대하여 설정하였다. 그 이유는 Price(2001)의 이직인과 모형은 매우 포괄적이고 종합적이며 모형에 포함된 결정요인들이 경험적으로 매우 확고한 근거 가 있기 때문에 그동안 경제학, 사회학, 심리학 등에서 이직 및 이직의도에 대한 모형으로 활용 되어왔다(서영준 등, 2002). 특히 Price(2001)의 구조적 모형은 1977년 처음 연구 발표 이후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토대로 수정하여 구성 되었 기에 많은 버전들이 존재한다.

이를 바탕으로 경제학적 관점에서 본 인적자본이론(Becker, 1964; Ehrenberg &

Smith, 1988), 인간의 사회적 행동을 잘 설명한 교환이론(Homans, 1961), 고전모 형에 대한 비판을 통해서 조직의 환경적 요인을 강조한 조직균형이론(March &

Simon, 1958), 등의 이론적 배경에 따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재구성 하여 모형에 설정하였다.

따라서 <그림 3-1>에 모형에는 직무특성요인, 조직관련 요인, 소진이 이직의도 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기 위한 영향력 관계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설정하였다. 모형의 설정은 크게 두 가지로 구성된다. 우선 직무특성과 조직특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방정식모

23)으로 분석하는 ‘연구모형’ 그리고 ‘연구모형’에 추가적으로 직무특성과 조직특 성이 이직의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려한 구조방정식모형을 ‘경쟁모형’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그림 3-2>는 이러한 영향력에 대해 감성지능의 조절효과와 소진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여 이직의도에 대한 차별적인 관리 방안을 구조방정식모형으로 설정 하였다. 따라서 <그림 3-1>의 모형은 선행연구를 근거로 하여 이직의도를 규명하 고자 하는 원인변수 모형이라 할 수 있고, <그림 3-2> 이직의도를 규명하고자 하 는 원인변수 모형의 분석결과에 감성지능의 조절효과가 존재하는지 규명하기 위한 모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림 3-1> 연구의 기본모형

23) 구조방정식모형이란, 연구자가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없거나 측정할 수 없는 변수를 잠재변수(latent variable)라 말하고, 그 하위영역으로 잠재변수를 측정하기위해 사용된 변수를 관측변수(observed variable)라고 부르며, 잠재변수와 관측변수는 각각 원과 사각형으로 표기된다(정동하, 2009).

<그림 3-2> 감성지능의 조절효과 분석을 위한 연구모형

다른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을 통한 표본의 특성조사, 기술통계의 평균, 표준 편차, 왜도의 측정을 통한 전체 표본의 변수들에 대한 지각수준 평가, t-test 및 분 산분석, 상관분석을 통한 Pearson 상관계수의 산출로 변수 상호간의 상관관계 등을 분석하였다. 이상의 분석들은 연구모형 및 가설의 검증 과정에서 분석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고, AMOS 18.0을 이용하여 분석결과의 해석에 기초로 활용되었다.

본 연구의 사회복지사 이직의도 분석모형은 직무특성 요인과 조직관련 요인을 독립변수로 구성하였으며, 감성지능은 조절변수로 설정하였고, 소진은 매개변수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개인적 특성변수를 조절변수로 고려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선행 연구에서 개인적 특성변수 그 자체가 직무만족에 인과적 영향을 가지는 것은 아니라는 결과를 수용하였기 때문이다. 선행연구(Price, 2001;

오지영, 2008 :35)에 따르면 개인적 특성요인으로 성별, 학력, 연령, 종교, 근속기 간 등과 같은 인구통계학적 변수(demographic variables)들은 이직의 변이를 초 래하는 선행조건을 정확히 나타내 줄 수 없다는 결과가 제시되었다.

이상의 구조방정식모형의 구축을 통해 본 연구가 분석하고자 하는 내용은 다음 과 같다.

첫째, 독립변수인 직무특성 요인으로 직무요구성, 직무자율성, 직업불안정 등이 매개변수인 정서적 고갈, 비인격화, 개인적 성취감 저하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하였다.

둘째, 독립변수인 조직관련 요인으로 임금수준 적절성, 승진절차 공정성, 상사와 의 관계 등이 매개변수인 정서적 고갈, 비인격화, 개인적 성취감 저하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셋째, 독립변수인 직무특성 요인과 조직관련 요인이 매개변수인 소진에 미치는 영향이 조절변수인 감성지능에 따라 조절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넷째, 독립변수인 직무특성 요인과 조직관련 요인이 종속변수인 이직의도에 직접 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다섯째, 매개변수인 정서적 고갈, 비인격화, 개인적 성취감 저하 등이 종속변수인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여섯째, 정서적 고갈, 비인격화, 개인적 성취감 저하 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 향은 조절변수인 감성지능에 따라 조절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