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검색 결과가 없습니다.

Ⅲ. 2017년 영유아 교육·보육비용 지출 실태

5. 소결

2017년 영유아 가구 대상 실태조사는 총 1,119가구 1,505명의 영유아를 대상 으로 실시되었다. 영유아 가구의 보육·교육서비스 이용 및 이용비용 실태 조사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 1인당 월 평균 총 교육·보 육비용은 19만8천원이었으며, 비용을 지출하는 가구만을 기준으로 월 평균 총 교육·보육비용은 25만5천원이었다. 총 교육·보육비용은 아동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맞벌이 가구가 비맞벌이 가구에 비해 약 10만 원가량 많이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둘째, 전체 응답 아동 중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아동의 비율은 43.3%였으며, 어린이집 이용비용 총액은 월평균 6만9천원이었다. 어린이집 이용비용은 유아반 의 차액보육료와 특별활동비가 주를 이루며, 가구소득이 중간인 경우(400∼599 만원)에서 어린이집 이용비용이 다른 소득 구간에 비해 다소 높은 경향을 보였 다. 설립 유형별로는 국공립에 다니는 경우에는 월평균 4만6천원인데 반해 민간 어린이집 9만3천원으로 큰 차이를 보였으며, 가정 어린이집(4만9천원)이나 직장·

부모협동 어린이집(4만7천원)은 국공립 어린이집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같은 경향은 정부 미지원 기관의 유아반에 한해서 차액보육료가 허용되기 때 문에, 정부 지원 기관이나 유아반이 없는 경우에는 이용비용이 국공립과 유사한 수준인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유치원을 이용하는 아동은 전체 응답자의 35.2%로, 이용비용은 월평균 19만8천원으로 어린이집에 비해 12만9천이나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유치원의 이용비용은 주로 정규 교육비 중 수업료의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 며, 3세의 경우에만 조금 낮았다. 유치원의 특성화 프로그램 이용비용은 어린이 집의 특별활동 이용비용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설립 유형에 따라 국공립 유치원의 특별활동 이용비용 평균은 4만2천원이고, 사립 유치원은 6만4 천원으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전체에서 반일제 이상 학원을 이용하는 비율은 3.7%에 불과했으며, 교 육비 57만4천원을 포함하여 총액 평균 73만5천원으로, 다른 어떤 기관에 비해서 도 높은 비용 수준을 보였다. 한편, 시간제 사교육 이용비용은 총액 평균 11만4 천원이었다. 시간제 사교육 종류별로 시간제 학원 이용자가 17.0%로 평균 12만1 천원의 비용을 지출했으며, 2.8%가 이용하는 개인 및 그룹지도는 평균 11만원,

이용자 비중이 25.4%로 가장 높은 학습지는 평균 6만1천원이었으며, 교구활동은 3.0%가 이용하고 평균 9만7천원, 통신교육은 1.2%가 이용하고 평균 3만9천원을 지출하였다. 시간제 사교육 중에서는 학습지가 이용이 가장 빈번하며, 시간제 학원의 이용비용이 상대적으로 고가임을 알 수 있다. 이 같은 시간제 사교육 이 용비용은 가구소득이 높아질수록 높아지는 경향성을 보였다.

다섯째, 개별돌봄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1일 평균 5.6시간, 주당 평균 4.8일 을 이용하고 있었으며, 월평균 비용은 53만7천원이었다. 하지만, 비용이 높음에 도 불구하고, 혈연도우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비용 부담을 묻는 질문에 5점 만 점에 평균 2.5점을 응답해 다른 교육·보육서비스에 비해 비용 부담을 적게 느끼 는 것으로 조사됐다.

여섯째, 가구당 총 교육·보육비용은 월평균 28만9천원으로, 0∼10만원 미만 구간에 28.7%가 밀집되어 있었다. 총 자녀수에 따라서는 3명일 때보다 2명일 때 오히려 교육·보육비용이 더 드는 것을 조사됐으나, 영유아 자녀수를 기준으로 할 경우에는 자녀수가 많아질수록 교육·보육비용도 증가하는 것을 분석됐다. 이 러한 현상은 총 자녀수에는 초등기 이상의 자녀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으로, 다 자녀 가구의 경우 오히려 자녀가 초등기에 접어들면 교육·보육비용이 감소함을 시사하고 있다.

