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질수록 이직률은 낮아지는데 이처럼 동료 및 상사와의 관계는 그 자체가 하나의 보상을 평가하는 기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더 나아가 박현주(2011) 는 상사의 지지는 힘없는 타인이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는 개인과 공감의 의미로 해석 할 수 있으며, 조직구성원에 대한 처벌과 보상이 공정하게 수행될 것이라는 암시적 인 약속이 지향 될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 칠 수 있는 직무특성과 조직특성요인을 가정하여 살펴보았다.

제3절 소 진

이 시기에 Maslach와 Jackson(1981)의 Maslach Burnout Inventory(MBI)라는 표준화된 도구가 개발 되었으며, 소진의 실증적 연구들 중 90%이상은 MBI를 사용하 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Schaufeki & Enzmann, 1998).

이 외에도 Perlman과 Hartman(1982)도 부정적인 자아개념, 직업에 대한 부 정적인 태도, 내담자에 대한 무관심을 포함하는 신체적·정서적 고갈증후로 보았 다.

Farber(1982)는 소진을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서 야기되어 행동으로 나타나 는 정서적, 육체적 탈진으로 정의 하였고, Maslach(1982)는 대인관계를 주로 하 는 조직 구성원들이 겪는 정서적고갈, 비인격화, 낮은 자아성취감의 총체적 현상 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Pines와 Aronson(1988)은 소진의 정의를 대개 광범위하게 제시하였다. 그들 연구에는 육체적인 징후들을 포함시켰고 소진을 감정적으로 부담 지워지는 상황 에 대한 장기적인 몰입에 의해 일어나는 육체적 감정적, 정신적 고갈 상태로 기 술 하였다. Schaufeli와 Greenglass(2001)는 소진은 ‘정서적으로 부담이 큰 근로 환경에 장기간 몰두한 결과, 신체적·정신적·정서적으로 고갈된 상태’로 정의 하였 다.

특히 공계순(2004)은 이들이 장기간 사람들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소진 이 발생하는 것으로 무력감, 절망감, 부정적 자아개념, 자기 직업 및 타인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를 가져오는 일종의 고갈 상태이면서 개인의 신체적, 심리적, 정신 적 측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점진적인 과정이라고 하였다. 반면에 소진을 부정적 시각으로 보는 관점도 있다. Schaufeli(2003)는 소진을 역기능적 성격 특 성이나 인식, 또는 개인적 갈등과 잘못된 대처방식들에 의해 주로 야기되는 정신 질환으로 간주 하였다. 또 다른 연구자 Ahola(2006); Schaufeli(2003)는 기존에 연 구되었던 직무스트레스(job stress), 우울(depression), 직무부담(job strain), 만성 피로(chronic fatigue)등의 개념과 중복된 용어가 아닌지 의구심을 갖게 한다고 하였 다.

실제 Ahola, Honkonen Kivimaki, Virtanen Isometsa, Aromaa와 Lonnqvist (2006)는 소진의 그 개념과 속성에 관한 문제는 여전히 논란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주장 한다. 이러한 소진에 대한 연구는 산업화 발달로 인한 욕구에서 다양한 개념 들이 교차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다음 <표 2-8>는 소진에 대한 개념을 정리한 것이다. 표에서 국내의 문헌은 기재하지 않았다. 대부분 외국문헌들을 토대로 규정 또는 인용하여 별다른 차이는 없을 것으로 보았다.

<표 2-8> 소진의 개념 및 차원

연 구 자 정 의

Freudenberger (1974)

자신에게 주어진 업무를 헌신적으로 수행하였으나, 많은 봉사자들이 기대나 성과 없이 환자들에게 냉담해지는 좌절감을 보고 이를 ‘Burnout’이라고 부르기 시작

Edelwich &

Brodsky(1980)

소진은 업무 상황에서 일어나는 이상,에너지,목적,관심을 점차적으로 잃어버리는 현상

Cherniss(1980) 소진의 현상이란 직무에서 발생되는 스트레스로 종사원의 직무태도와 행동이 점차 부정적인 방법으로 변화하는 과정 Jones(1981) 부정적인 직무태도,낮은 성취감,고객에 대한 관심 상실 등을

포함하는 육체적,감성적 고갈상태 Maslach &

Jackson(1981) 정서적 고갈,비인간화,개인적 성취감 3가지 상태 Perlma &

Hartman(1982)

부정적인 자아개념,직업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내담자에 대한 무관심을 포함하는 신체적·정서적 고갈증후

Farber(1982) 소진은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서 야기되어 행동으로 나타나는 정서적,육체적 탈진으로 정의

Maslach(1982) 대인관계를 주로 하는 조직 구성원들이 겪는 정서적고갈 , 비인격화,낮은 자아성취감의 총체적 현상

Pine &

Aronson(1988)

육체적인 징후들을 포함,소진을 감정적으로 부담 지워지는 상황에 대한 장기적인 몰입에 의해 일어나는 육체적 감정적, 정신적 고갈 상태로 기술

Schaufeli&

Greenglass(2001)

정서적으로 부담이 큰 근로 환경에 장기간 몰두한 결과, 신체적·정신적·정서적으로 고갈된 상태

Schaufeli(2003) 역기능적 성격 특성이나 인식,또는 개인적 갈등과 잘못된 대처방식들에 의해 주로 야기되는 정신질환으로 간주 Ahola(2006)&

Schaufeli(2003)

소진을 기존에 연구되었던 직무스트레스,우울,직무부담, 만성피로 등의 개념과 중복된 용어가 아닌지 의구심을 갖게함

특히 Maslach(1995)는 소진에 대한 연구를 이론적이고 실증적인 관찰, 인터뷰, 사례연구 등을 활용한 기술적인 연구로 보았으며, 또한 표준화된 도구의 소개 아래 체계적인 실증연구도 가능해질 수 있다고 하였다.

그래서 Schaufeli와 Enzmann(1998)은 소진의 연구가 주로 휴먼서비스 종사자를 대상으로 직업과 관련된 비즈니스와 산업현장의 종사자들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다 고 하였다. 국내 연구 윤혜미·권혜경(2003)도 우리나라 의료인이나 심리상담가, 사 회복지관련 대상자 등과 같은 대인봉사 서비스 직종의 종사자들에게서 소진이 많 이 나타난 것으로 개념을 정의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