일곱째, 영유아 교육·보육비용 지출이 전혀 없는 가구의 비중은 11.8%였으며, 영유아 교육·보육비용이 가구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6.2%, 가구 지출 대비 비중은 8.5%였다. 이 비중들은 맞벌이 가구가 비맞벌이 가구에 비해 높고, 영유아 자녀수가 많을수록 증가하며,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양상을 보 였다. 지역별로는 읍면 지역에 거주하는 경우에 이 비중이 낮아지는 현상이 발 견되었다.

여덟째, 이상의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2017년 영유아 교육·보육비용 추정 치를 산출해 본 결과, 영유아 1인당 총 교육·보육비용 추정비용은 26만2천원이 었으며, 총 사교육비 추정비용은 11만6천원, 시간제 사교육비 추정비용은 5만4 천원이었다. 이를 근거로 연간 총액을 계산해보면, 총 교육·보육비용은 8조 4,172억 9,128만원에 이르며, 총 사교육비 연간 총액은 3조 7,397억 2,618만원으 로 총 교육·보육비용 대비 총 사교육비 비율은 44.4%에 달했다. 여기서 반일제 학원 이용 비용을 제외한 시간제 사교육비의 연간 총액 추정비용은 1조 7,225억 9,858만원으로, 총 교육·보육비용 연간 총액의 20.5% 수준이었다.

Ⅳ장에서는 지난 5년간의 영유아 가구의 교육·보육비용 지출 변화의 추이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다만, 본 연구는 매해 표본의 규모 및 조사 방식 등에 차이가 있는 횡단 조사로 이뤄짐에 따라, 산출 값의 시계열 연속성을 확보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다. 이에 본고는 먼저 해마다 진행된 실태조사의 특징을 간략 히 기술하고 이를 비교함으로써, 교육·보육비용의 추이 변화에서 조사 과정에 기인한 차이를 명시하고자 하였다.

1. 조사 설계의 차수 간 변동

가. 표본 설계상의 차이

표본 설계상의 차이를 살펴보면 다음의 <표 Ⅳ-1-1>과 같이 정리된다. 표본규 모에 있어서 1차 조사인 2013년에는 2,519가구의 영유아 총 3,630명을 조사하였 으며, 2014년에는 2,509가구 3,611명, 2015년 2,499가구 3,075명, 2016년은 1,312 가구 총 1,820명을 조사하였다. 2017년도 연구에서는 1,119가구 총 1,505명에 대 한 조사가 완료되었다. 특히 4차년도 연구 이후 표본 규모가 크게 줄어든 것은 연구 예산상의 문제로, 표본 수 감소는 표집의 대표성 확보 및 가중치 적용 등 을 통해 보완하였다.

표본추출을 위해 2013년에는 ‘2010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전국 읍 면동 리스트를 1차 추출단위로 선정하고, 표본 읍면동(PSU)의 주소지별 가구 명 부를 2차 추출단위로 하는 2단계 층화집락 추출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2014년에 는 ‘2012 전국보육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해 1단계에 대규모로 표본을 선정하고 아 동가구로 판별된 표본가구에 대해 심층조사를 수행하였다. 이후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강화로 ‘인구주택총조사’의 리스트 활용이 용이치 않아짐에 따라, 2015년에 는 ‘2015년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제주도를 제외한 16 개 시도(세종시 포함)로 1차 층화, 지역규모에 따라 2차 층화 추출한 무작위 접촉 을 통해 조사하였다. 2016년에는 ‘국가기초구역 주소 요도’를 활용하여 1차 표집

단위인 전국 광역시도의 가구 수 분포에 따라 비례 배분하고, 2차 표집 단위인

(표 Ⅳ-1-1 계속)

이가 있었다. 구체적인 설문 문항별 차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가구, 부모 그리고 아동에 대한 일반 특성 문항을 비교해 보면 다음의 <표 Ⅳ-1-2>와 같다.

〈표 Ⅳ-1-2〉일반특성 설문항목

항목 2013 2014 2015 2016 2017

가구

항목 2013 2014 2015 2016 2017

유치원 및

(표 Ⅳ-1-3 계속)

항목 2013 2014 2015 2016 2017

특별활동 또는 방과후 특성화 프로그램 이용 관련

이용 프로그램 종류,

지출비용, O O O O O

주당 이용시간 O O X O O

만족도, 비용 부담 정도 O O O O X

자료: 1) 양미선 외(2013). 영유아 교육·보육비용 추정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 양미선 외(2014). 영유아 교육·보육비용 추정연구(Ⅱ). 육아정책연구소.

3) 이진화·박진아·박기원(2015). 영유아 교육·보육비용 추정연구(Ⅲ). 육아정책연구소.

4) 최효미 외(2016). 영유아 교육·보육비용 추정연구(Ⅳ). 육아정책연구소.

5) 최효미·김나영·김태우(2017). 본 연구의 영유아 가구 실태조사 설문지.

반일제 이상 학원에 관한 설문항목을 비교해 보면 다음의 <표 Ⅳ-1-4>와 같 다. 공통적으로 매년 이용기관, 지출비용, 만족도, 이용사유에 대해 물어보았으 며, 2015년을 제외한 해에는 모두 반일제 이상 학원에서 제공하는 특별활동에 대한 질문을 하였으며, 이용시간에 대해서도 물어보았다. 한편, 2013, 2014년에 는 지출비용에 대해 월평균으로 질문하였으나, 2015, 2016년은 납입주기를 묻고 주기별 납입 금액을 물어보는 형식을 취하였다.

〈표 Ⅳ-1-4〉반일제 이상 학원 이용관련 설문항목

항목 2013 2014 2015 2016 2017

이용기관, 지출비용, 만족도, 이용사유 O O O O O

특별활동, 이용시간 O O X O O

비용 부담정도 O O O O X

최초 이용시기 X O X X X

자료: 1) 양미선 외(2013). 영유아 교육·보육비용 추정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 양미선 외(2014). 영유아 교육·보육비용 추정연구(Ⅱ). 육아정책연구소.

3) 이진화·박진아·박기원(2015). 영유아 교육·보육비용 추정연구(Ⅲ). 육아정책연구소.

4) 최효미 외(2016). 영유아 교육·보육비용 추정연구(Ⅳ). 육아정책연구소.

5) 최효미·김나영·김태우(2017). 본 연구의 영유아 가구 실태조사 설문지.

사교육 이용관련 항목을 정리해보면 다음의 <표 Ⅳ-1-5>와 같다. 한편, 사교 육 서비스 이용 설문의 경우 2013, 2014, 2016년에는 시간제 학원, 개인 및 그룹 지도, 학습지 교육, 교구활동 교육, 통신교육으로 구분하여 질문하였고, 2015년 에는 과목별로 구분한 후 해당 과목을 개인교습, 그룹교습, 시간제 학원 중 어 디서 받았는지를 물어보는 방식으로 질문하였다. 또한, 2015년은 통신교육 이용

에 대해서 물어보지 않았다.

세부항목으로는 공통적으로 과목별 이용여부, 이용시간44), 월평균 지출비용, 비용 부담정도, 만족도, 이용사유 등을 물었으며 2014년에는 추가로 최초 이용 시기를 물어보았다. 학습지 교육과 교구활동 이용에 대해서는 교사방문 여부에

세부항목으로는 공통적으로 과목별 이용여부, 이용시간44), 월평균 지출비용, 비용 부담정도, 만족도, 이용사유 등을 물었으며 2014년에는 추가로 최초 이용 시기를 물어보았다. 학습지 교육과 교구활동 이용에 대해서는 교사방문 여부에